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포커스] 한국 증시의 민낯 드러낸 블랙먼데이

나지홍 기자 2024. 8. 8. 00:08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떨어질 땐 털썩, 오를 땐 찔끔
블루칩 대우 못 받는 코스피
주요 외신은 일본 증시만 초점
선진국지수 가입 서둘러야

카지노에서 현금 대용으로 쓰이는 칩(chip) 가운데 최고액인 블루칩(blue chip)은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는 용어다. 뉴욕증권거래소는 블루칩을 ‘품질과 신뢰성, 그리고 경기가 좋을 때나 나쁠 때나 수익을 낼 수 있는 능력 면에서 전국적인 명성을 얻은 회사의 주식’으로 정의하고 있다. 대형 우량주를 뜻하는 블루칩급은 아니지만 나름 탄탄한 실적을 내는 중소형주를 옐로칩(yellow chip)이라 부른다. 영미권에는 없는 한국식 조어지만, 국내에선 보편화됐다.

블루칩은 호황일 때 시세 상승을 주도하고, 불황기에도 쉽게 떨어지지 않는 특징이 있다. 역대 정부의 온갖 규제에도 ‘부동산 불패(不敗) 신화’를 이어온 서울 강남 아파트들이 대표적이다. 반면 옐로칩은 대세 상승일 때 블루칩보다 늦게 오르고, 하락장에선 먼저 떨어진다.

그래픽=양인성

블루칩은 업계 선두로서의 프리미엄을 톡톡히 누린다. 법률서비스 부문 1위인 김앤장은 외국계 기업의 법률 자문을 독점하다시피 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외국계 기업 임원들에게 그 이유를 물으니 한결같이 “실력도 실력이지만, 설령 소송에서 패하더라도 본사에 ‘한국 최고 로펌을 썼는데도 안 됐다’고 하면 쉽게 익스큐즈(excuse·해명)가 된다”고 답했다. 다른 로펌을 썼다가 패소하면 “왜 1등을 안 썼느냐”는 질책이 돌아온다는 것이다.

블루칩은 상대적인 개념이다. 비교 대상이 누구냐에 따라 달라진다. 서울대가 국내 대학 중에선 독보적인 블루칩이지만, 세계 초일류 대학들과 비교하면 ‘우물 안 개구리’ 신세인 것과 마찬가지다.

미국발(發) 경기 침체 우려로 글로벌 금융시장이 롤러코스터 타듯 요동친 지난 며칠은 옐로칩 신세인 한국 증시의 민낯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한국과 일본, 대만 증시가 나란히 사상 최대 하락폭을 기록한 지난 6일, 코스피지수는 8.8% 하락했다. 반면 위기의 진원지인 미국 나스닥지수 하락률은 절반도 안 되는 3.4%에 그쳤다.

지난 6일 빨간색 일색인 일본 도쿄 시내 대형 증시 현황판을 한 행인이 쳐다보고 있다. 이날 일본 증시의 대표 주가지수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지수)는 장중 8%대 급등하며 전날의 급락세를 멈추고 반등했다. /AFP 연합뉴스

그나마 일본 증시가 12.4% 폭락한 것이 위안거리였는데, 일본은 다음 날 10.2% 급등하는 놀라운 회복 탄력을 보였다. 같은 날 코스피 상승률(3.3%)의 3배를 넘었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와 미국 월스트리트저널 등 글로벌 경제 매체들은 아시아 블랙먼데이(Black Monday) 기사의 초점을 일본 증시에 맞췄다. 한국 증시 상황은 일본 기사 중간에 ‘한국 코스피도 큰 폭으로 떨어졌다’는 정도로 간단히 소개됐다. 아시아 증시의 블루칩이 어디인지가 백일하에 드러났다.

전문가들은 외풍(外風)에 취약한 한국 증시의 구조적 문제를 개선하려면 선진국지수 가입을 서둘러야 한다고 조언한다. 세계 15조달러의 투자 자금이 벤치마크로 삼는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지수에서 일본은 최상위인 선진 시장(DM)에, 한국은 둘째 등급인 신흥 시장(EM)에 속해있다. 신흥국 경제 위기 전문가인 카르멘 라인하트 하버드대 교수는 “경제 위기가 발생하면 글로벌 투자자들은 신흥국에서 먼저 돈을 빼지만, 경제가 좋아지면 선진국부터 먼저 투자한다”고 했다. 한국이 신흥 시장에 남아있는 한 ‘떨어질 때는 털썩 주저앉고, 회복될 땐 찔끔 오르는’ 상황이 언제든 반복될 수 있다는 뜻이다. 선진국지수 편입이 말처럼 쉬운 것은 아니다. 외환시장 24시간 운영이나 공매도 전면 재개처럼 MSCI 측이 전제 조건으로 내세운 난제를 풀어야 한다. 한국이 2008년부터 수차례 선진지수 편입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고배를 마신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부가 추진하는 밸류업(기업 가치 개선) 목표에 MSCI 선진국지수 가입을 포함시켜 차근차근 해법을 찾아나가길 바란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