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호초 파괴하는 가시관 불가사리가 갑자기 늘어난 이유는?

고든정 2024. 8. 4. 10:1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산호초는 바다 면적의 0.1% 정도에 불과하지만, 지금까지 발견된 해양 생물종의 4분의 1이 이곳에서 발견되었을 만큼 많은 생물이 살고 있어 '바다의 열대우림'으로 불린다.

최근 광범위한 백화 현상으로 고통받고 있는 산호초에 설상가상으로 산호를 먹는 악마 불가사리 혹은 가시관 불가사리 (crown-of-thorns starfish·COTS) 개체 수까지 갑자기 늘어나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나우뉴스]

바다의 열대우림으로 불리는 산호를 먹는 가시관 불가사리가 갑자기 늘어나고 있다. 투명한 몸 가운데 보이는 것이 가시관 불가사리이며, 노란색이 가시관 불가사리의 먹이인 트리코데스뮴이다. 출처: 벤자민 모스.

산호초는 바다 면적의 0.1% 정도에 불과하지만, 지금까지 발견된 해양 생물종의 4분의 1이 이곳에서 발견되었을 만큼 많은 생물이 살고 있어 ‘바다의 열대우림’으로 불린다. 하지만 최근 전 세계 산호초들은 기후 변화와 해양 오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다.

산호는 따뜻한 바다에서 살아가지만 바닷물의 온도가 너무 올라가면 살기 힘들어져 몸 안에 있는 공생 조류를 방출한다. 그러면 산호의 색깔이 빠진 것처럼 하얗게 되는 백화현상이 일어난다. 백화 현상이 일어난 산호는 바로 죽지 않지만, 에너지의 90%를 공생 조류에서 얻기 때문에 백화현상이 지속되면 결국 죽게 된다.

최근 광범위한 백화 현상으로 고통받고 있는 산호초에 설상가상으로 산호를 먹는 악마 불가사리 혹은 가시관 불가사리 (crown-of-thorns starfish·COTS) 개체 수까지 갑자기 늘어나고 있다. 이대로 가다가는 호주의 ‘그레이트 리프 배리어’와 같은 대형 산호초의 붕괴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도 나오고 있다.

호주 퀸즐랜드 대학과 서던 크로스 대학의 과학자들은 가시관 불가사리가 갑자기 늘어난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가시관 불가사리 유생을 연구했다. 이 작은 유생들은 자신보다 큰 산호 대신 작은 플랑크톤이나 미생물을 잡아먹는다. 유생이 먹는 미생물이 최근 개체 수 증가와 연관이 있을지 모른다고 생각한 연구팀은 몇 개의 유력한 용의자를 조사했다.

그 결과 바다 위에 마치 톱밥 같은 덩어리를 만들어 바다 톱밥이라고 불리는 남세균인 ‘트리코데스뮴’ (Trichodesmium cyanobacteria)이 가장 유력한 용의자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트리코데스뮴은 독을 지니고 있지만, 일부 해양 동물은 이 독에 대한 내성이 있어 이 미생물을 주식으로 삼는다.

연구팀은 가시관 불가사리 유생이 트리코데스뮴만 먹고도 잘 자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물론 이것이 개체 수 증가의 유일한 원인은 아닐 수도 있지만, 먹이가 되는 미생물이 크게 늘어나면 가시관 불가사리 유생의 성장에 유리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사실 트리코데스뮴 같은 광합성 남세균이 크게 증식한 것도 지구 온난화처럼 인간의 활동과 연관이 있다. 농업에 사용한 각종 비료와 생활 하수에서 나온 유기물이 바다로 흘러가면 이들을 위한 비료가 되어 폭발적인 증식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결국 산호초를 파괴하는 진짜 범인은 가시관 불가사리가 아니라 인간일 가능성이 높다. 그런 만큼 결자해지의 자세로 문제를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우리의 노력이 필요하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