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구·단양 “기후대응댐 건설 계획 철회하라” 반발 확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미래 용수 수요 등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후대응댐 신규 조성 후보지 14곳을 발표한 가운데 강원 양구군과 충북 단양군에서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이어 오후에는 양구읍이장협의회가 '양구 수입천댐 건설 반대 결의문'을 통해 "댐 건설 후보지에 있는 두타연은 천혜의 자연환경이자 대표 관광지로 보전해야 할 대한민국 생태 자원"이라며 "환경부의 일방적인 발표는 지역의 여건과 주민의 고통을 헤아리지 못한 처사로 댐 건설 계획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환경부 후보지 발표에 군의회 등 반대 결의 잇달아
양구=이성현 기자
정부가 기후 위기로 인한 극한홍수와 가뭄으로부터 국민의 생명을 지키고, 미래 용수 수요 등을 뒷받침하기 위해 기후대응댐 신규 조성 후보지 14곳을 발표한 가운데 강원 양구군과 충북 단양군에서 반발이 확산하고 있다. 환경부는 지역 설명회, 공청회 등을 통해 주민의 우려 사항에 관해 설명하고 관계기관과도 충분한 협의 과정을 거칠 계획이라는 입장이지만, 해당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과 사전 협의 없는 일방적인 후보지 선정이라며 반대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6일 각 지자체에 따르면 강원 양구군의회는 이날 오전 양구 수입천댐 건설 반대 결의문을 채택했다. 군의회는 결의문에서 "우리는 군민의 생존권과 자연환경을 지키기 위해 모든 수단을 동원해 수입천댐 건설을 막을 것"이라며 "정부가 주민들의 목소리를 무시하고 일방적인 계획을 추진하는 것을 절대 용납할 수 없으며, 이를 강력히 규탄한다"고 밝혔다. 이어 오후에는 양구읍이장협의회가 ‘양구 수입천댐 건설 반대 결의문’을 통해 "댐 건설 후보지에 있는 두타연은 천혜의 자연환경이자 대표 관광지로 보전해야 할 대한민국 생태 자원"이라며 "환경부의 일방적인 발표는 지역의 여건과 주민의 고통을 헤아리지 못한 처사로 댐 건설 계획을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충북 단양군의회도 환경부의 단양천댐 건설 계획 백지화를 요구했다. 군의회는 이날 열린 329회 임시회 본회의에서 채택한 건의문을 통해 "충주댐 건설로 큰 상처를 입었던 바로 그 위치에 또 다른 댐을 건설하겠다는 것은 국가가 단양을 두 번 버리겠다는 의미"라면서 이같이 주장했다. 군의회는 "단양천댐은 지역 주민의 정서나 선암계곡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공간적 가치, 지역에 미치는 사회적·경제적 영향에 대한 고려 없이 발표됐다"면서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했다면 단양천댐 건설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지난달 31일 단양군도 "만약 단양천에 댐을 건설하면 30여 가구가 수몰되고 소선암교까지 물에 잠길 것"이라며 반대의 뜻을 밝혔다.
환경부는 지난달 30일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 홍수·가뭄에 대응하겠다’며 14곳의 댐 후보지를 공개했다. 이 가운데 신규 댐은 9곳, 기존 댐 재개발은 5곳이다. 권역별로는 낙동강권역 6곳, 한강권역 4곳, 섬진강권역 2곳, 금강권역과 영산강 권역 각각 1곳이다.
Copyright © 문화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같이 금메달 땄는데 남수현은 1억원, 전훈영은 300만원?…포상금이 왜 이래
- “요즘 누가 중국 가나요” 700명 타는 여객선에 고작 20명
- 필리핀서 온 가사관리사 “한국 간다고 하니 주변서 부러움… 돈 많이 모아 돌아갈 것”
- 이란 “전쟁 불사”에… 이스라엘, 선제공격까지 검토
- 신유빈 먹던 ‘중소기업 에너지젤’ 품절 대란 “협찬 아냐”
- 이준석 “이재명은 돈 잘 쓰기로, 윤석열은 사람 잡아 가두기로 유명”
- “정자가 네 거에요?”… 텐트에 그늘막까지 쳐놓은 얌체족
- “남자로선 승리” 장대높이뛰기 선수 주요부위 걸려 탈락
- “대표팀과 계속 가기 힘들다”… 금메달 안긴 안세영의 작심발언 왜?
- “못생길수록 수명 짧다?” 졸업사진 토대 65년 추적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