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맹점주도 소상공인인데" 숫자만 바뀐 빵집 출점 제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동네 빵집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 대기업 출점 규제를 연장하기로 하자 업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최근 개정된 음식점업 상생협약의 경우 동반위가 출점 규제 대상에서 가맹점을 제외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어려운 경쟁 환경에서 중소 제과점들을 보호하려는 취지의 출점 규제가 오히려 1위 사업자 지위를 공고히 만드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전문가들은 출점을 가로막는 식의 규제가 소상공인을 보호하는 정답은 아니라고 조언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골목 상권 보호 위해 도입됐지만
업계는 “시장 현실과 달라” 반발
규제 10여년간 1·2위 변동 없어
카페·편의점과 경쟁하는 상황 속
후발주자 가로막는다는 우려도
정부가 동네 빵집을 보호하기 위해 도입된 대기업 출점 규제를 연장하기로 하자 업계가 반발하고 나섰다. 새 규제가 포함된 상생협약이 이전보다 완화된 내용을 담고 있지만 변화된 시장 환경과는 동떨어졌다는 이유에서다. 출점을 가로막는 규제 대신 구체적인 방안을 마련해 소상공인과의 상생을 도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동반성장위원회는 2029년 8월까지 대기업 베이커리의 신규 출점을 전년 점포수의 5% 이내로 제한하는 내용의 상생협약을 이날 발표했다. 협약에 따라 대기업은 수도권 내 출점 시 중소 빵집과 400m 이상 거리를 둬야 한다. 규제 강도는 종전의 2%와 500m보다는 다소 약해졌다. 이번 상생협약에는 동반위와 대한제과협회 뿐 아니라 △더본코리아 △신세계푸드 △CJ푸드빌 △이랜드이츠 △파리크라상 등 5개 기업이 참여했다.
대기업 프랜차이즈 빵집에 대한 규제는 지난 2013년 제과점이 중소기업적합업종으로 지정되면서 시작됐다. 대기업의 시장 진입이나 적극적인 확장을 막아 골목 상권을 보호한다는 취지였다. 2019년부터 이달까지는 동반성장위원회가 주관하는 상생협약이 사실상 동일한 규제 역할을 했다. 이번에 협약이 연장되면서 대기업은 향후 5년간 또 발목이 묶이게 됐다.
업계에서는 숫자만 바뀐 이번 상생협약이 달라진 시장 상황을 반영하지 못해 실효성이 떨어진다고 반발한다. 규제가 처음 도입될 때와는 달리 지금은 빵 판매 채널이 편의점과 카페 등으로 다변화되며 경쟁이 치열해진 탓이다. 국세통계포털에 따르면 전국 커피음료점 수는 5월 기준 9만 6398개, 편의점 점포 수도 5만 3263개에 달한다.
유독 베이커리에만 엄격한 거리 제한 규정이 적용된다는 볼멘소리도 나온다. 최근 개정된 음식점업 상생협약의 경우 동반위가 출점 규제 대상에서 가맹점을 제외했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음식점업의 경우 가맹 사업을 소상공인의 시장 진입 기회로 본 것”이라면서 “유독 비슷한 맥락의 제과점업에만 다른 잣대가 적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규제가 후발 주자의 성장 대신 1위 사업자의 독주 체제를 굳히는 역할을 해왔다고 지적한다. 각 사의 시장 점유율에 대한 고려가 없는 상생협약은 새 매장 입지를 찾는 작업을 어렵게 해 브랜드 간 격차를 더욱 크게 벌려왔다. 실제 제빵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출점이 전반적으로 정체된 가운데 1·2위 사업자인 파리바게뜨와 뚜레쥬르의 매장 수 격차는 규제가 도입된 2013년 1999개에서 지난해 2087개로 오히려 벌어졌다.
100개 이하의 매장을 둔 업체는 매년 20개 이내 출점을 허용하는 예외 조항이 있지만 빠르게 사업을 확장하면서 상위권 사업자들을 따라잡을 방법은 사실상 가로막혔다. 이번에 새롭게 규제 대상에 포함된 더본코리아 빽다방 빵연구소는 점포수가 18개에 불과하다. 13개의 프랑제리 매장을 보유한 이랜드이츠나 이마트 내 베이커리 매장을 운영하는 신세계푸드도 마찬가지다. 업계 관계자는 “가뜩이나 어려운 경쟁 환경에서 중소 제과점들을 보호하려는 취지의 출점 규제가 오히려 1위 사업자 지위를 공고히 만드는 셈”이라고 꼬집었다.
전문가들은 출점을 가로막는 식의 규제가 소상공인을 보호하는 정답은 아니라고 조언한다. 박주영 숭실대 벤처중소기업학과 교수는 “대형 프랜차이즈 가맹점주들도 같은 소상공인”이라면서 “대기업이 출점시 가맹점주들에게 충분한 매출을 보장하도록 감시하는 방안이 소상공인 보호에 더 효과적일 것”이라고 했다.
황동건 기자 brassgun@sedaily.comCopyright © 서울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전자발찌 1호 연예인' 고영욱, 유튜브 개설 '무기력한 일상서 벗어나고자'
- '더 존3' 덱스♥유리 케미스트리 ''솔로지옥2' 다시 찍는 느낌' [SE★현장]
- 황정음, 김종규와 공개 열애 2주만 결별…'지인 관계로 남기로'
- '70억' 타워팰리스 사는 홍혜걸 '의사는 돈 벌면 안 되나…열심히 벌어 선량하게 쓰겠다'
- '호화 술자리·풀파티로 꼬드겨'…명문대생 300명 가입했다는 '마약 동아리'
- 소녀시대, 17주년 맞이 자축…‘막내’ 서현 큰 결심했다
- '링에서 죽을 일 있냐' 여성 복싱 '성별 논란'…패한 선수 'X 제스처' 항의 표시까지
- '연금 끊기면 안돼' '경제력 안돼'…日서 부모 시신 잇따라 방치
- 거리 휘젓는 10대 ‘따릉이 폭주족’ 4일 집결 예고…경찰 “엄정 단속”
- '실수인 척 밟고 싶다'…음료수 진열대에 맨발 올리고 드러누운 '민폐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