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 90%까지만 하라” 응급처방…강제할 방법은 없다는데
외부충격·제품결함·과충전
주요 화재 요인중 충전 통제
고객들이 직접 조치 취해야
車제조사·운전자 참여 관건
“내연기관 오일 교체하듯
배터리도 사전 점검 필요”
소방청에 따르면 2018년부터 올해 6월까지 전국 전기차 화재 건수는 187건에 달한다. 이중 16건이 서울에서 발생했다.
전기차 화재 원인으로는 외부 충격, 배터리 결함, 과충전이 꼽힌다. 김필수 대림대 교수는 “전국에 깔린 전기차 충전기의 기능을 당장 조절하는건 무리이기 때문에 불안감을 잠재우고 안전성을 담보하기 위해 이같은 조치를 취하는건 적절한 판단”이라고 말했다.
전기차 충전율은 전기차 제조사와 소유주가 설정할 수 있다. 국내 완성차업체 중 현대차, 기아는 충전율을 스마트폰 앱이나 차량 내 콘솔에서 조정할 수 있다.
다만 제조사나 소유주가 충전율을 설정하는 방안 모두 외부에서 강제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여장권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충전율은 전기차 소유주가 언제든 설정할 수 있지만 자율적 의지에 맡길 수밖에 없어 지속적인 확인·관리가 어려운 것이 현실”이라고 밝혔다.
서울시가 개정을 추진하는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을 지키지 않아도 직접적인 불이익이 없다는 점 역시 이번 대책에 강제성이 없다는 점을 보여준다. 서울시는 전기차 소유주가 제조사에 ‘90% 충전 제한’을 설정해달라고 요청하면 해당 차량에 인증서를 발급하고, 9월까지 공동주택 관리규약 준칙 개정을 통해 인증서 발급 차량만 아파트 지하주차장에 들어갈 수 있도록 권고한다는 방침이다.
전기차 제조사 역시 최근 잇따르는 화재에 대한 부담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충전율을 제한하는 것은 별개라는 분석도 나온다. 자칫 소비자들에게 전기차 성능에 대한 의구심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여 본부장은 “서울시가 충전율 90%를 적용하는 것은 지속성·안전성 때문이지, 전기차의 성능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면서도 “제조사들은 충전율을 적용해 서울시 정책에 협조하면 외부에 ‘안전하지 않은 전기차’라는 인식을 줄 수 있다는 부분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배터리 충전 제한이 온전한 대책이 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온다. 한 자동차업계 관계자는 “높은 충전량은 높은 에너지량을 의미하므로 충전량을 제한하면 화재가 발생했을 때 피해를 줄이는 효과는 있을 것”이라면서도 “배터리 충전량과 화재 발생 가능성은 직접적 연관이 없고, 충전량은 배터리의 수명이나 내구도와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이에 서울시는 “충전율 제한 효과에 대한 일부 논란이 있더라도, 이를 행하는 것은 시민 안전을 지키고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 “앞으로도 전기차 화재 예방·대응 방안을 지속적으로 강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동차 업계에서도 전기차 화재에서 배터리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배터리 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했다. 엔진오일을 주기적으로 교환하는 것처럼 배터리 역시 관리의 영역으로 들어와야한다는 설명이다.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배터리 이상 징후 모니터링 시스템을 통해 고객 안전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지자체와 적극 협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배터리 진단 전문기업인 피엠그로우는 전기차 배터리 안전알림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해 배터리 이상 징후를 사전에 파악하고,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서다.
박재홍 피엠그로우 대표는 “고장 배터리가 폭발로 이어지기 전까지 반드시 사전 징후를 보인다”면서 “정수기를 주기적으로 관리받아 고장을 막는 것처럼 배터리도 전문 관리를 받아 안정성을 높이는 게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배터리 업계도 안전과 직결되는 배터리 관리 중요성을 높게 보고 있다.
LG에너지솔루션은 배터리 관리시스템(BMS)에 힘을 싣고 있다. 회사는 클라우드, 빅데이터, 머신러닝을 기술을 활용해 배터리 사용 패턴을 분석, 퇴화 과정을 연구하며 고장을 예측하는데 집중한다.
정부도 전기차에 데이터 수집장치를 탑재해 배터리 상태를 실시간 알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 산업을 지원하겠다고 나섰다.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배터리 구독·교체 사업을 활성화하겠다는 취지로, 완성차와 배터리 업체 등이 참여하는 민·관 공동협의체가 지난 6월 출범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선수촌 퇴출된 못말리는 수영선수...이번엔 “네이마르가 DM보냈다” 발칵 - 매일경제
- 코로나19 환자 4주간 6배 폭증…입원환자 65%는 65세 이상 - 매일경제
- “하루 12% 오르다니, 역시 대장님”…저가매수 몰려 급반등한 비트코인 - 매일경제
- “일요일 새벽 또 잠 못자겠네”...‘절친’ 우상혁·전웅태 금메달 동반 사냥 - 매일경제
- “피자 쏠려 못먹겠다, 환불해줘”...CCTV봤더니 세워서 들고가는 황당 손님 - 매일경제
- 2분기 또 사상 최대 실적…동학개미 ‘최애’ 이 종목 싹쓸이 [주식 초고수는 지금] - 매일경제
- 교수와 해외출장 후 귀국 사흘 만에 숨진 대학원생...숭실대 “비위 확인” - 매일경제
- “친구들 학교 간 사이에”…열네살 최연소 금메달리스트 탄생 - 매일경제
- “청첩장인줄 알고 눌렀다가 통장이 텅텅”...스미싱 피해자, 구제 길 열렸다 - 매일경제
- 김유진이 해냈다! 16년 만에 女 태권도 57kg급 금메달…종주국 자존심 지켜 [파리올림픽] - MK스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