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 호조에도 LCC '휘청'…나란히 영업익 후퇴한 이유

이다솜 기자 2024. 8. 9. 14:4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 정상화로 여객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의 2분기 실적이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높은 환율로 인한 비용 증가, 중·단기 노선 경쟁 과잉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이들은 여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할인 행사 등 프로모션을 쏟아내고 있는데, 과잉 경쟁으로 출혈 경쟁이 심화된 것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주항공 적자전환에 진에어 영업익 9억
고환율·고유가에 고정비용 늘어…수익성 악화
과잉 경쟁도 영향…LCC간 통합 향후 변수될 듯


[서울=뉴시스] 진에어 B737-800. (사진=진에어) 2024.05.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다솜 기자 =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 정상화로 여객 수요가 견조한 가운데, 국내 저비용항공사(LCC)들의 2분기 실적이 부진한 성적을 거뒀다. 높은 환율로 인한 비용 증가, 중·단기 노선 경쟁 과잉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9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올 2분기 실적을 발표한 제주항공, 진에어 등 국내 LCC는 전년 대비 후퇴한 실적을 기록했다.

먼저 제주항공은 별도 기준 올 2분기 영업손실 95억원으로 적자 전환했다. 매출액은 4279억원으로 15.7% 늘었으나, 순손실 역시 215억원으로 적자로 돌아섰다. 지난해 2분기 영업이익과 순이익으로 각각 231억원, 199억원을 거둔 것과 비교하면 크게 후퇴한 수치다.

같은 기간 진에어도 영업이익 9억원을 거두며 전년 동기 대비 94.9% 감소했다. 매출은 3082억원으로 19% 증가했음에도, 순손실은 59억원으로 작년과 비교해 적자 전환했다.

이는 고환율과 고유가로 고정 비용이 늘면서 매출 상승에도 수익성이 악화했기 때문이다. 항공사들은 사업 운영을 위한 고정 비용으로 여객기 리스비, 유류비, 영공 통과료 등을 지출하는데, 이 대금은 모두 달러로 지출한다. 때문에 고환율 기조가 이어질 경우 비용 압박이 커진다.

특히 LCC의 경우 대한항공, 아시아나항공과 같은 대형항공사(FSC)에 비해 여객기 임대 비중이 높아 리스비로 인한 압박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고유가도 문제인데 항공유 가격이 배럴당 1달러만 상승해도 약 약 350억원의 손실을 감수해야 한다.

한편 중·단거리 노선을 둘러싼 LCC의 과잉 경쟁도 수익성을 악화하는 요인으로 지목된다. 해외여행 수요가 코로나19 이전 수준을 회복하는 등 정상화 추이를 보이고 있지만, 일본·동남아 등 비슷한 노선을 운영하다 보니 내부 점유율 경쟁이 치열한 상황이다.

현재 국내 LCC는 최근 플라이강원이 이름을 바꾸고 새롭게 출범한 파라타항공을 포함하면 약 10개에 이른다. 이들은 여객을 끌어모으기 위해 할인 행사 등 프로모션을 쏟아내고 있는데, 과잉 경쟁으로 출혈 경쟁이 심화된 것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항공업계는 향후 LCC간 통합이 업계의 변수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먼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합병으로 진에어·에어서울·에어부산 3사가 합쳐진 '통합 LCC' 출범이 예고돼있다. 이들 항공사의 기단을 합치면 총 54대로 LCC 업계 1위인 제주항공의 자리를 넘볼 수 있다는 추측도 나온다.

한편 제주항공은 에어프레미아의 유력 인수 후보군으로 꼽힌다. 에어프레미아의 최대주주 지분을 포함한 경영권 지분이 내년에 매물로 나오는데 이 인수전에 참여할 것이라는 가능성이 제기된다.

이외에도 이스타항공 등 사모펀드가 보유한 LCC 역시 인수합병(M&A) 후보로 거론된다. 이는 향후 통합 LCC 출범을 고려하면 사실상 제주항공이 타 LCC 인수로 몸집을 키워야만 양강 구도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LCC 2위 자리를 굳건하게 지키고 있는 티웨이항공의 장거리 노선 확대도 변수다.

실제로 김이배 제주항공 대표는 최근 CEO 메시지를 통해 "항공산업 구조변화와 관련해 다양한 불확실성이 있다"며 "사모펀드가 투자한 항공사들은 언젠간 매각 대상이 될 것이고 향후 M&A 기회가 왔을 때 어떻게 대응할지가 중요하다"며 의지를 밝힌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citize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