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하균이 부릅뜬 눈으로 잡으려 했던 쥐새끼의 실체('감사합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2024. 8. 11. 15:33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벌써 끝? 종영이 아쉬운 ‘감사합니다’가 남긴 것들

[엔터미디어=정덕현] "흐려지면 안됩니다. 감사에 있어 가장 경계해야 하는 건 흐린 눈입니다. 상황을 편견없이 뚜렷하게 보십시오." tvN 토일드라마 <감사합니다>에서 신차일(신하균)이 하는 이 말은 이 드라마가 하려는 이야기를 압축해 보여주는 것이면서 시청자들에게 하는 이야기처럼 들린다. 세상을 바라보는 또렷한 시선. 기업 내에서 벌어지는 '감사'를 소재로 하고 있지만, 이 드라마는 세상에서 벌어지고 있는 일들, 특히 부정한 일들을 제대로 바라보는 것이야말로 좀더 나은 세상을 향한 길이라는 걸 말해준다.

"쥐새끼를 잡고 싶어 지원했습니다." 감사팀장 면접 자리에서 신차일이 말한 그 쥐새끼는 다름 아닌 '방만하면 회사를 다 갉아먹는' 존재다. 그래서 막연히 위치를 이용한 횡령이나 배임을 저지르는 이들이나 그런 일들을 '관행'으로 치부하는 이들이 바로 '쥐새끼'라고 생각하게 한다. 물론 그건 사실이지만 그렇게 눈에 띠는 부정한 이들만이 '쥐새끼'가 아니라는 걸 이 드라마는 후반부 반전을 통해 보여준다.

처음 신차일을 감사팀장 자리에 앉힌 황세웅(정문성) 대표는 마치 회사의 잘못된 시스템과 관행을 바로잡으려는 동반자처럼 등장했지만, 그건 일종의 위장술이고 사실은 신차일을 자신의 대표 자리를 공고하게 하기 위한 사냥개로 쓰려했다는 게 드러난다. 권력구도의 경쟁자인 황대웅(진구)이나 그를 따르는 가신 양재승(백현진) 같은 인물들과 관계된 자들의 비리를 캐냄으로써 그 입지를 흔들려고 한 것이다.

하지만 황대웅을 흔들기 위해 황세웅이 세운 계략들에 신차일이 흔들리지 않고, 오히려 그 실체를 파악한 그가 오로지 진실을 향한 감사의 칼날을 드리우기 시작하자 이제 거꾸로 황세웅이 위기에 몰리게 된다. 이러한 반전과 전세 역전의 상황이 말해주는 건 뭘까. 이것은 <감사합니다>라는 작품이 어떤 작품인가를 말해준다. 이 작품은 JU건설이라는 회사 안에 그 어떤 외압에도 흔들리지 않고 심지어 감정 변화조차 잘 보이지 않는 일종의 리트머스지 같은 인물 신차일을 넣음으로써 그 색깔이 어떻게 변하는가를 확인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감사합니다>는 이 과정을 통해 시청자들에게 몇 가지 매력적인 관전 포인트를 제공했다. 그건 정의의 실현을 해나가는 역할을 사내 감사팀에 부여함으로써 직장이라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부정과 이를 척결해가는 자들이 보여주는 카타르시스를 만들었다는 점이다. 그래서 진실을 향해 가는 감사팀은 마치 범죄를 수사하는 형사들 같은 모습을 보여주고, 그들의 진실 추적극은 시청자들을 몰입하게 만들었다.

하지만 이런 일들이 기업 내에서 벌어진다는 점은 신차일을 사냥개로 활용하기 위해 채용한 황세웅 대표와의 구도가 말해주듯이, 조직 내 권력 체계와 부딪치는 일이라는 점에서 정의와 진실의 추구가 쉽지 않다는 걸 보여준다. 신차일은 처음에는 부사장인 황대웅과 마찰을 일으키고 압력을 받지만 나중에는 대표인 황세웅에 의해 죽을 위기에까지 처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뚫고 나가는 돈키호테 같은 신차일이라는 판타지 캐릭터는 그래서 현실에서는 기업내 감사팀이 가진 한계 또한 분명하다는 걸 말해준다.

<감사합니다>는 JU건설 안에서 벌어지는 감사의 이야기를 통해 이것이 고스란히 우리네 현실의 축소판이라는 걸 암시한다. 사회의 부정부패를 조사하고 척결해야할 공적 기관들이 존재하지만 그들은 저 신차일을 부리려는 황세웅처럼 언제든 권력의 힘으로 그들을 무력화할 수 있는 내부의 적들을 갖기 마련이라는 것이다.

그렇다면 보다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 <감사합니다>는 그것이 돈키호테처럼 보일 지라도 흔들리지 않고 저 부정한 풍차를 향해 돌진하는 신차일 같은 인물의 소신과 용기만이 그걸 가능하게 한다고 말하고 있다. 구한수(이정하)처럼 정에 휘둘리기도 하고 또 윤서진(조아람)처럼 사적으로 얽힌 관계로 갈등하기도 하지만 그럼에도 잘못된 걸 바로잡으려는 그 한 가지의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신차일이 끝까지 변함없이 부릅뜬 눈이 강렬한 인상으로 남는 작품이다. 때론 충혈되기도 하고 때론 너무나 복잡하게 얽혀 있어 진실 앞에 흐려지기도 하지만 끝까지 흔들리지 않고 흐려지지지 않고 뚜렷하게 바라보는 것. 그래서 사회를 좀먹는 쥐새끼의 실체를 끝까지 놓치지 않아야 그나마 살만한 현실을 만들 수 있다고 그 눈이 말하고 있다.

정덕현 칼럼니스트 thekian1@entermedia.co.kr

[사진=tvN]

Copyright © 엔터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