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홍걸, DJ 사저 매각에 "무능하다 해도 할 말 없다…차선의 선택"

이수빈 2024. 8. 8. 09:3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김홍걸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일 상속세 부담을 이유로 부친인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를 매각한 것에 대해 "공공 차원에서의 기념관이 만들어지기를 바라셨던 게 부모님의 생각이었는데 안 된 부분에 있어서는 정말 죄송하게 생각한다"면서도 "최선의 결과는 만들어내지 못했지만 차선의 결과는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를 매각한 것을 두고 정치권의 비판이 이어지자 "저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문화재 부분은 불가능하다는 게 설명 드렸고 그걸 회복을 하려면 최소한 내용을 제일 잘 아는 저나 새로 매입하신 분, 둘 중 하나는 접촉을 해야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것 아니겠나"라며 "그러나 아까 말씀드린 대로 정치권에서 전화가 한 통도 온 적 없다"고 불편한 심경을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CBS '김현정의 뉴스쇼' 라디오 인터뷰
"우려하는 만큼 최악의 결과는 아냐"
"어떤 독지가가 매입해야 했던 상황"
박지원 전재산 기부엔 "전화 한 통 없다"

[이데일리 이수빈 기자] 김홍걸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8일 상속세 부담을 이유로 부친인 김대중 전 대통령의 동교동 사저를 매각한 것에 대해 “공공 차원에서의 기념관이 만들어지기를 바라셨던 게 부모님의 생각이었는데 안 된 부분에 있어서는 정말 죄송하게 생각한다”면서도 “최선의 결과는 만들어내지 못했지만 차선의 결과는 만든 것”이라고 말했다.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령 서울 마포구 동교동 사저를 상속세 문제로 매각해 논란이되고 있다. 사진은 7일 서울 마포구 동교동 고(故) 김대중 전 대통려의 사저.(사진=뉴스1)
김 전 의원은 이날 CBS ‘김현정의 뉴스쇼’ 라디오 인터뷰에 출연해 “제가 무능해서 그랬다고 비난하셔도 저는 드릴 말씀이 없다. 다만 많은 분들이 우려하시는 최악의 결과는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김 전 의원은 동교동 사저 매각 후폭풍에 대해 “저로서는 이것저것 노력해봤다가 안 됐고, 저희 형님도 상당 기간 노력했는데 안 됐기 때문에, 정부나 지자체에서도 못 하는데 정치인들이 얘기를 한다고 과연 될 것인가”라며 동교동 사저의 문화재 지정이 어렵다고 설명했다.

그는 먼저 “서울시 공무원들의 권유를 듣고 4년 전에 제가 문화재 지정 문화재 지정 신청을 했다가 바로 거부됐다”고 밝혔다. 문화재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건설·제작·형성 이후 50년이 지나야만 가능하다. 50년이 지나지 않은 현대문화유산까지 보존·관리하는 ‘예비문화예산’ 제도는 올해 9월부터 시행된다.

김 전 의원은 “상속세만 해도 17억원 이상 나왔고, 그걸 한 몫에 낼 수 없으니까 5년에 나눠 내겠다고 했다”며 “그러니까 국세청에서 저는 그걸 잘 그걸 절차를 몰랐지만 근저당을 걸었다. 그 돈에 대해서. 그러면서 일이 좀 어렵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상속세 몇 억 만이라면 어떻게라도 해 봤을 것”이라며 “다른 채무도 있고 저는 국회의원을 그만뒀기 때문에 아무 수입도 없다”고 자신의 어려운 상황을 전했다

매각 결정 전 동교동계 원로 또는 김대중재단 측과 상의했느냐는 질문에 “재단 분들이 맡아서 해보겠다 하셨는데, 죄송한 말씀이지만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았다”며 “지난 봄부터 그분들도 이거를 어떤 독지가가 매입해 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건 알고 계셨다”고 주장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사저를 매각한 것을 두고 정치권의 비판이 이어지자 “저로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것이, 문화재 부분은 불가능하다는 게 설명 드렸고 그걸 회복을 하려면 최소한 내용을 제일 잘 아는 저나 새로 매입하신 분, 둘 중 하나는 접촉을 해야 해결책을 찾을 수 있는 것 아니겠나”라며 “그러나 아까 말씀드린 대로 정치권에서 전화가 한 통도 온 적 없다”고 불편한 심경을 밝혔다.

이어 “박지원 의원님 같은 경우에 전 재산도 내놓을 수 있다고 하셨는데 어머니(이희호 여사) 돌아가신 후로 동교동 일과 관련해서는 저한테 전화를 주신 적 없다”며 “저나 새로운 매입자와 상의를 안 하신 상황에서 뭐가 해결책이 나올 수 있는 건지 저는 좀 어리둥절할 뿐”이라고 했다.

모금을 통해 상속세 문제를 해결할 수도 있지 않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금년 초 김대중재단에서 아버님 탄신 100주년 행사를 했다. 그런데 그거 몇 억 드는 것도 모금이 힘들어서 마지막에는 민주당 의원들이 십시일반으로 조금씩 걷어서 도울 정도로 모금이 힘들다”며 부정적 입장을 밝혔다.

한편 동교동 사저는 김 전 대통령이 1961년부터 2009년 타계할 때까지 정치 활동 터전으로 삼았던 곳으로 ‘동교동계’라는 이름을 낳게 했다.

이수빈 (suvin@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