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주주환원만으론 안돼… M&A 등 통해 이익 성장 속도 내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정부가 올해 초부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가운데,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해 주주환원과 더불어 이익의 성장 속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윤창범 삼일PwC 밸류업지원센터장은 "기업은 밸류업 공시를 부담이 아닌, 성장의 마중물로 바라보고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전략 수립과 시행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 관점에서 시장 흐름을 앞서는 선제적 구조조정과 M&A를 통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변화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가 올해 초부터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추진하는 가운데, 기업가치 극대화를 위해 주주환원과 더불어 이익의 성장 속도를 높이는 전략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속도감 있는 자기자본이익률(ROE) 개선을 위해 인수합병(M&A)이나 구조조정 등을 전략적 수단으로 활용하는 방식 등이다.
삼일PwC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Value 業(업) 하라!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 마중물,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성공 요건’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5일 밝혔다. 이 보고서는 국내 증시의 저평가 현상인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과 함께 정부가 추진 중인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고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전략적 방향성을 제공하기 위해 작성됐다.
정부는 지난 2월 기업 밸류업 지원 방안을 발표한 이후, 5월 구체적 가이드라인을 공개하고 지난달 핵심 세제 지원안을 발표한 바 있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은 상장사 스스로 기업가치를 끌어올리는 노력에 방점을 찍고, 이를 유도하기 위해 각종 제도적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먼저 보고서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원인으로 낮은 자본효율성과 미흡한 주주환원을 꼽았다. 자기자본을 활용해 1년간 얼마나 많은 순이익을 창출했는지 판단하는 수익성 지표인 ROE는 한국이 10년 평균 8% 수준으로 미국(14.9%), 일본(8.3%), 중국(9.3%) 등 주요국보다 낮은 편이다. 보고서는 한국의 배당 성향도 10년 평균 26%로 선진국(49.5%) 대비 소극적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보고서는 기업가치 제고를 위해 속도감 있는 성장 전략과 적극적 소통 정책 등 두 가지 전략을 제시했다. 속도감 있는 성장을 위해서는 주주환원 확대뿐만 아니라 이익성장을 통한 ROE 개선이 필요하다. 보고서는 “주주환원율을 높이면 기업가치 제고에 단기적으로 도움이 되지만, 이익 성장이 뒷받침되지 않는다면 모멘텀 상실로 상승 동력이 약해진다”고 지적했다. 이에 속도감 있는 성장이 기업 밸류업의 관건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기존 사업의 역량을 키워내는 유기적 성장과 인수합병(M&A)과 구조조정을 통한 비유기적 성장 방안이 제시됐다.
윤창범 삼일PwC 밸류업지원센터장은 “기업은 밸류업 공시를 부담이 아닌, 성장의 마중물로 바라보고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전략 수립과 시행 노력이 필요하다”며 “특히 비즈니스 트랜스포메이션 관점에서 시장 흐름을 앞서는 선제적 구조조정과 M&A를 통한 비즈니스 포트폴리오 변화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또한 보고서는 정부의 가이드라인을 활용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공시할 때 고려사항을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기업가치 제고 계획 수립 시 ROE를 핵심 지표로 삼는 것이 효율적이며, 인수 및 매각, 사업부 재편, 투자 유치 등 전략 수립이 구체적일수록 시장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김용범 공동센터장은 “대다수 기업이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수립할 때 큰 방향성 없이 ‘매출 얼마 달성’이라는 식의 단편적 목표 설정에 그치는 경우가 많다”며 “공시를 하는 기업이라면 하나의 스토리 라인을 가지고 단기, 중장기 목표가 무엇인지, 이를 달성하기 위한 실행 계획이 무엇인지 구체적으로 설정하고 수립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보고서는 지난해 증시 활황을 이끈 일본 밸류업 정책 사례를 소개했다. 보고서는 “일본은 2013년 아베 내각 때부터 기업지배구조 개편과 스튜어드십 코드라는 두 가지 방향을 담은 ‘일본재흥전략’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 노력을 시작했다”며 “이렇게 장기간 일관되게 추진한 정책 덕분에 밸류업이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분석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무비자에 급 높인 주한대사, 정상회담까지… 한국에 공들이는 中, 속내는
- 역대급 모금에도 수백억 원 빚… 선거 후폭풍 직면한 해리스
- 금투세 폐지시킨 개미들... “이번엔 민주당 지지해야겠다”는 이유는
- ‘머스크 시대’ 올 것 알았나… 스페이스X에 4000억 베팅한 박현주 선구안
- 4만전자 코 앞인데... “지금이라도 트럼프 리스크 있는 종목 피하라”
- 국산 배터리 심은 벤츠 전기차, 아파트 주차장서 불에 타
- [단독] 신세계, 95年 역사 본점 손본다... 식당가 대대적 리뉴얼
- [그린벨트 해제後]② 베드타운 넘어 자족기능 갖출 수 있을까... 기업유치·교통 등 난제 수두룩
- 홍콩 부동산 침체 가속화?… 호화 주택 내던지는 부자들
- 계열사가 “불매 운동하자”… 성과급에 분열된 현대차그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