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테크+] "인니서 역사상 가장 작은 호미닌 화석 발견…성인 키 1m"

이주영 2024. 8. 7. 00: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호빗'(Hobbits)으로 유명한 6만여년 전 호미닌(사람족) '호모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의 고향인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에서 이들보다 앞서 살았던 더 작은 호미닌의 화석이 발견됐다.

호주 울런공 대학과 일본 도쿄대, 인도네시아 지질연구센터 등 국제 연구팀은 7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에서 플로레스섬 마타 멘게에서 발견된 70만년 전 호미닌(사람족)의 위팔뼈와 치아 화석이 성인 키가 1m에 불과한 역사상 가장 작은 인류의 유골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제연구팀 "'호빗' H.플로레시엔시스 조상 추정…H.에렉투스가 진화한듯"

(서울=연합뉴스) 이주영 기자 = '호빗'(Hobbits)으로 유명한 6만여년 전 호미닌(사람족) '호모 플로레시엔시스'(Homo floresiensis)의 고향인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에서 이들보다 앞서 살았던 더 작은 호미닌의 화석이 발견됐다.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위팔뼈와 새로 발견된 마타 멘게 호미닌 위팔뼈(맨 왼쪽)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 마타 멘게에서 2013년 발견된 호미닌(사람족)의 위팔뼈 아랫부분 조각(맨 왼쪽)과 이에 앞서 2003년 마타 멘게에서 75㎞ 떨어진 리앙부아 동굴에서 발견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위팔뼈를 비교한 사진. 오른쪽은 리앙부아에서 발굴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전체 유골. [Yousuke Kaifu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호주 울런공 대학과 일본 도쿄대, 인도네시아 지질연구센터 등 국제 연구팀은 7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에서 플로레스섬 마타 멘게에서 발견된 70만년 전 호미닌(사람족)의 위팔뼈와 치아 화석이 성인 키가 1m에 불과한 역사상 가장 작은 인류의 유골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마타 멘게 호미닌이 호모 에렉투스에서 진화한 것으로 추정하며, 마타 멘게 서쪽 75㎞의 리앙부아 동굴에서 2003년 발견된 후 작은 체구로 화제가 된 6만년 전 호미닌 '호모 플로레시엔시스'의 조상일 것으로 보고 있다.

호모 에렉투스의 아종인 자바원인이 발견된 자바섬 동쪽에 있는 플로레스섬은 아시아 인류 진화 역사에서 많은 수수께끼를 안고 있는 지역이다.

리앙부아에서 발견된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는 초기 호모 사피엔스와 생존 시기가 겹친다. 키가 106㎝로 매우 작아 소설 '반지의 제왕'에 나오는 소인족에 빗대어 '호빗'(Hobbit)으로 불리며 큰 화제가 됐지만 진화 과정은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자바 호모 에렉투스와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발견 위치 호모 에렉투스의 아종인 자바원인이 발견된 인도네시아 자바섬과 '호빗'으로 불리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발견된 플로레스섬 위치. 회색 부분은 빙하기 동안 해수면이 낮아졌을 육지였던 지역. [Map made by Yousuke Kaifu with GeoMapApp(www.geomapapp.org)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플로레스섬에서는 리앙부아 동굴 외에 마타 멘게에서도 호미닌 화석이 발견됐다. 이곳에서는 2013년부터 턱뼈와 치아 등이 발견됐지만 머리 아랫부분이 없어 어떤 인류에 속하는지, 신체 크기는 얼마인지 추정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추가로 발견된 위팔뼈 아랫부분 절반과 치아 화석을 정밀 분석하고, 이전에 발견된 화석들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 이 호미닌의 진화 단계와 정확한 몸 크기를 계산했다.

분석 결과 마타 멘게에서 발견된 총 10개의 호미닌 화석은 리앙부아의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보다 65만년 앞선 70만년 전에 살던 어린이 2명 등 최소 4명의 유골로 밝혀졌다.

위팔뼈 화석으로 분석한 키는 성인이 100㎝로, 키가 106㎝로 추정된 리앙부아 호모 플로레시엔시스보다 작았다.

마타 멘게에서 발견된 호미닌의 위팔뼈 아랫부분 2013년 인도네시아 플로레스섬 마타 멘게 유적지에서 발굴된 호미닌의 위팔뼈 아랫부분 조각. [Yousuke Kaifu 제공.재판매 및 DB 금지]

특히 새로 발견된 치아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 것보다 작고 형태도 50~100만년 전 자바섬에 살던 초기 호모 에렉투스의 것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는 호모 플로레시엔시스가 아프리카를 떠난 초기 인류 중 하나가 섬에 갇힌 뒤 소형화된 게 아니라 자바섬의 호모 에렉투스가 진화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공동연구자인 호주 그리피스대 애덤 브럼 교수는 "플로레스섬 호미닌의 진화 역사는 아직 거의 밝혀지지 않았다"며 "하지만 이 결과는 호모 에렉투스가 100만년 전 외딴섬 플로레스에 고립되고 시간이 흐르면서 몸집이 급격히 줄어 '호빗' 이야기가 시작됐음을 강력히 시사한다"고 말했다.

◆ 출처 : Nature Communications, Yousuke Kaifu, 'Early evolution of small body size in Homo floresiensis', https://www.nature.com/articles/s41467-024-50649-7

scitec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