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에 판매전략 전권 준 정의선 … 1억대 달성 기간 가장 빨라
판매량 24% 차지하던 중국
사드 보복·코로나에 판매 뚝
정의선 '권역별 책임제' 특명
저가 모델 팔던 미국시장
제네시스·SUV로 고급화
국내 이어 2위 시장 떠올라
58년만에 1억대, 도요타 제쳐
◆ 현대차 1억대 질주 ◆
2018년 12월, 정의선 당시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전 세계 해외법인장을 긴급 소집했다. 2015년 500만대에 달했던 현대차 글로벌 연간 판매량이 중국 시장 부진에 따라 450만대로 떨어진 시점이었다. 정 회장은 "권역본부 중심으로 각 부문과 협업을 강화해 고객에게 새로운 경험과 최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기업으로 거듭나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까지도 현대차 글로벌 조직의 핵심 전략으로 작동하고 있는 '권역별 책임경영체제'는 이렇게 시작됐다. 최고경영자(CEO)가 본사 총괄 조직에, 총괄 조직은 해외 본부에, 본부는 생산법인과 판매법인에 각각 지시를 하달하던 '톱다운' 방식은 이 시기를 기점으로 바뀌었다. 생산법인, 판매법인, 기획총괄이 한 몸으로 묶인 권역본부의 수장이 CEO에게 현장 중심의 의견과 전략을 전달하는 '보텀업' 방식이 자리 잡았다. 당시 정 회장은 "2019년을 'V자 회복'의 원년으로 삼자"며 법인장들을 다독였다.
현대차그룹 위기의 순간으로 전현직 임원들은 너도나도 2017년 중국 사드 사태 당시를 꼽는다. 중국 시장은 2000년 전후 공장을 세운 튀르키예, 인도, 미국, 중국 4개 지역 중 가장 효자 노릇을 톡톡히 한 곳이었다.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진입한 중국 시장은 연간 125만대까지 생산량을 늘리면서 순항했다. 2010년 중국 시장 판매량은 70만대로 미국, 유럽, 인도뿐만 아니라 국내 시장을 넘어설 정도였다. 2016년에는 114만대까지 판매량을 확대해 현대차 글로벌 전체 판매량의 23.5%를 차지했다.
하지만 2017년부터 중국 시장에 악재가 겹치기 시작했다. 사드 배치와 관련한 정치적 이슈로 중국 내 한한령이 거세졌고, 2019년 말 코로나19가 시작되면서는 중국 정부가 도시 봉쇄령을 내리며 정상적인 차량 판매가 불가능했다.
중국이 전기차, 하이브리드, 수소차 등 자국의 신에너지차(NEV) 성장을 촉진하는 정책을 펼치면서 현대차의 어려움은 가중됐다. 중국 내 현대차 판매량은 2017년 78만여 대로 확 줄었다. 2021년에는 35만여 대, 지난해에는 24만여 대로 더욱 감소했다.
이때 구원투수 역할을 한 것은 미국 시장이었다. 연간 60만대 수준의 판매량으로 현대차의 3위 시장을 유지하던 미국은 2019년을 기점으로 70만대를 넘겨 국내를 이은 현대차의 글로벌 2위 시장으로 도약했다. 지난해에는 87만대로 다시 최고 실적을 썼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 미국 시장은 현대차 글로벌 판매량의 21.2%를 책임지고 있다.
이 같은 성장세를 이끈 인물이 '권역별 책임제'하에서 첫 번째 미주 권역담당을 맡은 호세 무뇨스 현대차그룹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겸 사장이다. 보텀업 방식의 첫 기수인 무뇨스 사장은 미국 현지에서 인기가 높은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중심 판매와 제네시스 브랜드의 가치 제고를 현지화 전략으로 세웠다.
무뇨스 사장은 매일경제와 단독 인터뷰하면서 "판매의 양보다는 질을 높이는 데 주력했다"고 회상했다. 그는 "SUV 판매 확대를 통해 차량의 평균단가를 높이는 전략을 짰다"며 "미국 시장에서 뛰어난 디자인과 기술을 갖춘 하이테크 기업으로 포지셔닝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무뇨스 사장은 "북미 지역을 중심으로 제네시스 단독 매장을 확대하고 대리점에서 고객을 왕으로 환대하는 문화를 정착시키면서 고급 브랜드 구축에 힘썼다"고 강조했다.
미국 시장은 도요타의 렉서스, 혼다의 아큐라, 닛산의 인피니티 등 일본 제조사가 현대차에 앞서 프리미엄 브랜드 전략을 강화했던 시장이다. 현재 미국 시장에서 의미 있는 판매량을 보이는 프리미엄 브랜드는 렉서스와 제네시스 두 가지다. 2019년 2만여 대에 그쳤던 제네시스 판매량은 2021년 5만여 대, 2022년 7만여 대로 빠르게 성장했다.
해외 전략 대개편과 고급화 전략은 제대로 먹혔다. 현대자동차가 올해 6월까지 기록한 글로벌 누적 판매량은 9911만4454대. 1967년 12월 자동차 제조업 진입을 선언한 이후 58년 만인 올해 현대차는 국내 완성차 업체 최초로 글로벌 누적 판매량 1억대의 벽을 넘는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 중 단일 브랜드로 판매 누계 1억대를 넘은 제조사는 도요타, 폭스바겐, GM, 포드, 닛산, 혼다 등 6곳으로 적지 않다. 하지만 1억대 달성까지 걸린 기간은 현대차가 가장 짧다. 도요타는 1997년 창립 63년 만에, 폭스바겐은 창립 69년 만인 2002년에 1억대 이정표를 달성했다. 포드, 닛산 등은 70년 이상 걸려서 1억대를 넘겼다.
경영층이 주도한 해외 시장 개혁은 현대차가 글로벌 브랜드로 자리 잡는 결과로 나타났다. 2001년 59%였던 현대차 해외 판매 비중은 지난해 82%까지 늘어났다. 지난해 국내 판매 대수만 76만대였는데, 해외에서는 5배에 달하는 340만대를 팔았다.
[박제완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파리 한복판 한국 국대 동상 세워졌다”…주인공은 ‘양궁 3관왕’ 임시현 - 매일경제
- 갈기갈기 찢은 600만원 은행에 가져가니…직원들이 기적을 만들었다 - 매일경제
- 女배드민턴 세계2위 8강서 탈락…‘퀸 안세영’ 금메달 청신호 - 매일경제
- 과학고·영재고 졸업하고 카이스트 안 갔네?…어디 입학했나 봤더니 ‘역시나’ - 매일경제
- “0점 쐈지만 존재감 더 커졌다”...김예지, 올림픽 첫 주 10대뉴스 등판 - 매일경제
- 전공의들 복귀 거부하고 몰려간 곳...선배 의사들이 마련한 ‘개원·취업 프로그램’ - 매일경제
- “항문, 발가락, 손이 없는 아이 낳고 있다”...북한에서 확산되고 있는 ‘유령병’ - 매일경제
- “10t 물로 냉각? 사실상 불가능”…전기차 화재 대응책 있을까? - 매일경제
- “13명 뽑는데 1300명 몰려”…거주지 요건 없애자 ‘공시생 기회의 땅’ 등극한 곳은? - 매일경제
- ‘金만큼 빛난 銀’ 새 역사 쓴 대한민국 女 사브르, 하를란의 우크라이나에 아쉬운 역전패→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