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관세갈등 남북전쟁후 160년… 도농격차-정치양극화로 ‘심리적 내전’[권오상의 전쟁으로 읽는 경제]
18세기 독립전쟁-19세기 남북전쟁
모두 관세 등 경제정책 놓고 충돌… 각각 2만명-62만명대 사망자 기록
현재는 잘사는 도시 vs 못사는 시골
민주당 vs 공화당 지지층으로 갈려… 먹고사는 문제 놓고 내부 갈등 격화
1775년 북아메리카의 13개 영국 식민지가 모국을 상대로 반란을 일으켰을 때 그들은 한마음이었다. 그때는 다 합쳐 240만 명 인구에 면적은 현재의 9분의 1로서 오늘날의 에티오피아 정도 크기였다. 공동의 이해관계를 가진 데다가 물러설 곳이 없는 미국 민병대는 징집돼 끌려온 영국 정규군보다 악착같이 싸웠다. 게다가 영국 식민지의 반란을 고소하게 바라보던 프랑스와 스페인은 영국에 물을 먹일 생각으로 북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영국군과 싸웠다. 1783년 독립 전쟁이 끝날 때까지 미국은 최소 2만5000명의 전사자를 냈다.
그로부터 80년 가까운 시간이 흐르고 영토가 넓어지면서 미국은 하나로 남기엔 모순이 커졌다. 남부의 주들은 링컨이 대통령이 되면 분리 독립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1861년 3월의 대통령 취임이 다가오자 남부는 그해 2월 아메리카연합국을 선포했다. 미국 독립 당시의 13개 식민지 중 가장 역사가 오래된 버지니아를 포함해 4개가 남부 연합에 속했다. 남부의 딕시가 보기에 약 80년 전의 미국 독립과 지금의 남부 독립은 하나도 다른 게 없었다. 서로 입장이 달라졌으니 각각 다른 국가로 살아가자는 거였다.
북부는 그럴 생각이 없었다. 남부가 떨어져 나가면 자신들의 경쟁력 없는 제품이 안 팔려 경제적 손실을 볼 터였다. 그건 바로 1773년 12월 보스턴 차 사건이 일어난 원인이기도 했다. 영국의 법령을 무시하고 차를 네덜란드에서 밀수하던 식민지의 이른바 ‘자유의 아들들’은 1773년 5월에 새로 공표된 ‘차법’에 위기감을 느꼈다. 영국 동인도회사가 팔던 차에 부과되던 관세가 높아 밀수가 돈이 됐는데 이제 법이 바뀌어 관세가 붙지 않은 차가 들어오면 쫄딱 망할 터였다. 자유의 아들들은 폭력으로써 정식 수입된 차를 망쳐 놓았다.
남부의 독립 선언에 링컨은 곧바로 무력 진압을 천명했다. 결국 1861년 4월 12일 내전이 터졌다. 1865년 내전이 끝날 때까지 양쪽은 도합 60만 명 이상의 전사자를 냈다. 이는 당시 미국 인구 3100만 명의 2%에 해당했다. 어쨌든 북부는 무력으로 남부를 붙들어 놓는 데 성공했다.
현재 미국의 양분은 남북전쟁 때와 성격이 다르다. 크게 보면 잘사는 도시와 못사는 시골의 대립이다. 가령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하는 주에서도 도시는 대개 바이든 편이다. 거꾸로 민주당이 강한 주라도 시골은 공화당 차지인 경우가 많다. 이는 경제학의 비교 우위론의 맹점을 보여준다. 리카도가 주장한 비교 우위론은 후진국도 자유 무역을 하는 게 이익이라는 이론이다.
가령 앞선 도국과 뒤처진 레국이 있다고 하자. 두 나라 모두 로봇 엔지니어와 바나나 농부가 산다. 도국의 엔지니어와 농부가 레국의 엔지니어, 농부보다 각각 더 많이 생산할 수 있어도 도국은 로봇만 제조하고 레국은 바나나만 경작해 서로 수출하는 게 결과적으로 더 많은 로봇과 바나나를 누릴 수 있다는 게 비교 우위론이다. 문제는 도국의 바나나 농부다. 하루아침에 로봇 엔지니어가 될 방법이 없어서다. 당연히 그들은 먹고살기가 예전 같지 않다. 장벽을 세우자는 트럼프류에게 그들의 마음이 끌리는 이유다.
미국이 다시 내전을 벌일까? 미국의 헤지펀드 밸류액트에서 일했던 데이비드 록우드는 이를 국가의 최적 크기라는 관점으로 바라본다. 국가는 너무 작아도 문제이고 너무 커도 문제라는 게 그의 주장의 핵심이다. 너무 작으면 공공재의 규모의 경제가 안 나오고 옆 나라의 침공을 막기도 힘들다. 반대로 너무 크면 공동의 이해관계가 옅어지고 내부의 대립이 심화된다. 그러므로 너무 작은 나라는 합칠 필요가 있고 너무 큰 나라는 나눌 필요가 있다.
록우드에 의하면 국가의 최적 크기는 시대의 환경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그건 전쟁 빈도, 국방 비용, 자유 무역, 소득 불평등, 국제기구 등 다섯 요소에 좌우된다. 구체적으로, 전쟁이 드물수록, 국방 비용이 낮을수록, 자유 무역이 퍼질수록, 소득 불평등이 클수록, 그리고 유효한 국제기구가 많을수록 국가의 최적 크기는 작아진다.
19세기와 비교하면 현재는 다섯 가지 모두 다 국가가 작아져도 괜찮다는 쪽이다. 그만큼 미국의 크기는 과하다고 볼 만하다. 내부에서 다툴 일이 없도록 국가를 평화롭게 둘로 나누는 게 정답일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나 도시와 시골로 쪼개서 두 나라로 만들 방법은 사실상 없다. 록우드는 한 가지 길이 더 있다고 지적한다. 필요 이상으로 큰 나라가 쪼개지지 않으면 내부의 갈등을 강제로 억누르는 과정에서 권위주의 체제로 변할 수밖에 없다는 거다. 그러고 보면 영토가 1위와 2위인 러시아와 중국은 둘 다 권위주의 체제다.
권오상 프라이머사제파트너스 공동대표 ‘전쟁의 경제학’ 저자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김우진 남자양궁 금메달…한국최초 통산 5금메달
- ‘1세트 내준뒤 역전승’ 안세영 “긴장을 많이해서…결승에 올인하겠다”
- “돌아이 되면 할 수 있대요”…‘女사브르 초짜 트리오’ 거칠것이 없었다
- 민주 “檢 대규모 통신조회, 전방위 사찰” vs 檢 “적법한 조회”
- 한국 대표로 메달까지 땄던 선수가 왜 다른 나라 대표로 파리에? [데이터 비키니]
- “어떻게든 되겠지”…양지인의 ‘무심 사격’, 파리서도 빛 발했다
- 아침에 일어났을 때 관절이 뻣뻣하게 굳어 있다
- 난폭운전 예고 ‘따릉이 폭주족’, 경찰 단속하자 나타나지 않아
- 숭례문 지하보도 살인 70대, 범행동기 묻자 “모른다”
- “이란, 빠르면 5일 이스라엘 공격”…美, 중동에 항모-전투기 추가 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