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w to fuel social conflict and division (KOR)

2024. 8. 5. 09:14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보건사회연구원이 어제 발표한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보고서는 현재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불공정에 대한 불만이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지를 보여준다.

어느 나라든 이념 또는 진영 간 불화가 사회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이긴 하다.

아울러 응답자의 3분의 2(65.1%)는 우리 사회가 공정하지 않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느 사회든 갈등이 없을 수는 없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The responsibility to prevent it falls on the government and politicians. But unfortunately, they are go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A report released by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is shocking. It explicitly shows the alarming level of social conflict and discontent about unfairness in our society. The level of social conflict scored 2.93 points out of the maximum 4 points among 3,950 adults who agreed to the interview arranged by the institute. In the 2018 survey, the level of conflict received 2.88 points.

The most serious conflict was between progressives and conservatives, as expected. A total of 92.3 percent of the respondents, up five percentage points from 2018, said it reached a serious level already. For any countries, the biggest conflict factor is discord between the two opposite camps. But our society has crossed a point of no return, as implied by 58.2 percent who showed no intention to marry if their counterpart has a different political ideology from theirs. One out of three people said they would not drink with people from the other side. Under such circumstances, social integration is impossible.

Such a sharp divide was largely fueled by our politicians. Despite the minimal gap in the rate of votes earned in elections, the winner repeatedly monopolized the power. The principle of “all or nothing” only helped deepen a sense of revenge on the winner next time. Our society became used to attributing all forms of conflict to opponents. The fandom-based politics only bisects the country whether it be a governing or opposition party. As if to prove our citizens’ low level of trust in the National Assembly, 74.1 percent gave the lowest score to the performance of the legislature.

At the same time, nearly two-thirds of the people, or 65.1 percent, said our society is not fair, as seen in their relatively low grading of the judiciary and administrative systems. A total of 33.8 percent also cited corruption and injustice of the establishment as the biggest reasons for unfairness. This must serve as a wake-up call for President Yoon Suk Yeol who could be elected largely thanks to his crusade to uphold fairness and common sense in defiance of the past administration’s biased governance.

The surprising results of the survey also reflected the president’s stubborn reluctance to apologize for his wife’s mistakes on her behalf or let her be investigated by the prosecution. High government officials not taking responsibility for the tragic death of a Marine on a rescue mission — or for the deadly crowd crush in Itaewon in 2022 — also must have affected the poor results of the survey.

No society can avoid conflict. But if it cannot be properly managed and controlled, it explodes anytime. The responsibility to prevent it falls on the government and politicians. But unfortunately, they are go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국민 절반 "정치성향 다르면 연애도 않는다"로 만든 우리 정치

‘보수·진보 갈등 심각’…강성 팬덤 정치의 결과국민 3분의2 "불공정 사회", 정부도 각성해야

보건사회연구원이 어제 발표한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 보고서는 현재 우리 사회의 갈등과, 불공정에 대한 불만이 얼마나 심각한 수준인지를 보여준다. 면접조사에 참여한 전국 성인 남녀 3950명이 매긴 한국의 갈등 정도는 4점 만점에 2.93점이었다. 2018년의 2.88점보다 한층 심해졌다. 국민 대부분이 갈등에 시달린다고 느끼고 있는 셈이다.

가장 심각한 분야는 예상대로 진보와 보수의 갈등이었다. 무려 92.3%가 심각하다고 평가했다. 2018년보다 5%포인트나 늘었다. 어느 나라든 이념 또는 진영 간 불화가 사회의 가장 큰 갈등 요인이긴 하다. 하지만 우리는 도저히 화합하기가 어려운 상황으로 치닫고 있다. 오죽하면 절반 이상(58.2%)이 정치성향이 다르면 연애나 결혼을 할 생각이 없다고 답했을까. 국민 셋 중 한 명은 다른 진영 사람과는 술자리도 함께하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말도 섞지 않는데다 피까지 더 섞이지 않다 보면 나라는 장차 두 쪽이 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올 수밖에 없다.

이런 분열상은 정치가 부채질한 측면이 크다. 그간 선거에서 득표율은 큰 차이가 없는데 간신히 이긴 쪽이 모든 권력을 독점하는 결과가 되풀이됐다. 전부 아니면 전무를 반복해 경험하다 보니 결국 서로 자신의 진영만 다독이며 다음에는 우리가 권력을 잡아 상대를 무찌르자는 복수의 인식만 강해져 온 것이다. 무슨 일이 일어나도 서로 상대 탓만 하는 게 익숙해져 버린 사회다. 여야를 가릴 것 없이 강성 팬덤에만 의지하는 정치가 나라를 둘로 쪼개고 있다. 이를 반영하듯 이번 조사에서 분야별 신뢰도를 묻는 질문에 국회(입법부)가 압도적 꼴찌를 차지했다. 74.1%가 거의 신뢰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아울러 응답자의 3분의 2(65.1%)는 우리 사회가 공정하지 않다고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법과 행정 시스템에 대한 평가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았다. 불공정의 가장 큰 원인으로는 기득권의 부정부패(38.8%)가 꼽혔다. 지난 정부의 불공정에 반발해 공정과 상식을 앞세워 출범한 윤석열 정부로서는 매우 아픈 대목이 아닐 수 없다. 국민이 체감하는 공정성은 전혀 회복되지 않았다는 의미기 때문이다. 영부인 관련 논란에 대해 사과나 조사를 한사코 거부하고, 수사기관도 눈치 보며 쩔쩔매 온 상황들도 이번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다. 젊은 군인이나 축제에 나선 시민들이 죽거나 다쳐도 책임지는 고위 공직자 역시 보이지 않았으니 이 같은 민심이 나타나게 된 게 아닐까. 누누이 지적해 온 모순과 문제점이 고스란히 반영된 결과일 뿐이다.

어느 사회든 갈등이 없을 수는 없다. 하지만 적절히 관리되지 않으면 폭발하고 만다. 관리와 치유의 역할을 맡아야 할 책임은 정부와 정치에 있다. 그런데 우리는 반대로만 가고 있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