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중립 올림픽” 파리의 실험은 애초 성공할 수 없었나

옥기원 기자 2024. 8. 8. 06:05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파리올림픽과 기후변화의 불편한 진실
“탄소배출 절반으로” 소리만 요란
올림픽이 ‘그린워싱’ 수단 비판도
파리의 에펠탑이 내려다보이는 트로카데로 광장에 올림픽 링이 설치되어 있다. AP연합뉴스

‘에어컨 없는 올림픽’은 폭염 앞에 흐지부지됐다. 파리의 온도가 100년 전과 같았다면, “기후변화가 올림픽을 망쳤다”(프리데리케 오토 ‘세계기후특성’(WWA) 공동창립자)는 말도 나오지 않았을 것이다.

미국 비영리 기후연구 단체인 ‘클라이밋 센트럴’ 조사 결과, 파리에서 첫번째 올림픽이 열린 1924년 이후 100년간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파리의 7~8월 평균 기온은 3.1도 상승했다. 1924~1933년 파리에서 30도가 넘는 날씨는 69일이었지만, 최근 10년(2014~2023년) 동안은 188일로 폭염(유럽 기준 30도 이상)이 약 2.7배 증가했다. 열대야(유럽 기준 밤 기온 20도 이상)도 100년 전보다 20배 이상(4일→84일) 많아졌다. 산업화 이후 프랑스, 영국, 독일 등 유럽 지역에서 온실가스가 무한정 배출된 결과다.

파리올림픽조직위원회는 “역사상 첫번째 ‘탄소중립’ 올림픽”이라며 2024 파리올림픽을 치르며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을 이전 대회들의 절반 수준으로 억제하겠다는 목표를 내건 바 있다. 이전 여름 올림픽들의 평균은 350만톤이었는데, 175만톤만 배출하겠다고 한 것이다. 새 경기장을 짓지 않고 실내 냉방을 최소화하며 재생에너지를 사용하는 등 이를 뒷받침하는 구체적인 정책들도 내놨다. 그러나 폭염 앞에서 애초 계획했던 ‘저탄소’ 정책들이 실효성을 잃는 등 한계를 드러냈다. 이번 올림픽을 두고 친환경이냐 ‘그린워싱’(친환경 이미지 세탁)이냐 말들이 분분한 이유다.

100년 새 3도 오른 파리에서 ‘저탄소’ 가능한가

이번 파리올림픽 기간, 30도가 넘는 폭염이 기승을 부린 탓에 올림픽조직위가 애초 홍보한 저탄소·친환경 정책들은 조금씩 변경됐다. 탄소 배출을 막기 위해 에어컨이 없는 대회를 선언했지만, 폭염 우려 속 선수단의 불만이 커져 자비로 2500여대 에어컨을 주문할 수 있게 승인한 게 대표적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결과인 폭염이 되레 기후변화에 주는 영향을 줄이려는 노력에 제동을 건 셈이다.

애초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의문이 제기됐다. 미국 농구대표팀의 경우 800개 객실을 보유한 특급호텔 전체를 대여해 저탄소 정책에 반하는 ‘초호화 올림픽 관광’을 했고, 한국 수영선수단도 컨디션 조절을 위해 외부 호텔을 얻었다. 선수촌 식당에선 육류 소비를 최소화하기 위한 친환경 채식 식단을 제공했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많은 국가의 선수들이 단백질 보충을 위해 자체적으로 식사를 공수하는 일도 벌어졌다.

‘저탄소’를 내걸고도 ‘환경 파괴’ 논란을 피해 가진 못했다. 파리와 1만6천㎞ 떨어진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타히티섬에서 서핑 대회를 개최한 것은 해양 생태계를 파괴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경기 운영을 위해 바다 위에서 심판 등이 머물 대형 타워를 건설하려는 과정에서 산호초가 파괴된 게 문제였다. 환경단체들은 새 경기 시설 건설을 최소화한다는 대회 운영 방침에 맞춰 기존 타워를 재활용하라고 요청했지만, 결국 규모를 줄일 뿐 타워를 새로 건설하는 쪽으로 계획이 수정됐다. 시설을 축소해 건설하는 방침에도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산호 생태계 파괴에 대한 우려는 가시지 않았다.

진짜 문제는 거대한 ‘올림픽 탄소발자국’

대회 운영에서 아무리 탄소 배출을 줄여도, 초대형 국제 스포츠 행사의 성격상 한곳에 모인 수천만명의 관람객이 한꺼번에 탄소를 배출하는 등 거대한 ‘탄소발자국’을 남기는 것을 피할 수 없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대회 기간 중 전체 탄소 발생량 절반 이상이 관람객들로부터 나온다고 예상한다. 환경단체들은 200여개 나라에서 온 1만여명의 선수와 6만여명의 봉사자 및 미디어 관계자, 1500만명의 관람객이 직간접적으로 배출하는 탄소배출량이 올림픽조직위의 목표치인 175만톤을 웃돌 것이라고 본다.

글로벌 기후연구 단체인 ‘카본 마켓 워치’(Carbon Market Watch) 등은 예상 관람객 1500만명이 파리올림픽 기간 남길 탄소발자국을 약 180만톤으로 전망했다. 1인당 대중교통 이용과 식사 등으로 발생한 탄소배출량을 약 120㎏으로 보수적으로 계산한 결과로, 장거리 관람객이 많아지면 탄소배출량은 급증할 수 있다. 한국에서 프랑스까지 왕복 비행할 때 1인당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약 800㎏이다. 이에 대해 올림픽조직위는 기후친화적인 프로젝트를 지원하는 방식으로 “대회 자체에서 발생하는 것보다 더 많은 탄소배출량을 ‘상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개빈 메어 카본 마켓 워치 연구원은 “이전 여름 대회 평균 350만톤의 탄소배출량을 절반인 175만톤 수준으로 줄인다고 공언했지만, 실상은 탄소배출권 거래와 탄소배출량 누락 등으로 만들어낸 ‘부풀려진 수치’일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실제 배출량은 300만톤 안팎으로 예상되는데, 탄소배출권 거래로 배출량 수치만 줄였다는 것이다. 일본도 2020 도쿄올림픽 탄소배출 목표 달성을 위해 배출권 거래 프로그램에서 400만톤이 넘는 탄소배출권을 구매했고, 프랑스도 이번 대회를 준비하며 150만톤의 탄소배출권을 구매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린워싱’ 논란까지…“변화 계기로 삼아야”

캐나다 선수단 의류를 후원하는 ‘룰루레몬’은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과장해 소비자를 기만했다는 혐의로 캐나다와 프랑스 규제 당국으로부터 조사를 받고 있다. 메달과 봉사자들의 의류 등을 후원하는 명품 브랜드 루이뷔통은 에르메스, 샤넬과 함께 상품 과대 포장, 가죽을 위한 가축 도살, 브랜드 가치를 높이기 위한 재고 태우기 등으로 환경파괴 기업이란 평가를 받는다. 국제올림픽위원회의 공식 파트너 기업 중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내연기관 차량을 판매하는 도요타와 반도체·스마트폰 제조 과정에서 가장 많은 전력을 사용하는 삼성전자 등을 두고 ‘친환경 이미지 세탁’ 지적도 나온다. 올림픽이 ‘그린워싱’의 수단일 뿐이냐는 비판이 나오는 배경이다.

기후변화와 올림픽 사이 여러 불편한 진실들은 128년 동안 이어온 ‘인류의 제전’이 지속가능한가 하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결과가 포부에 미치지 못하지만, 역사상 처음 ‘탄소중립’을 내걸었던 파리올림픽이 드러낸 허와 실은 앞으로 대형 스포츠 이벤트와 기후변화 사이의 관계를 묻는 가늠자가 될 수 있다.

환경전문가들은 대형 이벤트를 만드는 관습적인 방식으론 거대한 탄소 배출을 피할 수 없다는 사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말한다. 마르틴 뮐러 스위스 로잔대 교수는 한 논문에서 “올림픽이 지속가능하려면 행사의 규모를 줄이고 관련 시설을 갖춘 도시들이 돌아가며 여는 방식으로 방문객들의 탄소 배출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개최 후보지가 급격히 줄어든 겨울 올림픽의 경우 실제 ‘순환 개최’ 방식이 논의되고 있다.

올림픽의 지속가능성을 평가·감시하는 독립기관이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온다. 이유진 녹색전환연구소장은 “평창겨울올림픽의 경우 애초 약속했던 가리왕산 복원 등이 아직 이행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라며, “탄소배출권 거래로 탄소를 줄이겠다고 한 개최국 약속이 잘 지켜지는지 등 후속적인 감독과 추적이 필요하다”고 짚었다.

이 소장은 이번 파리올림픽이 “생드니의 아쿠아틱스 센터 한곳만 새로 짓고 기존 경기장을 재활용함으로써 이후 개최지들에 지속가능한 올림픽 운영의 긍정적인 사례를 제시했다”고 평가했다. 다만 “뒷날 더 심각한 ‘올림픽 무용론’이 제기되기 전에 올림픽위원회가 획기적이고 실효성 있는 기후변화 대응을 내놔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옥기원 기자 ok@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