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약바이오, 기술거래 줄되 액수 늘어…유망분야 중심"

송연주 기자 2024. 8. 12. 11: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술 거래는 매년 감소세에 있지만 상위 20위의 계약금액 규모는 증가해 가치 높은 기술에 대한 중점 투자 양상이 짙어지고 있다.

김 단장은 "2021~2023년 제약바이오 라이선싱 규모는 감소하는 수준이지만 상위 20위 계약의 규모는 증가해, 유망한 기술에 대해선 큰 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라이선싱 건수 감소세…상위 20위 계약 규모 증가
K-제약바이오 기술 수출 5년간 104건…48조 규모
[서울=뉴시스]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술 거래는 매년 감소세에 있지만 상위 20위의 계약금액 규모는 증가해 가치 높은 기술에 대한 중점 투자 양상이 짙어지고 있다. (사진=뉴시스 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연주 기자 =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술 거래는 매년 감소세에 있지만 상위 20위의 계약금액 규모는 증가해 가치 높은 기술에 대한 중점 투자 양상이 짙어지고 있다.

12일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발간한 '제26호 정책보고서'(KPBMA Brief)에서 김용우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제약바이오산업단장은 '글로벌 제약바이오 기술 라이선싱 동향·제언' 제하의 글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김 단장에 따르면 국내·외 제약바이오산업의 기술 수출은 계약 건수의 전반적인 감소세 속에서 유망한 신약·기술에 대한 큰 투자가 이뤄지는 모습이다.

2020년 말~2021년 초 분기당 250건에 달했던 글로벌 기술 거래가 작년에는 100건 규모로 50% 이상 줄었다. 하지만 계약 규모는 2021년 대비 10% 감소에 그쳤다. 연도별 계약 규모는 2018년 1125억 달러, 2019년 1159억 달러, 2020년 1706억 달러, 2021년 1724억 달러, 2022년 1664억 달러, 2023년 1560억 달러다.

실제로 작년 4분기 다이이찌산쿄와 머크 간 220억 달러 상당 초대형 규모의 항체-약물 접합체(ADC) 계약으로 전체 기술 거래 규모가 급등하기도 했다.

김 단장은 "2021~2023년 제약바이오 라이선싱 규모는 감소하는 수준이지만 상위 20위 계약의 규모는 증가해, 유망한 기술에 대해선 큰 규모 투자를 진행하고 있다고 판단된다"고 말했다.

계약 규모 상위 20위의 합산은 2021년 593억 달러에서 지난해 741억 달러로 늘었다. 가치가 높은 기술이 중점적으로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지난 3년간 계약 규모 상위 20개 거래를 분석했더니 '신약 발굴 플랫폼' 증가가 눈에 띄었다. 모달리티(치료접근법)가 세분화되거나 기술적으로 고도화된 형태의 기술이 활발히 거래되는 특징이다. 세포유전자 치료제도 조절 T세포, TCR(T세포 수용체) 등 다각화된 기술이나 AI를 접목한 저분자, 분자접착제 등 기존 기술의 공백을 채우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추세다.

국내 현황을 보면 최근 5년간 제약바이오 기술 수출은 총 104건, 47조7693억원 규모다. 2019년 8조4315억원, 2020년 10조9782억원, 2021년 14조516억원, 2022년 6조3458억원, 2023년 7조9622억원이다.

2021년과 비교해 2022년에는 계약 건수와 규모 모두 절반 이하로 줄었지만 작년에는 회복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3년(2021~2023년)간 업프론트(선급금) 비율은 6.13%로 집계됐다. 업프론트(Upfront)는 계약 직후나 일정 기간 이내에 입금되는 확정계약금이다.

리가켐바이오 등 국내 바이오 업체도 ADC 같은 글로벌 수요에 맞춰 다양한 플랫폼 기술로 거래 실적을 쌓았다. 피노바이오, 알테오젠, 앱티스 등도 ADC 관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김 단장은 "글로벌 빅파마는 블록버스터 의약품의 특허 만료와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약가 인하 정책으로 인해 파이프라인 다각화에 힘쓰고 있다"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과의 기술 라이선싱에 좋은 기회가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기술 거래를 단순히 수익 창출 수단으로 보지 말고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수단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빅파마의 기술 개발 트렌드에 맞는 새로운 기술을 확보하고, 업계의 부족한 재원을 보강하기 위해 신약 개발 전문펀드 확대 등 정부 차원의 지원도 필요하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songyj@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