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명수칼럼] '시간 싸움'이라는 유니콘 성공방정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건강 관리 서비스 업체인 눔의 정세주 창업자(44), 기업용 메신저 업체인 센드버드의 김동신 대표(43), 광고 자동화 플랫폼 기업인 몰로코의 안익진 대표(45). 미국에서 창업해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의 비상장기업)을 키운 한국계 인물들이다.
국내 벤처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GDIN·대표 김종갑)는 미국에서 한국계 유니콘이 지금까지 10개 출현했다고 전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지서 속도전 펼친 덕분이다
벤처, 美성공방정식 올라타
세계시장 지배 꿈 키워보자
건강 관리 서비스 업체인 눔의 정세주 창업자(44), 기업용 메신저 업체인 센드버드의 김동신 대표(43), 광고 자동화 플랫폼 기업인 몰로코의 안익진 대표(45). 미국에서 창업해 유니콘(기업가치 10억달러 이상의 비상장기업)을 키운 한국계 인물들이다.
하버드대 출신인 토드 박과 에드 박 형제가 만든 '디보티드 헬스(Devoted Health)'. 노인 건강보험 서비스 업체로, 129억달러(약 17조원) 이상의 기업가치를 인정받는다.
그들의 도전은 미국에서 새로운 시장을 만들었고, 그 시장을 지배했다. 미국 시장을 지배한다는 건 세계 시장을 지배하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센드버드는 전 세계에 60억명 이상의 이용자를 두고 있을 정도다.
국내 벤처기업의 해외 진출을 돕는 글로벌디지털혁신네트워크(GDIN·대표 김종갑)는 미국에서 한국계 유니콘이 지금까지 10개 출현했다고 전한다. 국내 유니콘 22개에 비하면 적지만 한국계 미국 유니콘은 기술이나 확장성 면에서 질적으로 훨씬 우수하다.
그들은 척박한 이국 땅에서 어떻게 유니콘으로 성장한 걸까. 무엇보다 국내 시장보다는 미국이란 거대 시장에서 빠르게 사업화하고 승부를 본 것이 핵심이다. 시간 싸움에서 이긴 것. 속도를 중시하는 미국 투자자들은 외국보다는 미국에 본사를 둔 기업을 선호한다. 9시간 이상 시차가 나는 한국 소재 기업에 투자를 꺼리는 이유다. 한국에서 자란 스타트업도 싫어한다. 여러 투자자가 얽혀 있어 그 기업을 키우는 데 의사결정이 어려워질 수 있고 투자금 회수에도 시간이 걸릴 수 있어서다.
일단 투자금을 받으면 미국 내 성공 방정식이 적용된다. 거대한 벤처캐피털(VC)은 그간의 유니콘 투자 경험을 기초로 자문해 준다. 유니콘은 물론 세계 시장을 지배할 수 있는 데카콘(100억달러 이상의 기업가치를 가진 기업)으로 성장하는 비법도 전수해 준다.
미국에선 기업 성장 단계별로 투자에 들어가는 투자사들이 무수히 존재하고, 이들은 회사 규모에 맞춰 지원을 한다. 미국 인수·합병(M&A) 시장도 유니콘들의 빠른 성공을 돕는 요소다. 필요로 하는 기술이 있다면 자체 개발하기보다 사들이는 게 더 빠르다. 그래야 경쟁자보다 앞서갈 수 있다.
이 모든 게 미국이 현재 703개에 달하는 유니콘을 배출한 생태계이자 성공 방정식이다.
오히려 국내 벤처 환경에서 20개 넘는 유니콘을 길러낸 게 기적이다. 미국식 성공 방정식이 국내에서도 작동된다면 200개는 되지 않았을까. 실제로 우리는 페이스북과 아이팟의 원조 나라다. "아이러브스쿨과 아이리버가 페이스북과 아이팟에 앞서 출시됐지만 유니콘으로 성장하지 못했다. 미국식 성공 방정식이 없었기 때문이다."(정세주 눔 창업자)
실리콘밸리에서 활동하는 한국계 투자자들은 조력자다. "20여 개 이스라엘계 VC가 미국에서 활동하면서 이스라엘 출신 유니콘을 키우고 있다. 한국 유니콘을 키우는 VC 양성도 중요하다."(이기하 프라이머사제파트너스 대표)
미국에서 한국계 유니콘을 키우면 한국도 덕을 본다. 센드버드는 한국에 250여 명의 연구개발(R&D) 조직을 운영 중이다. 마케팅이나 재무·투자 전문가는 미국에 뒀다. 눔과 몰로코는 동남아 진출을 위해 한국에 거점을 마련했다. 기술이나 일자리 유출 걱정은 기우다. 오히려 미국 유니콘 성장 경험을 한국에 확산시킬 수 있다. 몰로코 출신 개발자(장정식)가 야놀자 최고기술책임자(CTO)로 옮긴 게 그 사례다. 국내를 해외와 연계해 세계 표준을 만들고, 세계 시장도 지배하는 선순환 구조다. 이참에 우리 벤처 생태계 틀도 새롭게 짜보면 어떨까.
[김명수 논설실장]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디카프리오, 26살 여친과 수영하다 ‘이것’ 습격, 응급처치…대체 뭐길래 - 매일경제
- “안세영 부상, 1500만원 들여 한의사 파견해 지원”…배드민턴협회장, 입 열었다 - 매일경제
- 남편이 불륜녀 집에서 쓰러진 후 혼수상태...아내의 복수에 ‘발칵’ - 매일경제
- “전기차네? 빼세요!”…지하 주차장서 쫓겨나는 전기차 - 매일경제
- 이틀새 삼성전자 1조 이상 내던진 외국인…이 종목 올라탔다 - 매일경제
- “저승사자가 돌아왔다, 스치면 구속”...文정부서 폐지, 尹정부서 부활해 2조 추징보전 - 매일경
- “밤새 에어컨 안틀면 잠 못자는데”...블랙아웃 공포 비상 걸렸다 - 매일경제
- “사람들이 피 흘리고 있어요”…부천서 아내와 딸 흉기로 찌른 60대 중국인 - 매일경제
- “58%나 올린 건 너무해” vs “갈아타기 귀찮아”...쿠팡 월회비 인상에 ‘탈팡족’ 생길까 - 매
- 더위 때문인가…한화에 ‘6-0→6-10’ 대역전패보다 더 충격적이었던 ‘코리안 몬스터’ 류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