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적이어도 친구는 친구…격랑의 시대 ‘찐우정’이 주는 감동

류재민 2024. 8. 9. 21: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격동의 근현대사는 가족을 남으로, 같은 민족을 적으로 갈라놓았다.

큰 그림을 보면 비극이지만 서로를 죽여야만 하는 운명이어도 결정적일 때 우정을 놓지 못하는 '찐친'들의 순박한 모습이 관객들을 웃고 울린다.

끝내는 서로 다른 운명을 살게 됐지만 작품 말미에 나오는 "친구들아 놀자"란 한마디가 마음을 뭉클하게 하는 동시에 혐오가 넘쳐나는 시대에 사람과 사람 사이에 무엇이 진짜 소중한지 일깨우게 한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상친구’ 출연진이 공연 후 관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류재민 기자

격동의 근현대사는 가족을 남으로, 같은 민족을 적으로 갈라놓았다. 같은 동네에서 자라 같은 시대를 겪은 친구 사이도 예외는 아니다. 어떤 미래가 다가올지도 모른 채 이념과 계급을 근거로 발생한 극한의 대립은 여전히 우리 사회의 상처로 남아 있다.

서로 엇갈리기까지 사연을 들여다보면 할 말이 많을 터. 연극 ‘세상친구’는 어릴 때부터 함께 자란 친구 만석과 천석을 중심으로 격랑의 시대가 불러온 우리 사회의 갈등을 그려낸다. 큰 그림을 보면 비극이지만 서로를 죽여야만 하는 운명이어도 결정적일 때 우정을 놓지 못하는 ‘찐친’들의 순박한 모습이 관객들을 웃고 울린다. 2019년 초연, 2023년 재연을 거쳐 올해 다시 무대에 올랐다.

질긴 인연의 서사는 일제강점기부터 시작된다. 만석은 아버지의 강압에 순사보조원이 되고 친구들 사이에서 권력자가 된다. 천성이 모질지 못한 만석은 일제에 항거하려는 친구들을 잡아들여야 하는 운명에서도 친구들을 챙겨주느라 바쁘다. 만석이가 보조가 아닌 진짜 순사가 됐으면 하는 천석이 자신을 잡아가라고 하는 대목에서는 서로를 위해 희생하려는 마음이 눈물겹게 다가온다.

시간이 흘러 작품의 배경은 해방 이후로 바뀐다. 지주와 소작의 갈등, 국군과 인민군의 갈등이 이어진다. 마찬가지로 친구를 죽여야 하는 상황에서도 만석과 천석을 비롯한 친구들은 적이면서도 친구의 사정을 먼저 생각해준다. 거창한 이념보다도 함께한 인연에 마음이 더 흔들리는 우정의 무대는 인생에서 진짜 중요한 것이 뭔지 설득력 있게 보여주며 고개를 끄덕이게 한다.

마포문화재단 제공

큰 흐름의 역사에서 실제 사람들의 삶은 어땠는지 ‘세상친구’는 세밀하게 보여준다. 비록 이렇게까지 살아간 이들은 없었지만 각 시대의 단면을 우정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보여줌으로써 더 인간적으로 다가오게 한다. 별일 없이 하루하루 평화롭게 살아갔어야 할 사람들이 각자의 인생을 제대로 책임져주지 못할 거대한 흐름에 휘말리면서 안타까움을 자아낸다. 지극히 인간적이고 정겨워서 주는 웃음이 되레 근현대사의 비극을 더 씁쓸하게 만든다.

무거운 시대를 다뤘지만 사랑스러운 인물들이 작품의 재미를 더한다. 공과 사를 엄격히 따지자고 들어도 사적인 감정을 숨기지 못하는 데서 오는 유쾌함이 틈틈이 웃음을 준다. 치열한 대립의 한복판에서도 무척이나 서로에게 다정한 사람들이 주는 감동은 작품을 애정하게 만든다. 끝내는 서로 다른 운명을 살게 됐지만 작품 말미에 나오는 “친구들아 놀자”란 한마디가 마음을 뭉클하게 하는 동시에 혐오가 넘쳐나는 시대에 사람과 사람 사이에 무엇이 진짜 소중한지 일깨우게 한다.

서울신문 신춘문예 출신의 오세혁 작가가 극본을 썼고 변영진 연출이 맡았다. 작은 공연장이지만 알차게 꾸민 무대가 풍성한 감정들을 담아냈다. 가수이자 배우인 테이를 비롯해 김대곤, 최영우, 심우성 등 1983년 동갑내기 배우들이 의기투합한 덕에 우정의 의미가 더 제대로 살아난다. 11일이 마지막 공연으로 서울 마포구 마포아트센터 플레이맥에서 볼 수 있다.

류재민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