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58% "정치 성향 다르면 결혼 안해"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진보·보수간 갈등, 비정규직·정규직간 갈등 등으로 사회 통합 수준이 최근 2년 대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Ⅹ)-공정성과 갈등 인식'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만 19세~75세 이하 남녀 39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2023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실태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사회 통합도'에 평균 4.2점을 줬다.
지금보다 사회갈등의 수준이 더 낮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6%에 불과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최근 2년간 사회통합도 하락…'4.2점'
10명 중 9명 "진보·보수 갈등 심각해"
[서울=뉴시스]권신혁 기자 = 진보·보수간 갈등, 비정규직·정규직간 갈등 등으로 사회 통합 수준이 최근 2년 대폭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중 절반 이상이 정치 성향이 다른 사람과 연애 및 결혼을 할 의향이 없다고 답할 정도다.
4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의 ‘사회통합 실태진단 및 대응방안(Ⅹ)-공정성과 갈등 인식’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전국의 만 19세~75세 이하 남녀 3950명을 대상으로 실시된 '2023 사회갈등과 사회통합 실태조사'에서 응답자들은 '사회 통합도'에 평균 4.2점을 줬다. 0점은 사회통합이 전혀 이뤄지지 못하고 있음을, 10점은 매우 잘 이뤄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2021년 4.59점을 기록했던 사회통합도는 2022년 4.31점으로 크게 떨어졌다. 이어 지난해까지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보고서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전국적으로 확산된 2020년부터 2021년, 감염병 앞에서 사회가 응집했다고 본다.
반면 사회갈등도는 2018년 2.88(4점 만점)에서 지난해 2.93까지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국민이 가장 심각하다고 느끼는 갈등의 유형은 진보와 보수 간 갈등이었다. 10명 중 9명 꼴인 응답자의 92%가 해당 갈등이 심각하다고 봤다.
이 같은 정치적 영역에서의 갈등은 교제 의향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치 성향이 다른 이와 연애 및 결혼을 할 의향이 있냐는 질문에 절반 이상인 58%가 '없다'고 답했다.
정치 성향이 다른 친구 및 지인과의 술자리에 참여할 의향이 없다는 사람은 33%, 시민사회단체 활동을 할 의향이 없다는 사람은 71%였다.
아울러 2018년과 비교했을 때 응답자들은 빈부갈등, 주택소유자 및 비소유자간 갈등, 정규직과 비정규직간 갈등,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갈등 등이 더 심각해졌다고 봤다. 특히 주택소유를 둘러싼 갈등의 경우 2018년 당시 응답자 중 49%가 심각하다고 봤으나 지난해엔 60%에 달했다.
반면 젠더갈등은 2018년(52%)에서 지난해 46%로 심각성에 대한 인식이 감소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갈등의 원인과 관련해서는, 응답자 중 가장 많은 25%가 '미래 삶의 불확실성 심화'를 꼽았다. 사회계층 간 이동성 단절(23%), 사회지도층의 도덕적 책임 부족(17%), 미디어(SNS)의 발달로 인한 가짜뉴스 전파(10%) 순으로 이어졌다.
국민은 사회갈등의 해결 주체로 정부를 가리켰다.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인 56%가 해결 주체를 묻는 질문에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라고 답했다. 국회 및 정당은 22%로 2위를 기록했다.
지금보다 사회갈등의 수준이 더 낮아질 것이라고 응답한 사람은 6%에 불과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nnovation@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