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은 '안전성' 통해 우위 점하고, 정부는 '화재' R&D 지원 나서야
전기차 가격 경쟁 치열…배터리 경제성 우선
이제는 안전 우선할 때…투자 가치 충분
정부, 배터리 안전 규격 손질하고 정보 알려야
전기차 화재 전용 R&D 지원·인프라 확충 필요
[임춘택 광주과학기술원(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이데일리 이다원 기자] “전기차가 장기적으로 주류가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안전은) 충분히 투자할 가치가 있는 전략적 선택이 될 것이다.”
임춘택 광주과학기술원(GIST) 에너지융합대학원 교수(전 에너지평가원장)는 11일 이데일리에 보낸 기고문과 전화 인터뷰를 통해 이제는 글로벌 완성차·배터리 업체가 “안전성을 우선할 때”라며 이렇게 말했다. 그는 물론 “국내외 주력 전기차 및 배터리 업체는 안전성을 확보하는 데 많은 신경을 써온 건 사실이지만, 경제성 때문에 미뤄온 부분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에 이어 잇단 화재 사고로 인한 전기차 포비아(공포증)가 점증하는 상황에서 안전성을 확보하는 건 이미 가격과 성능을 잡았다는 평가를 받는 국내 업체들에 유리한 부분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시장에서 우위를 선점할 수 있다는 게 임 교수의 진단이다.
소비자들은 많게는 1억원대 전기차를 구매하면서도 안전을 좌우하는 핵심 부품 제조사를 알 수 없는 ‘깜깜이’ 상태에 놓여 있다. 11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1일 인천시 서구 청라국제도시에서 발생한 화재 발생 차량인 메르세데스-벤츠에 탑재된 배터리 셀은 중국 ‘파라시스 에너지’ 제품이다. 해당 제조사가 화재 위험으로 미국·중국 등에서 리콜 사태를 겪은 바 있는 만큼 업계 안팎에서는 배터리 품질 문제에 따라 이번 화재가 발생했을 것이라는 추측을 조심스레 내놓고 있다. 고가의 글로벌 고급 완성차 브랜드가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은 배터리를 고가 전기차에 채택한 데 대한 실망과 의문을 표하는 이유다.
이를 두고 임 교수는 “완성차 제조사가 치열한 가격 경쟁 속에서 안전성보다 경제성을 우선했기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배터리 가격과 수급을 안전보다 우선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다.
실제로 배터리는 전기차 가격의 40% 안팎을 차지한다. 전기차용 배터리는 수백 개의 셀로 구성돼 단 한 개 셀에만 불이 붙어도 내부에서 전기적 쇼트(단락)가 발생, 전체에 불이 옮겨붙는 구조다. 따라서 인접 셀로 화재가 전파되지 않도록 셀 사이에 냉각재·난연재를 쓰거나 고장 난 셀이 없는지 진단하고 관리하는 배터리관리기술(BMS) 등 안전 기술을 적용해야 한다. 문제는 이를 적용할 경우 배터리 부피가 커지고 가격은 올라간다. 전기차 제조사로선 아무래도 부피가 작고 저렴한 배터리를 채택할 수밖에 없다.
더 큰 문제는 배터리 제조사마다 안전 기술 역량이 각각 다르다는 데 있다. 임 교수는 “심지어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셀 중 하나가 고장 나 과전류가 흐르면 이를 차단하는 간단한 퓨즈조차도 설치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나설 때…전기차 안전규격 손질·배터리 정보 공개해야
임 교수는 “지금 시점은 정부가 나서야 할 때”라고 했다.
가장 먼저 정부는 전기차 화재 안전규격을 강화해야 한다. 화재 발생 시 진압이 용이한 구조로 배터리를 만들도록 규격을 정비하자는 얘기다. 더 나아가 임 교수는 정부가 △셀 간 전압을 일치시키는 ‘셀 밸런싱’ 기술 △화재 발생 시 자동소화하는 기술 등 배터리 안전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R&D) 지원도 동반해야 한다고 했다. 소비자의 알 권리 보장 차원에서 배터리 제조사 등 정보 공개도 필요하다.
그나마 다행인 건 완성차 업체들이 자체적인 대응에 나서고 있다는 점이다. 현대차·제네시스는 선제로 자사 전기차 13종의 배터리 제조사 정보를 공개하기로 했다. 기아 역시 동참할 예정이다. KG모빌리티도 마찬가지다. 수입차 업체의 경우 본사와 협의 과정을 거쳐 자체적인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전해졌다.
전기차 전용 화재진압 장비를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선 정부의 R&D 지원도 절실하다. 임 교수는 “아직 (전기차 화재 진압) 기술이 부족한 만큼 정부가 예비비를 편성해서라도 이를 지원해 권역별 필수 소방역량을 확보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전기차 충전율을 80~90%로 낮추고 지하 주차장 충전을 제한하는 기술도 필요하다. 아울러 차량 화재 전반에 대비해 소방 설비를 정비해야 한다. 아파트 등 공동주택 주차장은 지하화하면서 별도의 안전장치가 없는 경우도 빈번하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아파트에 설치된 전기차 충전기는 전체의 61.8%에 달하는 22만3158대다.
임 교수는 “정부는 지하 주차장 내 전 차량 화재에 우선 대비하고 여기에 전기차의 특수성을 고려한 대책을 추가해야 한다”며 지하 주차장 진입이 가능한 전용 소방차량을 지역마다 구비해야 한다고 했다.
이다원 (dani@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피해자 뒤따라가 원룸 침입시도…‘신림동 강간미수’ 피고인, 법정 서다 [그해 오늘]
- 조국 딸 조민, 명동성당서 비공개 결혼…야권 인사 발걸음
- “목숨보다 취소 수수료가 싸”…지진 공포에 떠는 日 여행객
- 모텔서 여친 목 잡고 흉기인질극… 'A급 수배자' 눈앞에서 놓쳐
- 최초로 金 땄더니 인기 폭발.. 올림픽 덕에 '불티'[중국은 지금]
- '숲의 버터'라더니…여전히 산림파괴 주범인 '이것'
- 결혼 한달만에 집나간 아내, 예물비용 돌려받고 싶어요[양친소]
- 母 묶고 중학생 딸 강간까지…2025년 출소하는 ‘그놈’ [그해 오늘]
- 10살 연하남 사로잡은 한지민…집도 매력만점 [누구집]
- 자식 버린 부모에 상속이.. '구하라법' 4년 만에 빛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