"노조 입김 강한 아르헨 … 지하경제 규모만 키워"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전기톱을 든 트럼프'로 불리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급진적 재정 개혁으로 아르헨티나는 주목받는 국가가 됐다.
매일경제는 지난 9일 마르틴 레드라도 전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총재와 인터뷰했다.
―밀레이 대통령 취임 이후 아르헨티나 경제가 어떤가.
―아르헨티나 경제에 필요한 것은.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70년대 만들어진 노동법
기업들 채용 꺼리게 만들어
노동 유연화로 성장성 높여야
韓·아르헨, AI·농업 협력 고려
세지포 경제전망 세션 참석
◆ 세계지식포럼 ◆
'전기톱을 든 트럼프'로 불리는 하비에르 밀레이 대통령의 급진적 재정 개혁으로 아르헨티나는 주목받는 국가가 됐다. 미·중 갈등의 주요 전선 중 하나이기도 하다. 중국은 오랜 외교 및 경제적 접근을 통해 중남미에서 영향력을 키웠고 그 대가로 주요 원자재를 확보했다. 이를 탐탁지 않아 한 미국은 중남미에 대한 중국의 영향력을 줄일 방법을 고민하고 있다.
매일경제는 지난 9일 마르틴 레드라도 전 아르헨티나 중앙은행 총재와 인터뷰했다. 레드라도 전 총재는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중앙은행 총재를 지냈다. 그는 오는 9월 인천 영종도에서 열리는 '세계지식포럼'에 참석해 중국, 유럽의 글로벌 경제 전문가들과 혜안을 공유할 예정이다. 다음은 그와의 일문일답.
―밀레이 대통령 취임 이후 아르헨티나 경제가 어떤가.
▷재정적자 5%를 한 달 만에 줄였다. 강력한 예산 삭감, 지출 축소, 지방으로의 자금 이전 중단 등을 통해 달성한 결과다. 지난 10년간 아르헨티나가 어려움을 겪은 것은 능력 이상의 지출로 인한 부채 증가 때문이다. 밀레이 대통령만큼 재정 규율 확립에 헌신적인 사람은 본 적이 없다.
―아르헨티나 경제에 필요한 것은.
▷하나는 세금 혁명, 즉 세제 간소화다. 세금 종류를 줄이고 세율을 낮추며 세원 기반을 확대해야 한다. 또 하나는 수출 개혁이다. 이는 한국으로부터 배울 점이 많다. 세계에 나가 새 부가가치 사슬과 통합하는 것이다. 노동시장 개혁도 이뤄져야 한다.
―세금 개혁은 왜 해야 하나.
▷세금 간소화는 더 많은 사람들이 '지하경제'에서 벗어날 수 있게 한다. 라틴아메리카 전체의 문제는 지하경제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아르헨티나 경제의 약 35%가 지하경제에 속해 있다. 소득세를 내지 않는 노동자나 기업이 많다. 이 사람들은 주로 현금으로 생활하고 있으며, 필요한 사회적 보호를 받지 못하고 있다.
―노동 개혁에 대해서도 설명해달라.
▷아르헨티나는 노동조합이 매우 강하며 노동 유연성이 부족하다. 이는 기업들이 직원을 고용하기 어렵게 하고 지하경제를 통해 노동자를 고용하는 것을 선호하게 만든다. 따라서 1970년대에 만들어진 노동법을 현대화할 필요가 있다.
―현재 미국발 경기 침체 불안감이 있다. 이번에는 다를 것이라고 보는가.
▷2007~2009년 금융위기 당시의 원인들이 현재 존재하지 않는다고 본다. 그때 위기는 주택담보대출 시장에서 시작됐고, 기본적으로 모기지채권(CDOs)이 규제 없이 운영된 결과였다. 이번에는 주요 중앙은행들이 인플레이션을 적절하게 관리하지 못했다는 것이 내 생각이다. 예전과 같은 불황이 오지 않을 것이라 단정 지을 수는 없지만 중앙은행들이 금리 인하 경로를 명확히 제시한다면 불황을 피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예를 들어, 현재 많은 사람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올해 말까지 최소 1%포인트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경제정책을 수립할 때 주요 거시경제 변수의 경로를 명확히 제시해 민간 부문이 이에 맞춰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국 기업들이 리튬 생산을 위해 아르헨티나와 협력하고 있다. 다른 협력 분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삼성은 아르헨티나에서 존재감이 크다. 많은 전자제품 부품들이 한국에서 오고 있고, 스마트폰 시장에선 삼성의 점유율이 지배적이다. 아르헨티나는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뛰어난 인력을 보유했다. 특히 스페인어 사용 지역에서 우리의 IT 전문가들은 탁월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지식기반 경제, 특히 인공지능의 새로운 분야에서 협력할 수 있을 것이다. 자유무역협정 체결도 고려해봐야 한다. 아르헨티나는 농업 분야에서 매우 경쟁력이 강하지만 한국은 농업과 식량 확보에 대해 매우 보호주의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이 부분에서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강인선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개회식도 실수 연발이더니…아수라장 된 파리 올림픽 폐회식, 무슨일이 - 매일경제
- “삼촌 고마워요”…‘역도 은메달’ 박혜정 감사인사에 전현무 뜻밖의 답변 - 매일경제
- 일본은 금메달 20개 정확히 맞췄는데…너무 빗나간 한국, 왜 이런일이 - 매일경제
- “국민 남친 배우의 문란한 사생활”…‘강다니엘 비방’ 탈덕수용소, 선처 호소 - 매일경제
- “취소표 잡을까” “무서워서 가겠나”…한국인 몰려가던 ‘이 나라’ 여행 대혼돈 - 매일경제
- “손해봐도 일찍 받겠다”…국민연금 신규 조기 수급자 사상 최대, 왜? - 매일경제
- “절대 사라질 친구 아닌데”…회식 후 집에 가던 20대 직장인 실종 - 매일경제
- “벤츠 보고 있나”…현대차 이어 기아도 배터리 공개, 중국산 장착 차종은 - 매일경제
- “연금 30% 깎여도 어쩔 수 없다”…조기수급자 100만명 육박 - 매일경제
- ‘최약체 평가 이겨냈다!’ 한국, 파리서 ‘역대 최다 타이’ 금메달 13개로 종합 8위…1위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