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도 아니고, 재미도 아니다” 그런데 왜 공부하고 일하는가…그가 수학만 파는 까닭 [필동정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공부가 업(業)인 사람이 있다.
웅진재단(이사장 신현웅)이 지난달 26일 개최한 '웅진 수학영재 장학생 하계 멘토링'에서 화상으로 만난 박성기 박사가 그런 사람이다.
그렇다면 그냥 공부가 재미있어서 하는 것일까.
돈도 재미도 아니라면 그는 무엇 때문에 공부를 평생의 업으로 삼은 것일까.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선 그는 “돈을 많이 줘서 하는 건 아니라고 확실히 말할 수 있다”고 했다. 박사후 과정 급여는 “근근이 먹고 살 수 있을 만큼의 돈”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그냥 공부가 재미있어서 하는 것일까. 박 박사는 그것도 아니라고 했다. 그는 “(수학 외에도) 세상에는 인공지능·물리·경제·화학 등 의미있고 재미있는 것들이 너무나 많다”고 했다.
돈도 재미도 아니라면 그는 무엇 때문에 공부를 평생의 업으로 삼은 것일까. 그의 답은 이랬다. “단지 수학이 제가 경험해본 것 중에서 가장 저에게 자연스럽고, 제가 세상에 뭐라도 기여한다면, 수학이 가장 좋은 창구가 되지 않을까 하고 생각합니다. 다른 재미있는 분야들은 제가 수학보다 잘하지 못했던 거 같습니다.”
그의 답은 우리가 종종 듣는 조언과 어긋난다. 우리는 흔히 재미와 열정을 좇고, 돈을 벌라는 말을 듣는다. 그러나 열정을 좇느라 자신이 잘하지 못하는 일을 선택하는 건 어리석은 짓이다. 못하는 일에서 성과를 낸다는 건 너무나 힘들다. 성과가 없으면 열정은 금세 사라진다. 생계를 잇기가 힘들 수도 있다. 돈도 삶의 목적이 될 수 없다. 일정 수준 이상 벌면 더 이상 행복해지지 않는다. 반면 내가 잘하는 일을 하면 보다 쉽게 무언가를 성취할 수 있다. 그 성취감이야말로 열정의 동력이다. 그 일을 통해 세상이 기여하면 자신이 세상에 존재하는 이유를 찾게 된다. 그러므로 자신이 잘하는 일을 업, 즉 소명으로 삼아야 한다.
김인수 논설위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5.5억 못갚아 52억에”…강남 재건축 ‘최대어’ 구반포, 경매 나왔다 - 매일경제
- “내 스폰이 누군지 알아”…‘팀코리아 옷’ 입은 협회 직원들, 파리 식당서 난동 - 매일경제
- 디카프리오, 26살 여친과 수영하다 ‘이것’ 습격, 응급처치…대체 뭐길래 - 매일경제
- 조국 아들, 연세대 석사 학위 취소됐다…‘허위 인턴확인서’가 발단 - 매일경제
- 상경해 알바로 살아가던 30대女, 반지하서 숨진 채 발견…방엔 막걸리병 다수 - 매일경제
- “15년 기다렸어요”…‘20억 차익’ 강남 로또청약에 몰린 만점통장, 그런데 - 매일경제
- 트럼프 ‘M7’ 때리기에 전세계 증시 ‘휘청’, 증권가 전망은? - 매일경제
- “이 클럽은 마약 소굴”...앞으론 업소명까지 싹 공개 - 매일경제
- 한지민·잔나비 최정훈 열애...10살 연상연하 커플 탄생 - 매일경제
- 더위 때문인가…한화에 ‘6-0→6-10’ 대역전패보다 더 충격적이었던 ‘코리안 몬스터’ 류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