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인폭염 덮친 한반도 … 노인들이 위험하다

진영화 기자(cinema@mk.co.kr), 우성덕 기자(wsd@mk.co.kr), 최승균 기자(choi.seunggyun@mk.co.kr) 2024. 8. 5. 17:5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40도 안팎 사우나 더위에
이틀간 폭염 사망자 5명 발생
올해 열대야 2018년보다 길어
독거노인·장애인 건강 비상
정부, 현장상황관리관 급파
5일 부산 녹음광장에서 한 시민이 머리에 쓰는 양산으로 햇빛을 막은 채 걸어가고 있다. 뉴스1

연일 펄펄 끓는 날씨에 지난 주말에만 온열질환 사망자가 5명 발생하는 등 폭염으로 인한 인명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기록적인 폭염으로 산업 현장이나 농가 등 전국 곳곳에 비상이 걸리면서 지방자치단체들도 피해 확산을 막기 위해 나서고 있다.

지난 3일 오후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에서는 밭에서 일하다 쓰러진 50대 여성이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숨졌다. 또 같은 날 창녕군에서도 길가에 쓰러진 70대 여성이 병원으로 옮겨졌으나 결국 목숨을 잃었다.

5일 질병관리청과 지자체에 따르면 올해 온열질환 사망자는 13명으로, 이달 2~3일에만 5명이 사망했다. 이달 3일 기준 올해 온열질환자는 1546명에 이른다. 특히 대표적 취약층인 노인들의 건강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전체 온열질환자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층이 31.4%(485명)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온열질환 발생 비중이 작업장(29.6%)에 이어 논밭(15.9%)이 많았다는 점은 노인들의 피해가 그만큼 컸다는 것을 보여준다. 고령층은 노화 때문에 더위에 따른 체온 상승과 탈수 증상을 잘 느끼지 못하고 평소 앓고 있던 질환 등의 영향으로 체온 유지와 땀 배출 조절 능력이 떨어져 온열질환에 훨씬 취약할 수밖에 없다.

역대급 폭염에 인명 피해가 속출하자 행정안전부는 17개 시도에 현장상황관리관을 급파해 폭염 대처 상황을 긴급 점검하기로 했다. 행안부가 폭염으로 현장상황관리관을 파견한 것은 2018년 폭염이 자연재난에 포함된 이후 처음이다.

강원도는 독거 노인과 장애인 등 폭염 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생활지원사 1747명을 통해 하루 1회 이상 폭염 안부 전화와 건강 체크를 하고 있다. 강원도는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 등에 대해 건강 관리 전담 인력을 운영하고 생활지원사를 통해 정기적으로 안부를 확인하는 등 돌봄 활동을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다.

부산시도 폭염 취약계층에게 열사병 등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보건소 등과 연계한 긴급의료지원 조치에 나서고 있다. 쪽방촌 주민과 독거 노인, 노숙인과 장애인 등 부산의 폭염 취약계층은 27만여 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된다. 이에 따라 부산시는 독거 노인과 노숙인 등 취약계층과 사회복지시설 등을 대상으로 △구호 물품 지원 △비상 연락 및 안전 확인 체계 운영 △냉방설비 정상 가동 여부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경주시에 따르면 지난 1일 안강읍에서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를 담당하는 사회복지사 김동아 씨(47)는 자신이 돌보는 독거 노인 A할머니(83)에게 문제가 생겼음을 직감하고 발 빠른 대처로 목숨을 구했다. 김씨는 평소 안부 확인 연락을 잘 받던 어르신이 당일 전화를 받지 않자 할머니 집을 찾았고, 체온이 40도가 넘는 상태에서 의식을 잃은 채 마당 의자에 쓰러져 있는 할머니를 발견했다. 할머니는 김씨의 도움을 받아 119로 긴급 호송돼 병원으로 옮겨졌고 건강을 회복하고 있다.

올해는 역대급 더위로 평가받는 2018년과 비교해 최고기온은 낮지만, 최저기온과 습도는 더 높은 '찜통더위' 양상을 보이고 있다. 기상청에 따르면 이달 평균 최저기온은 25.9도로 2018년(24.7도)과 평년(22.9도)을 웃돌고 있다.

최저기온이 높아 하루 종일 무더위를 느낄 뿐만 아니라 열대야가 지속되는 결과로 나타나고 있다. 실제 올해 열대야 일수는 12일로 집계됐다. 2018년(9.5일)보다 길고 평년(3.7일)의 3배 이상 길다. 지난 1일 최저기온이 31.4도까지 치솟은 강릉에서는 17일 연속 열대야가 나타나 113년 만에 가장 긴 열대야로 기록되기도 했다. 습도는 올해 8월 79%, 7월 83%로 2018년 같은 기간보다 각각 6%포인트, 11%포인트 더 높았다. 밤사이 최저기온과 습도가 동시에 높게 유지되면서 불쾌지수 역시 상승할 수밖에 없다. 티베트고기압과 북태평양고기압이 한반도 상공을 겹겹이 싸면서 고온다습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유입시키는 동시에 북쪽의 차고 건조한 고기압이 들어올 틈을 막은 영향이라고 기상청은 설명했다. 기상청은 중기예보에서 이달 중순까지 열대야가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진영화 기자 / 대구 우성덕 기자 / 창원 최승균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