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급문화 '거리의 낙서' 예술로 인정받기까지

김슬기 기자(sblake@mk.co.kr) 2024. 8. 9. 16:3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반세기 전 미국의 반항아들이 만든 '거리의 미술'은 어느덧 주류가 됐다.

그라피티의 아이콘, 장미셸 바스키아는 21세기 들어 수백억 원을 호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작가가 됐고, 뱅크시는 신문에 나올 만한 뉴스를 끝없이 만들어낸다.

2011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 전시 이후에는 '그라피티 아트'로 불리며 현대미술의 새로운 장르로 평가받고 있다.

불과 10여 년 전 루돌프 줄리아니 뉴욕시장은 그라피티를 낙서로 규정하고 천문학적 비용을 들여 지우는 정책을 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그라피티와 공공의 적 최기영 지음, 호밀밭 펴냄, 1만8000원

반세기 전 미국의 반항아들이 만든 '거리의 미술'은 어느덧 주류가 됐다. 그라피티의 아이콘, 장미셸 바스키아는 21세기 들어 수백억 원을 호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비싼 작가가 됐고, 뱅크시는 신문에 나올 만한 뉴스를 끝없이 만들어낸다. 2011년 미국 로스앤젤레스 현대미술관 전시 이후에는 '그라피티 아트'로 불리며 현대미술의 새로운 장르로 평가받고 있다.

최기영은 그라피티 아트 전시 기획으로 'B급 문화 전도사'란 별명을 얻은 큐레이터다. 그는 2014년 경기도미술관에서 '아트 온 더 스트리트(Art on the street)'라는 이름의 그라피티 전시를 국내 공공미술관 최초로 기획했다. 이 책은 이후 10년을 돌아보며 오늘날 '한국적' 그라피티의 현재와 가능성을 분석한 결과물이다. 2015년부터 2021년까지 경기도의 지자체와 함께 그라피티 아트 프로젝트가 시도됐다. 지역 주민의 동의를 얻어 동두천 보산동 외국인관광특구의 상가에 그라피티를 그렸다. 미군부대 인근 마을에는 미군들의 장난스러운 낙서가 많아 주민들은 관심을 갖지 않았다. 전전긍긍하며 그림을 그린 작가 입장에선 허탈할 정도로 간단한 일이었다.

뉴욕과는 180도 다른 상황이다. 불과 10여 년 전 루돌프 줄리아니 뉴욕시장은 그라피티를 낙서로 규정하고 천문학적 비용을 들여 지우는 정책을 폈다. '깨진 유리창 법칙'에 근거해 낙서와 빈집이 도시 환경을 파괴하고 범죄율을 높이는 원인이라고 지목한 것이다. 뉴욕의 파이브포인츠 건물은 명물 그라피티가 흰색 페인트로 대거 지워지면서 작가들이 건물주에게 작품 훼손으로 소송을 제기했다. 연방 판사는 이를 순수예술작품 파손 행위로 인정해 정식 재판을 받게 했고 작가 21명에게 670만달러(약 74억원)를 배상하라는 판결을 내렸다. 예술가들의 변호사는 "그라피티가 드디어 하나의 예술로 인정받았다"고 자평했다. 아이러니하게도 지금 이 지역은 뉴욕의 관광자원이 됐다.

반면 미군 2만명이 빠져나가고 슬럼화돼 삭막해진 2015년부터 동두천에 찾아온 작가는 최진현, 소수영, 정주영, 유승백 등이었다. 이들은 돈을 벌기 위해 클럽 그림을 그리며 도시를 캔버스로 삼기 시작했다. 2018년 이후 주민들의 냉소적 시각은 사라졌고 K팝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면서 관광 코스로 자리 잡았다.

[김슬기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