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라인쇼핑 거래액 20년새 300배 껑충… 1위 쿠팡 빼면 모두 적자

정서영 기자 2024. 8. 12. 03: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티몬·위메프의 대규모 정산 대금 지연 사태를 계기로 이커머스 산업에 대한 시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존 성공 방식에서 적잖은 리스크 요인이 발견된 만큼 산업 성장을 위해서라도 적절한 제동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정부 행정이나 법률 체제 구축이 산업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것도 이커머스 업체들의 방만한 경영에 일조했다는 평가도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2의 티메프’ 경보]
“일부 성장 우선시, 재무건전성 경시”
오픈마켓 정산기한 미적용 등
허술한 행정-법률, 방만경영 일조
동아DB

티몬·위메프의 대규모 정산 대금 지연 사태를 계기로 이커머스 산업에 대한 시각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기존 성공 방식에서 적잖은 리스크 요인이 발견된 만큼 산업 성장을 위해서라도 적절한 제동장치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11일 통계청에 따르면 국내 온라인 쇼핑 거래액은 지난해 227조3470억 원으로 집계됐다. 2013년 38조4940억 원에서 10년 만에 약 6배로 성장한 것이다. 20년 전인 2003년(7조548억 원)과 비교하면 300배가 넘게 뛰었다.

거래액이 급증하며 몸집은 불려왔지만 상위 이머커스 업체 가운데 쿠팡을 제외하고 실제 돈을 버는 곳은 거의 없다. 월간활성이용자수(MAU) 기준으로 1위 업체인 쿠팡은 작년 처음으로 흑자(6174억 원)를 냈다. 국내 2, 3위 업체인 11번가와 G마켓은 지난해 각각 1258억 원, 321억 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SSG닷컴과 컬리 역시 지난해 각각 1030억 원, 1436억 원의 손실을 봤다. 대기업 계열사와 전문 플랫폼을 가리지 않고 이커머스 업계 전반이 적자 영업을 하고 있는 것이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일부 업체들은 흑자 전환보다 성장만 우선시해 재무 건전성을 경시한 게 사실”이라고 했다.

정부 행정이나 법률 체제 구축이 산업의 속도를 따라가지 못한 것도 이커머스 업체들의 방만한 경영에 일조했다는 평가도 있다. 판매자가 플랫폼에 직접 상품을 등록해 거래하는 오픈마켓 커머스는 대규모유통업법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정산 주기에 대한 별다른 규정이 없었던 게 대표적이다.

이번 티몬·위메프 사태를 계기로 정부도 규제 강화를 약속하고 나섰다. 정부는 이달 7일 이커머스 정산 기한을 대규모 유통업자에게 적용되는 기한(40일)보다 짧게 정하는 내용의 제도 개선 방향을 발표했다. 금융 당국은 전자지급결제대행(PG)사와 이커머스를 분리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이러한 규제가 적용되면 이커머스 업체가 활용 가능한 자금 가용 폭이 줄어 마케팅 활동이 줄어들게 돼 이전 같은 거래액 중심 성장이 어려워진다. 기존에 성장해오던 업계 관행을 지속하다가는 산업에서 점차 도태될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서용구 숙명여대 경영학부 교수는 “매출만 나오면 무조건 상장할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이커머스 시장이 커졌지만 엔데믹과 내수 침체로 상황이 달라졌다”며 “거래액 외에도 창업자의 비즈니스 마인드, 신뢰도 등이 포함된 새로운 기업 평가 방법이 도입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정서영 기자 cero@donga.com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