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게임 명예혁명] 〈1〉용호성 문체부 제1차관 “종합 문화예술 게임, 비교우위 전략 키운다”
게임은 단순한 오락을 넘어 문화예술과 콘텐츠의 힘을 통해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강력한 도구다. 그럼에도 국내에서는 수시로 흉악 범죄 원인으로 지목되거나 중독 질병이라는 오명을 짊어지고 있다. 본지는 'K게임 명예혁명' 연속 시리즈를 통해 게임이 가진 예술적, 문화적, 사회적 가치를 조명한다. 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을 변화시키기 위한 노력을 다룬다. 첫 순서로 지난달 취임한 용호성 문화체육관광부 1차관을 만나 게임의 긍정적인 영향력과 그 가능성을 재조명했다. 게임 산업이 어떻게 우리 사회에서 올바른 자리를 찾을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다음을 일문일답.
-최근 한국 게임 산업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우리나라 콘텐츠 산업은 지난 20년 동안 빠르게 성장했다. 그 중에서도 게임은 매출, 고용, 순이익 면에서 가장 큰 기여를 하고 있다. 핵심 산업 분야다. 동시에 게임은 음악, 시각 예술, 스토리텔링 등이 결합된 총체 예술로 기술까지 포함된 현대 예술의 정점이다. 이같은 종합 예술로서의 게임은 젊은 세대에게 특히 매력적이다. 많은 자본과 인재가 투입된 결과 한국 게임 산업이 세계적 수준에 이르렀다.
-게임 산업의 미래 방향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새로운 디바이스, 특히 애플이 제시한 공간 컴퓨팅과 같은 기술 발전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게임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애플 비전 프로는 공간 개념의 게임 경험을 가능하게 한다. 자율주행차 내부에서는 게임을 포함한 다양한 엔터테인먼트가 제공될 수 있게 된다. 이는 게임 산업에 새로운 시장을 열어줄 것이다. 이렇듯 새로운 기술과 디바이스를 통해 게임 산업이 진화하고 확장되는 것을 대비해 정부 차원에서 장기적 관점의 연구개발(R&D)과 투자, 민관협업이 필요하다.
-국내 게임의 해외진출과 관련해 어떤 전략이 필요합니까.
△비교 우위를 갖고 있는 부분을 활용한 전략이 중요하다. 예컨대 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MMORPG)은 한국이 빠르게 구축한 브로드밴드 인프라 덕분에 성장할 수 있었다. 최근 정부 차원에서 육성을 천명한 콘솔 게임 시장에서도 우리가 성과를 내기 위해서는 기존 강점을 살리면서도 새로운 디바이스와 기술 투자가 필요하다. 콘솔 게임 플랫폼은 이미 미국, 일본이 선점하고 있지만 자율주행차와 같은 모빌리티 기술이나 공간 컴퓨팅 등 새로운 기술을 접목한 게임 개발에 주력한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확률형 아이템 이슈에 대한 문체부의 제도 운영 방침은 무엇입니까.
△공정거래위원회와의 협력 및 역할 분담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해 나갈 것이다. 문체부와 공정위의 역할이 중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협의를 통해 게임업계 부담을 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찾겠다. 문체부는 게임 산업 특성을 잘 이해하고 있는 만큼 공정위와 협력해 업계에 적용되는 규제를 조정하고, 이용자 보호와 산업 발전의 균형을 맞추는 방향으로 나아가겠다. 이를 통해 게임업계가 공정한 경쟁 환경 속에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
-게임 산업 금융 지원과 글로벌 파트너십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게임 산업 성장 단계별로 자본이 투입될 수 있도록 금융 지원 구조를 세련되게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 초기 단계 지원뿐 아니라 기업 성장 단계에 맞춰 자본이 지속적으로 투입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 또 최근 게임 산업에 큰 관심을 보이는 중동 자본과 한국이 오랜 기간 축적한 기술·노하우를 결합한 새로운 시장 개척도 가능하다. 아랍에미리트나 사우디아라비아와의 선제적인 전략적 협업을 통해 한국 게임 산업의 글로벌 진출을 도모할 수 있다.
-게임업계 종사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메시지가 있다면.
△한국 게임 산업을 이 정도 규모로 키워주신 게임업계 종사자에게 깊은 감사와 존경을 표한다. 국내 게임 산업은 치열한 경쟁 속에서 성과를 내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해 왔다. 정부는 게임 산업 성장을 돕기 위해 계속해서 의견을 듣고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해 나가겠다. 민간에서 할 수 없는 역할을 보충하고, 나서기 어려운 상황에서 대신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정부 역할이라고 생각한다.
박정은 기자 jepark@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환경부, 전자제품 EPR 全 품목 적용
- “게임-질병 연관성無”... 문체부, WHO에 의견 낸다
- 카카오뱅크, 역대 최고 반기 이익 '기염'…내실·포용 같이 품었다
- [르포] “객관적 데이터·집중도 높이는 수업 재구성”…AI교과서로 달라질 교실은
- '전범국' 독일 콘서트서 '욱일기' 꺼낸 팝스타…韓팬들 “실망”
- “반도체 키운다” 주성엔지니어링, ASML 출신 이우경 대표 영입
- 대한항공, 2분기 매출 4조237억원 '역대 분기 최대'
- [K게임 명예혁명] 〈1〉용호성 문체부 제1차관 “종합 문화예술 게임, 비교우위 전략 키운다”
- '반지의 전쟁' 헬스케어 시장 달군다
- 현대차, 386억원 투자 태국에 전기차 공장 건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