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던 명품백 10% 할인된 셈"…큰손들, 폭락장에 샀다

김희정 기자 2024. 8. 7. 15:5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미국 기관들 5일 140억달러 순매수… 헤지펀드 3월 이후 최대 속도로 '싹쓸이'
미국 경기 침체 우려가 커지면서 5일(현지시각) 미국 뉴욕증시 주요 3대 지수가 큰 폭 하락 마감했다. 다우 지수와 S&P 500 지수는 2년여 만에 가장 많이 하락했고, 빅테크 '매그니피센트7(M7)'은 동반 폭락했다. /AP=뉴시스
지난 월요일(5일) 폭락장에서 헤지펀드 큰손들이 재빠르게 미국 주식을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급락장은 경기 침체가 실제 확인되지 않은 가운데 개별 데이터에 과도하게 반응한 결과라는 해석에서다. 헤지펀드를 포함한 기관들은 '공포에 산다'는 오랜 투자 격언에 따라 매도 우위에서 매수 우위로 전환했다.
기관들 월요일 폭락장에 140억달러 '싹쓸이'
골드만삭스 그룹의 프라임 브로커리지가 6일(현지시간) 기준으로 집계한 데이터에 따르면 헤지펀드들은 3월 이후 가장 빠른 속도로 미국 개별 주식을 사들였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지난 수개월간 매도 우위를 보이다 매수로 돌아선 것이다. JP모간체이스의 별도 분석에 따르면 기관 투자자들도 나스닥지수가 3%가 빠진 5일 미국 개별 주식을 140억달러(약 19조3000억원) 싹쓸이했다.

헤지펀드 리서치 기업인 피보탈패스의 CEO 조나단 카플리스는 "많은 헤지펀드가 대량 매도를 매수 기회로 본다"며 "우리가 만난 대부분의 매니저들은 현재의 문제를 상장 기업의 펀더멘털이나 더 넓은 미국 경제의 장기적 문제가 아니라, 단기적이고 감정에 따른 문제라고 규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월가의 황소상/사진=머니투데이 사진DB
프랭클린 템플턴 인베스트먼트 솔루션의 수석 부사장 맥스 고크만은 "원하던 디자이너 백이 10% 할인된 것과 같다"며 "아직도 매우 비싸지만, 이런 게 거래"라고 말했다. 시티은행 전략가 비타 맨시는 "주가 평가, 수익률 곡선, 투자자 심리, 수익성 지표를 측정하는 은행의 소위 베어마켓 체크리스트는 '약세에 매수'를 권고한다"고 메모에 적었다.
삼의 법칙? 삼 본인은 경기침체 아니라는데…
최근 글로벌 증시 폭락의 원인은 일본은행의 갑작스러운 금리 인상과 예상보다 심각한 미국의 실업률 통계에 있다. 일본의 금리 인상으로 엔화가 치솟으며 엔 캐리 트레이드 청산을 유발했고, 실업률 통계에 경기침체 우려가 돌연 불거졌다. 그러나 일본의 기준금리는 어차피 언제가 되든 예정된 악재이고 실업률 통계는 우려가 지나쳤다는 해석이 나온다. '삼 규칙'(Sahm's Rule)에 기대 섣불리 경기 침체라고 판단할 순 없다는 지적이다.

삼의 규칙은 최근 3개월 간 실업률의 이동 평균치가 12개월 중 최저 실업률에 비해 0.5%포인트(p) 이상 상승하면 경기침체의 신호로 판단한다. 그러나 이 규칙을 만든 클라우디아 삼(과거 연준 이코노미스트)조차 지난주 "경기침체가 임박했다고 보지 않는다"고 밝혔다.

미 일리노이주 디어필드의 한 식료품점에 지난 7월25일 직원을 구한다는 공지가 붙어 있다. 고금리가 계속되는 가운데 7월 미국의 일자리 증가는 11만4000개로 예상치 17만5000개에 크게 못미치며 급격히 감소했다. 6월의 17만9000개에 비하면 6만5000개나 감소했다. 미 노동부는 2일(현지시간) 7월 미 실업률이 6월의 4.1%에서 4.3%로 상승했다고 발표했다. /AP=뉴시스
그렉 입 월스트리트저널(WSJ) 수석경제평론가는 "실업률이 상승하고, 주식이 하락하고, 채권 수익률이 단기 금리보다 훨씬 낮아진 현 상황은 모두 경기침체의 징조이지만 실제 미국이 침체에 빠져있진 않다"며 "비가 오는지 판단하려면 우산을 셀 게 아니라 우산 밖에 서 있는 게 낫다"고 말했다.
급여, 실질소득, 산업생산 다 늘어… 침체 맞아?
경기침체 때 실업률이 증가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실업률이 곧 경기침체의 선행지표는 아니다. 삼의 규칙보다는 미국 국립경제연구소가 사용하는 △비농업 고용통계 △산업 생산 △실질개인소득 등 세 가지 지표가 실질적으로 중요하다. 7월까지 4개월간 고용 인원은 증가했고 6월까지 3개월 간 실질 소득과 산업 생산도 늘었다. 경기 침체기로 보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삼의 규칙'을 만든 클라우디아 삼 뉴 센추리 어드바이저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5일 미국이 경기침체에 있지 않으며, 연준이 금리인하를 통해시장 불안을 완화할 기회가 충분하다고 밝혔다. /사진=클라우디아 삼 X 계정 캡처

2008년처럼 금융 시스템에 균열이 생긴다면 실제 경기침체로 이어질 수 있으나 지금까지 그런 징후는 없다. 주가 하락이 가계 자산을 줄여 지출을 갉아먹고 기업이 심리적 효과로 대규모 해고를 시작할 순 있으나, 아직 연준이 기준금리를 낮춰 이 같은 침체 사이클을 관리할 여지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모간스탠리 MUFG 주식 전략가인 나카자와 쇼는 파이낸셜타임스에 "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 가장 큰 우려는 미국 경제 전망에 대한 비관론이 너무 지나치지 않았는가 하는 것"이라면서 "당분간 시장이 미국 인플레이션과 일자리 통계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닛코 AM의 수석 전략가 카미야마 나오키도 "일본 주식의 하락은 거시적 추세 추종 지수 플레이어에 의해 주도됐다"며 "그들이 유도한 하락은, 변동성의 안정 조짐이 나타날 경우 소매 투자자들이 시장에 조심스레 진입할 수 있는 길을 열 수 있다"고 밝혔다.

김희정 기자 dontsigh@mt.co.kr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