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사상 최대 주가조작 사건…보름만에 작전세력 붙잡은 ‘두 검사’

강민우 기자(binu@mk.co.kr) 2024. 8. 7. 21: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부장 공준혁) 박수(사법연수원 39기)·이선미(변시 3회) 검사는 합수부 수사의 핵심을 '속도전'으로 꼽았다.

증거 조사와 영장 청구, 집행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합수부만의 수사다.

합수부의 일사분란한 '팀 수사'가 이 과정에서 주효했다.

박 검사는 "합수부에 온 검사들은 팀원들이 지닌 주특기를 전수받으며 한층 업그레이드된다"며 "합수부는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로 승부하는 조직"이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단일종목 최대 주가조작 ‘영풍제지 사태’ 수사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 박수·이선미 검사 인터뷰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 합수부 구성원들. 앞줄 왼쪽부터 공준혁 부장검사, 박수·고영하 검사. 뒷줄 왼쪽부터 이선미 검사, 금융위원회 이현기, 한국거래소 김은희, 금융감독원 김태규·채기수 수사관, 예금보험공사 정원식 조사관. [김호영 기자]
서울남부지검 금융·증권범죄합동수사부(부장 공준혁) 박수(사법연수원 39기)·이선미(변시 3회) 검사는 합수부 수사의 핵심을 ‘속도전’으로 꼽았다. 증거 조사와 영장 청구, 집행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합수부만의 수사다. 범인들이 이익을 실현하고 증거를 인멸하기 전에 서둘러 결판을 내야하는 특성 때문이다. 시간이 지날수록 수사는 벽에 부딪치고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난다.

단일 종목 사상 최대 규모의 주가조작으로 기록된 ‘영풍제지 사태’는 이같은 속도전이 성과를 낸 대표 사례다. 영풍제지가 주가조작 세력의 타깃이 된 당시 금융당국은 ‘라덕연 사태’를 계기로 신종 시세조종 행태를 집중 단속하고 있었다. 짧게는 며칠 안에 털고 나가던 과거와 달리 수사망을 피하기 위해 장기간 완만하게 주가를 끌어올리는 것이 달라진 신종 수법이었다.

영풍제지의 주가 차트에서 수상한 낌새를 포착한 금융위원회는 여러 심의 단계를 과감히 생략하고 ‘패스트트랙’으로 사건을 곧장 검찰에 넘겼다. 합수부는 지난해 10월 17일 주가조작 일당의 사무실을 덮쳐 범죄를 밝혀낼 물증을 손에 넣고 주요 조직원들을 검거했다. 이틀 뒤인 19일엔 범행에 이용된 계좌 압류와 거래정지 조치, 범죄 수익에 대한 추징보전을 모두 마쳤다. 합수부가 사건 자료를 건네받은 후 불과 보름 만에 이룬 성과들이다.

박 검사는 “주가가 폭락한 후 범인을 검거한 과거 사건들과 달리 영풍제지는 작전 세력이 ‘엑시트’ 타이밍을 저울질하던 상황에서 체포했다”며 “주식매도를 사전에 차단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합수부의 일사분란한 ‘팀 수사’가 이 과정에서 주효했다. 증거 분석을 맡을 팀과 영장 청구를 담당할 팀을 나누고 영장 집행과 조사를 실시할 팀도 따로 꾸리는 식이다. 추가 자료 요청 등 금융당국과의 협조도 긴밀히 이뤄졌다. 이 검사는 “금융범죄 수사는 데이터와 사람을 함께 수사해야 범죄가 명확해진다”며 “주식을 약 1만주 거래했다는 진술과 함께 9997주를 거래했다는 데이터를 확보하는 게 중요하다”고 전했다.

수사는 금세 확대됐다. 압수한 파일과 서류를 조사하던 수사팀은 범행 규모로 미뤄볼 때 공범들이 있을 거라 확신했다. 검찰이 이른바 ‘아이들팀’의 존재를 밝혀낸 것도 이때였다. 50대로 이뤄진 주력 멤버들과 달리 2030세대로 구성된 아이들팀은 풋살 동호회, 고향 친구 등 다양한 연결고리로 이어져 있었다. 소위 ‘꾼’들로 팀을 꾸려 폐쇄적으로 운영되던 과거 양상과는 확연히 달랐다.

변호사들의 조력을 받아 도주하던 총책 A씨도 베트남으로 밀항을 시도하다 결국 체포됐다. 검찰은 지난 2월 A씨를 구속 기소한 데 이어 시세조종을 의뢰한 배후세력과 자금을 댄 재무적 투자자 등 현재까지 사건 관련자 24명을 기소했다.

박 검사와 이 검사는 “파견 기관 팀원들의 도움 없이는 불가능했을 일”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들과의 협업이야말로 합수부를 규정하는 정체성이란 얘기다. 저마다 기관이 지닌 노하우와 강점이 수사의 효율과 질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거래소 파견 직원이 주가 차트를 분석하고 금융감독원 조사관은 부당이득액 산출을 맡는 식이다. 법인 간의 복잡한 자금 흐름은 국세청의 전문 분야다. 감쪽같이 조작된 회계장부도 합수부 앞에선 무용지물인 이유다.

박 검사는 “합수부에 온 검사들은 팀원들이 지닌 주특기를 전수받으며 한층 업그레이드된다”며 “합수부는 유관기관과의 ‘네트워크’로 승부하는 조직”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