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주식'에 과감한 베팅...'머니 무브' 가속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부동산과 주식 등으로 시중의 돈이 대거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8일 기준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718조2130억원으로 나타났다.
반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수시입출금식예금(MMDA)을 포함한 개인 요구불예금은 8일 현재 358조9219억원으로, 7월 말(362조1979억원)과 비교해 불과 8일 사이 3조2760억원 급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신용대출로 투자 기회를 노리는 이들도 많아져
최근 부동산과 주식 등으로 시중의 돈이 대거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8일 기준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가계대출 잔액은 718조2130억원으로 나타났다. 7월 말(715조7383억원) 이후 8일간 2조4747억원이 증가했다.
주택가격 상승에 따라 주택담보대출이 1조6404억원 늘어났으며, 신용대출은 8288억원 증가했다.
신용대출을 일반 신용대출과 마이너스통장(신용한도 대출)으로 나눠보면, 마이너스통장의 증가 폭(5874억원)이 더 크다.
불어난 신용대출의 경우 최근 폭락 장과 관계가 있다고 분석한다.
블랙 먼데이 당일 5대 은행의 신용대출(108조3933억원)은 전월 말(102조6068억원)보다 5조7865억원이나 많아졌다.
특히 같은 날 4031억원 늘어난 마이너스통장 잔액(39조6666억원)은 8일 현재까지 비슷한 규모(39조6678억원)를 유지하고 있다. 증시 변동성이 커지는 가운데 마이너스통장을 열어놓은 상태에서 투자 기회를 노리는 것으로 보인다.
반면 5대 은행(KB·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수시입출금식예금(MMDA)을 포함한 개인 요구불예금은 8일 현재 358조9219억원으로, 7월 말(362조1979억원)과 비교해 불과 8일 사이 3조2760억원 급감했다.
"대출 취급 제한 등의 조치 필요할 수도"
코스피 지수가 8.77% 떨어진 지난 5일 '블랙먼데이' 당시 하루 만에 2조366억원(360조1539억원→358조1173억원)의 요구불예금이 한꺼번에 빠져나갔다.
반면 증시 대기 자금인 투자자 예탁금의 경우 블랙 먼데이 하루에만 5조6197억원(53조8679억원→59조4876억원)이 증가했다. 이후 다소 줄었지만, 8일 기준으로 55조1217억원을 기록하며 여전히 7월 말(54조2994억원)보다 8223억원 많은 상태다.
개인투자자들은 대출 등으로 마련한 자금을 주로 레버리지 상장지수펀드(ETF) 등에 집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5일 개인은 'KODEX 레버리지'와 'KODEX 코스닥150레버리지'를 각 4382억원, 1617억원어치나 순매수했다.
레버리지 ETF는 기초자산의 일 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상품이다. 결국 개인 투자자들이 은행 등으로부터 빌린 돈으로 최대한의 레버리지(차입투자) 효과를 추구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은행의 9일 기준 주택담보대출 변동금리(신규 코픽스 기준)는 연 4.290∼6.514% 수준으로, 약 1주일 전인 지난 2일(연 4.030∼6.548%)보다 하단이 0.260%포인트 올랐다.
지표 금리인 코픽스는 3.520%에서 변화가 없었지만, 은행들이 앞다퉈 가산금리 추가 등을 통해 대출 금리를 인위적으로 인상한 결과다.
주택담보대출 혼합형(고정) 금리(은행채 5년물 기준·연 3.280∼5.290%) 하단 역시 같은 기간 0.250%포인트 뛰었다. 오름폭이 주요 지표인 은행채 5년물 금리(+0.020%포인트)의 12배를 웃도는 셈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집값이나 주식의 기대 수익률이 높다면 현재 연 4% 남짓 수준의 대출 금리는 대출자들에게 큰 제약이 되지 못하는 것 같다"며 "금리 인상에도 지금 추세대로 가계대출이 계속 빠르게 늘어나면 은행 입장에서는 대출 취급 제한, 한도 축소 등의 조치가 필요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김정우 기자 enyou@hankyung.com
Copyright © 한경비즈니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상가임대차계약의 묵시적 갱신조항, 임대인에게 편파적?[최광석의 법으로 읽는 부동산]
- 너무 높아진 취업 문턱...취준생들의 ‘한숨’
- '한 채에 50억 이상' 초고가 아파트 거래량 터졌다···작년대비 144% 증가
- "몸 아파도 연락할 사람이 없어요" 서울 1인 가구 절반 이상 '외톨이의 삶'
- 일본은행도 그럴듯한 계획이 있었다, 그러나 일주일 만에 고개숙였다[느닷없는 R의공포]
- “이러다 현대차도 따라잡힐라”...세계 자동차 시장 정복 나선 ‘중국’
- 최윤범, 유증 논란 사과…"고려아연 이사회 의장서 물러난다"
- ‘트럼프 효과’ 파죽지세 비트코인…사상 첫 9만달러 돌파
- 트럼프, ‘정부효율부’ 수장에 일론 머스크 발탁
- “틱톡을 구하라”… 트럼프, 틱톡 금지령 중단 추진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