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봄'과 달라"..'행복의 나라' 조정석→故이선균, 분통터지는 현대사 [종합]
[OSEN=하수정 기자] '행복의 나라'가 '서울의 봄'과 또 다른 스토리와 매력으로 관객들을 찾아온다. 여름 극장가 선보이는 이선균의 유작 중 마지막 작품이다.
6일 오후 서울 롯데시네마 건대입구에서는 영화 '행복의 나라'의 제작보고회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주연 배우 조정석, 유재명, 추창민 감독 등이 참석했다.
이날 영화가 끝난 직후 스크린에는 '우리는 이선균과 함께 했음을 기억합니다'라는 이선균을 추모하는 멘트가 등장해 시선을 끌었다.
'행복의 나라'(감독 추창민, 제공배급 NEW, 제작 파파스필름·오스카10스튜디오)는 1979년 10월 26일, 상관의 명령에 의해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된 박태주(故 이선균 분)와 그의 변호를 맡으며 대한민국 최악의 정치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조정석 분)의 이야기를 그린다. 10.26과 12.12 사이, 우리가 몰랐던 대한민국 최악의 정치 재판이자 '쪽지 재판'으로 알려진 사건을 다룬다.
박태주를 살리기 위해 재판에 뛰어든 변호사 정인후(조정석)는 창작된 캐릭터로, 당시의 재판 기록들과 재판에 참여했던 인물들을 종합적으로 대변하는 인물이다. 상관의 지시로 대통령 암살 사건에 연루되어 재판을 받는 정보부장 수행비서관 박태주는 추창민 감독이 "나조차도 잘 몰랐던 인물인 박흥주 대령에 대해 자료조사를 하면서 이 사람을 한번쯤은 세상 밖으로 끌어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연출 계기로 손꼽기도 했다. 실존 인물을 모티브로 해 영화적 상상력을 더했다.
밀실에서 재판을 도청하며 결과를 좌지우지하는 합수부장 전상두(유재명 분)는 많은 이들이 알고 있는 특정 인물 故 전두환 전 대통령을 모티브로 했지만, 당시 권력의 실세라는 중심 요소를 두고 영화적으로 각색해 탄생했다. 결국 영화는 실존 인물인 박흥주를 조명하는 것에서 출발했지만, 법정신을 제외한 많은 부분이 영화적 상상력으로 각색된 팩션(픽션+팩트)으로 예비관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한다.
'행복의 나라'와 '서울의 봄'은 12.12 사태를 다룬다는 점에서 후반부 스토리가 겹치는 부분이 있다.
추창민 감독은 "'서울의 봄' 개봉 전 편집이 끝났다. '서울의 봄' 영향을 받아서 편집이 달라지진 않았다"며 "역사적인 큰 사건들보단 그 사이에 숨겨진 이야기, 희생된 사람들, 그런 이야기가 나한테는 더 호기심이 생겼고, 그런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 그래서 이 이야기를 하고 싶었다"고 밝혔다.
이어 "똑같은 장군 역할을 했던 두 배우의 차이점이 가장 크다고 느낀다. 우리 영화는 특정한 누군가를 가르키지 않고, 특정한 시대를 보여주려고 노력했다"며 "그 시대가 주는 야만성, 시대성을 표현하려고 했다. 그게 '서울의 봄'과의 차이점이라고 생각한다"며 차이점을 설명했다.
조정석은 촬영 현장을 떠올리며 "우리 영화는 무게감이 있지만, 실제 현장은 유쾌하고 그야말로 행복의 나라였다"며 "누군가 '행복의 나라 현장은 어땠어?' 물어보면 '행복의 나라였다'고 했다. 정말 정말 행복한 현장이었다. 후반부 골프장 신은 난 진짜 추웠고, 유재명 형은 안 추워보이지 않았냐.(웃음) 며칠동안 너무 부러웠던 기억이 난다"고 고백해 웃음을 자아냈다..
그는 "변호사 정인후가 아니라 인간 정인후 모습으로 대사를 토해내고 싶었다. 인간의 존엄성에 대해서 울분을 토해내고 싶었던 장면도 많았다"고 했다.
영화 속에는 박태주가 정인후를 향해 '자네한테 진 빚이 많아'라는 대사가 등장하는데, 실제 이선균이 조정석에게 하는 듯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조정석은 "역할로 따지면 이선균 선배님과 내가 한편이고, 유재명 선배님과 적대적인데. 현장에선 삼형제처럼 즐거웠다. 이선균 배우님은 너무 좋은 형이고 연기가 끝나면 누구보다 뜨거웠다. 그렇게 기억한다. 영화를 함께 할 수 있어서 너무 즐거웠다. 나한텐 따뜻한 기억 밖에 없다"며 당시를 회상했다.
유재명은 "이선균과 함께 했던 기억은 좋았던 기억 밖에 없다. 영화를 보는 내내 영화만 오롯이 볼 수 없었다. 보는 내내 함께 한 시간들이 떠올라 힘들었다. '자네한테 진 빚이 많아'에서 정인후 변호사 얼굴을 보여주는데 '정석이 넌 좋은 배우야'라고 하는 것처럼 들렸다. 다음 컷에선 조정석이 '형도'라고 하는 것처럼 들렸다. 영화를 보는 내내 그렇게 생각했다"고 답했다.
이어 "며칠 전에 우연치 않게 라디오 오프닝 멘트를 들었는데, '영화는 다시 찾아볼수 있지만 사람은 다시 찾아볼 수 없다'고 하더라. 이 영화를 통해서 이선균이라는 배우를 다시 찾아볼 수 있을 것"이라며 "배우를 하는 우리들이 행복을 느낄 수 있었다. 힘들었지만 의미있는 시간이었다"고 했다.
유재명과 호흡을 맞춘 소감에 대해 조정석은 "형님이 너무 잘해주셔서 매 장면 화가 올라갔다. 그만큼 너무 좋은 형님이었다", 유재명은 "영화 보는 내내 정석이가 고생을 많이 한 것 같아서 끝나면 꼭 손을 잡아주고 싶었다. 이야기의 끝을 아는데도 조정석을 따라가면서 영화를 봤다. 역시 조정석이란 배우는 멋진 배우고, 현장에서도 너무 즐겁게 알콩달콩 톰과 제리처럼 재밌게 작업해서 행복했다. 앞으로도 같이 배우의 길을 걸어가면 좋겠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한편 '행복의 나라'는 오는 8월 14일 개봉한다.
/ hsjssu@osen.co.kr
[사진] 민경훈 기자
Copyright © OSEN.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