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보 재가동 추진 중단하고 물관리 정책 정상화해야”…100일째 이어지는 농성

강정의 기자 2024. 8. 6. 14: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문 개방 후 고라니·수달 흔적 발견”
정부의 기후대응댐 건설 계획도 비판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 등으로 구성된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 등이 6일 세종보천막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종보 재가동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대전충남녹색연합 제공

정부의 금강 세종보 재가동 결정에 반대하는 대전·충남지역 환경단체의 농성이 100일 가까이 이어지고 있다. 이들은 정부의 재가동 추진 계획이 철회될 때까지 농성을 이어가겠다는 입장이다.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 등으로 구성된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시민행동)’은 6일 천막농성 중인 세종 금강스포츠공원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윤석열 정부는 당장 세종보 재가동을 중단하고 물정책을 정상화해야만 한다”며 “정부가 결정을 철회할 때까지 농성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시민행동은 정부의 세종보 재가동 계획 중단을 요구하며 지난 4월30일부터 세종보 인근에서 천막농성을 시작했다. 농성은 이날로 98일째를 맞았다.

대전충남녹색연합과 대전환경운동연합 등으로 구성된 ‘보철거를위한금강낙동강영산강시민행동’ 등이 6일 세종보천막농성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종보 재가동 중단을 촉구하고 있다. 대전충남녹색연합 제공

시민행동은 “농성장 인근에서는 올해 태어난 고라니의 발자국과 수달의 배설물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는 강이 회복됐다는 증거”라며 “2017년 11월 세종보 수문을 개방한 뒤 금강 변에 있는 자갈밭과 모래섬이 회복됐고, 자갈밭 인근에 있는 둥지에서 흰목물떼새가 알을 깨고 나오기도 했다”고 밝혔다. 흰목물떼새는 멸종위기 야생생물이다.

2012년 6월 준공된 세종보는 2017년 가동이 중단됐다. 이어 대통령 지속 국가물관리위원회가 2021년 1월 세종보 해체를 결정했지만, 윤석열 정부 들어 결정이 번복되면서 환경부가 보 재가동 계획을 내놨다. 세종시도 보가 재가동되면 세종보 일대를 레저 공간으로 조성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문성호 시민행동 공동대표는 “윤석열 정부는 4대강 정신을 계승한다며 세종보 재가동을 추진하고 있다”며 “4대강 사업 이후 녹조가 금강을 뒤덮었으며 보 인근 주민들은 악취와 창궐하는 날벌레들로 인한 고통을 호소했다. 수질은 악화됐고, 야생생물들은 강을 떠났다”고 말했다.

이들은 최근 정부의 기후대응댐 건설 계획에 대해서도 비판의 목소리를 냈다.

시민행동은 “정부는 정확한 조사와 연구도 없이 홍수와 가뭄을 대비한다면서 전국 14곳에 실효성 없는 신규 댐 건설을 추진하려고 한다”며 “이는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되고도 우리 강과 산을 훼손시키는 제2의 4대강 사업이 될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강정의 기자 justic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