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우리는 지금까지 외계인을 볼 수 없었을까 [우주로 간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이탈리아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는 1950년 이런 질문을 던졌다.
연구진들은 외계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하고 그들이 태양광 에너지를 통해 전력을 얻을 경우, 우리가 개발한 망원경으로 이를 찾을 수 있을 지 검토했다.
"페르미 역설은 창 밖을 내다보면 곰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곰이 존재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SETI 연구소는 지적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디넷코리아=이정현 미디어연구소)“계산에 따르면 약 100만개의 문명이 우주에 존재해야 한다. 하지만 수많은 외계 문명과 외계인이 왜 한 번도 인류 앞에 나타나지 않는 걸까?”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이탈리아 물리학자 엔리코 페르미는 1950년 이런 질문을 던졌다. 이 질문이 바로 외계인의 존재를 논할 때 거론되는 유명한 ‘페르미의 역설’이다.
IT매체 기즈모도는 5일(현지시간) 미국 항공우주국(NASA) 연구진이 그 동안 우리가 외계인을 보지 못했던 이유에 대한 연구 결과를 최근 발표했다고 보도했다. 해당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천체물리학저널(The Astrophysical Journal)'에 소개됐다.
연구진들은 외계에 지적 생명체가 존재하고 그들이 태양광 에너지를 통해 전력을 얻을 경우, 우리가 개발한 망원경으로 이를 찾을 수 있을 지 검토했다.
연구진들은 NASA의 차세대 대형 망원경(Great Observatories) 프로그램 중 하나인 ‘거주가능한 세상 천문대(HWO)’로 약 30광년 떨어진 외계 행성을 관찰해 실리콘 기반 태양광 전지판을 찾을 수 있는 지 조사했다.
HWO는 제임스웹 우주망원경(JWST)의 뒤를 잇는 차세대 우주망원경으로, 2040년 지구에서 약 150만km 떨어진 우주로 발사돼 지구를 닮은 외계행성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을 예정이다.
그 결과 해당 외계 행성의 23% 이상이 태양광 전지판으로 덮여있을 경우, HWO가 약 수백 시간에 걸려 이를 찾아낼 수 있을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약 300억 명의 인구를 유지하려면 지구 육지 면적의 9%만 태양광 패널만 덮여 있어도 충분하다. 약 4분의 1 가량이 태양광 패널로 덮여 있다는 것은 아주 극단적인 시나리오며, 에너지 수요에 불필요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또, 해당 논문 공동 저자 NASA 고다드 연구센터 빈센트 코프먼은 "우주에 거대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는 사회라면 핵융합이나 다른 효율적인 전력 생산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외계 문명이 태양광 에너지를 사용하는 것을 가정했다. 하지만, 외계 생명체가 태양 에너지가 아닌 상상을 뛰어넘는 다양한 에너지원을 사용할 가능성도 있다. 또, 우주는 넓고 아주 오래됐지만, 우리가 외계 생명체를 관찰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한 지는 짧게는 수십 년, 길게는 한 세기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다.
때문에 우주에 외계인이 존재한다고 한들 지구인이 개발한 도구를 통해 이를 발견하는 데는 무리가 있다는 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페르미 역설은 창 밖을 내다보면 곰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곰이 존재할 수 없다고 결론을 내리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SETI 연구소는 지적했다.
이정현 미디어연구소(jh7253@zdnet.co.kr)
Copyright © 지디넷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I 모델로 외계인과 대화하는 날 올까
- 일론 머스크 "외계인 증거 본 적 없다"
- 멕시코서 공개된 외계인 사체…NASA의 입장은?
- [영상] "이것이 외계인 사체"…멕시코 의회, UFO 청문회
- "美 국방부, 인간이 아닌 외계인 유해 보관 중"
- 배달앱 수수료 7.8%로 인하...'배민 상생안' 극적 합의
- '스무돌' 맞이한 지스타 2024…주요 게임사 대표 모였다
- 설마했는데…삼성전자, '4만전자' 됐다
- 경계 사라진 비즈니스...엔비디아·어도비 등 ‘빅테크 혁신 팁’ 푼다
- 이석우 두나무-마이클 케이시 DAIS 협회장 "블록체인 산업, 외부 의존도 낮춰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