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배터리만의 문제일까…정부, 과충전 문제 등 논의할 듯

김준 기자 2024. 8. 12. 08:1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2일 전기차 화재 관련 긴급회의

정부가 전기차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회의를 개최하지만 실효성 있는 대책이 많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나오고 있다.

현재 기술로는 전기차 배터리 화재 발생을 완전히 불식시키기 어려운데다 화재 발생시 짧은 시간에 진압시키는 기술이나 장치도 구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정부는 12일 환경부 차관 주관으로 국토부, 산업통상자원부, 소방청 등 관계 부처가 참여하는 전기차 화재 관련 긴급회의를 연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전기차 충전시설 설치를 지상으로 유도하는 방안, 배터리 제조업체 공개 등의 조치를 검토할 것으로 알려졌다.

현대차는 지난 9일 생산 중인 자사 전기차에 들어가는 배터리 제조업체를 공개했다. 현대차 홈페이지 캡처

이 가운데 배터리 제조업체 공개는 지난 1일 화재가 발생한 메르세데스 벤츠 EQE에서 일반인에 잘 알려지지 않은 중국 파라시스의 배터리가 탑재된 것이 확인된 이후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전기차에 대해 배터리 용량, 충전 시간, 주행 가능거리 정도만 공개해 왔다. 이와 관련, 유럽은 2026년부터 전기차 제조업체들이 소비자에게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공개하도록 의무화했다.

벤츠 화재 사고 이후 전기차 안전에 대한 우려가 커지자 현대차그룹은 지난 9일부터 자사 홈페이지에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를 공개했다.

중국 CATL 배터리가 탑재된 코나 일렉트릭을 제외한 나머지 전기차에는 모두 국내 업체인 LG에너지솔루션 또는 SK온의 배터리가 들어갔다. 기아도 조만간 전기차 배터리 정보를 공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수입차 업계는 부품 공급업체를 공개하지 않는다는 본사 방침을 이유로 공개가 곤란하다는 입장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에 화재 사고가 난 벤츠처럼 유럽지역 자동차 업체들은 제조 원가를 줄이기 위해서 또는 중국 자본이 투입돼 있는 특수한 관계 등으로 중국산 배터리를 많이 쓰고 있다”고 말했다.

이 같은 배터리 제조사 공개는 배터리 제조·생산 과정에서 화재에 대한 안전을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케 하는 유인이 될 가능성이 있다. 제조 능력이 부족해 안전을 위협하는 배터리 업체를 도태시키는 촉매제가 될 수도 있을 것으로도 보인다.

그러나 배터리 제조업체 공개가 전기차 화재 예방에 대한 근본적인 대안이 되기는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 많다.

중국산 배터리 뿐만 아니라 최고 기술력을 갖고 있다는 국내산 배터리를 탑재한 전기차에서도 화재가 종종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100% 충전된 전기차는 충전이 덜 된 차량보다 화재가 발생할 때 진화가 더 어렵기 때문에 ‘과충전’을 막는 방안도 이번 회의에서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 방안에는 충전율과 충전시간을 제한하는 방법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이도 전기차에 대한 소비자 불편을 가중시킬 수 있어 궁극적인 조치는 아니라는 지적이 나온다.

전기차의 최대 단점 중 하나인 짧은 주행거리를 더 짧게 만드는 방안이기 때문이다.

최근에 생산되는 전기차의 경우 100% 충전할 경우 500㎞가량을 달릴 수 있다. 이용자 입장에서는 이마저도 주행거리가 부족하다는 입장이다. 여기서 충전율을 90%로 제한하면 450㎞로 주행거리가 떨어진다.

일각에서는 배터리 기술이 아직은 완전하지 않은 만큼 화재 발생시 피해를 최대한 줄일 수 있는 방향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전고체 배터리 등 현재보다 화재 발생이 덜한 배터리가 나올 때까지 전기차의 경우 지하 주차장이 아닌 지상 등으로 주차 공간을 제한시키고, 충전시설도 지상에 설치하는 방안이 해당된다.

특히 충전시설 제조와 관리도 강화되야 한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한 전기차 사용자는 “가끔 공공기관에 설치된 충전기에서 충전하는데, 충전 시설과 장치가 제대로 만들어진 제품인지, 공사는 꼼꼼히 한 것인지 의심이 들 때가 많다”면서 “배터리 뿐만 아니라 충전 시설에 대한 점검이나 정밀한 시공 여부, 관리도 확인돼야 한다”고 말했다.

김준 선임기자 j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