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경기 ‘둘레길 이름’ 쟁탈전 [김태훈의 의미 또는 재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948년 정부 수립 후 한동안 서울은 대한민국의 수도인 동시에 경기도의 도청 소재지였다.
이처럼 행정구역상 경기도에 있지만 '서울'이란 이름이 붙고 또 서울시 산하 기관이 책임 지고 운영하는 곳으로 대공원 외에 서울시립승화원(고양) 등이 더 있다.
총 156.5㎞ 길이의 둘레길은 일부 구간이 서울 말고 경기도 땅과 겹치는데 서울둘레길이란 이름을 붙이는 건 부당하다는 경기도의 이의 제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정희정부 말기인 1977년 경기도 과천 일대에 동물원과 식물원 등을 거느린 대규모 공원을 조성하는 방안이 확정됐다. 처음에는 서울 남쪽에 있는 공원이란 의미에서 ‘남(南)서울대공원’이란 명칭이 검토됐으나 곧 지금과 같은 서울대공원으로 변경됐다. 이처럼 행정구역상 경기도에 있지만 ‘서울’이란 이름이 붙고 또 서울시 산하 기관이 책임 지고 운영하는 곳으로 대공원 외에 서울시립승화원(고양) 등이 더 있다. 서울시와 경기도는 떼려야 뗼 수 없는 관계임을 보여주는 듯하다.
서울 외곽을 둘러볼 수 있는 이른바 ‘서울둘레길’을 두고 서울시와 경기도 간에 충돌이 빚어졌다. 총 156.5㎞ 길이의 둘레길은 일부 구간이 서울 말고 경기도 땅과 겹치는데 서울둘레길이란 이름을 붙이는 건 부당하다는 경기도의 이의 제기 때문이다. 지도를 보면 서울시가 추진하는 서울둘레길은 대부분 서울 안에 있지만 몇몇 짧은 구간이 인근 경기도의 고양, 광명, 안양, 하남, 구리 등을 지나게 돼 있다. 대한민국 수도로서의 상징성과 높은 세계적 인지도를 강조하는 서울시에 맞서 경기도는 “아무리 길이가 짧아도 경기도 땅”이라는 주장을 편다. 결국 중앙정부 부처인 행정안전부로 공이 넘어갔다. 어느 쪽도 기분이 상하지 않게 현명한 결론이 내려지길 고대한다.
김태훈 논설위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애들, 남편 있어도 행복하지 않았다” 장윤정, 가족도 이해 못 하는 아픔 고백
- 상간녀 3명과 불륜설 겪은 탁재훈 “바람 때문이었으면 이혼 안 했다”…진실은?
- “이규혁한테 속았다, 결혼 후회” 손담비, 눈물 쏟으며 밝힌 남편 ‘만행’
- “내 사전에 이혼은 없을 줄 알았다” 조윤희가 직접 밝힌 이동건과의 이혼 사유
- 남편 도경완 불치병 진단 3달 만에 장윤정도 시술…이게 다 무슨 일?
- 조성모 “실종됐던 자폐증 큰형, 뺑소니로 사망”…가슴 아픈 가정사 고백
- 5년 전 그날의 진실…혜은이 한마디에 박원숙 무너졌다
- 정동원은 임영웅을 ‘형’이라고 부르지 않는다? 특별한 애칭 공개
- 생방 중 김혜경 여사 머리 밀친 카메라…대통령실 “각별한 주의 부탁”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