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명의 달인' 트럼프의 고민…해리스에 착 달라붙을 '악성 닉네임' 뭘까 [스프]
이현식 D콘텐츠 제작위원 2024. 8. 3. 09:06
[뉴스쉽]
그렇다면, 트럼프가 해리스에게 뒤집어씌우려고 시도한 닉네임이나 수식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미리 말하자면, 어질어질할 정도로 많다.)
트럼프는 지난 7월25일 유세에서부터 해리스에 대한 인신공격을 본격화했다. 도가 지나친 표현이나 거짓말도 상당수다. 한 단어짜리 수식어도 있고, 문장 또는 문단으로 된 비난이나 무시, 조롱도 있다. 시행착오를 겪으며 이것저것 시도해 보는 중이라 아직 표현이 정리되지 않아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해리스가 걸핏하면 뜬금없이 이상하게 웃는다는 인신공격이다. 해리스를 원래 싫어하는 트럼프 지지자들은 재미있어했겠지만, 이 공격은 잘 먹히지 않았다. 일반인들은 '그게 뭐? 호탕하게 웃는 모습이 인간적이고 재미있기만 하는구먼' 하는 반응이 적지 않았다.
바이든이 그렇게 늙고 쇠약해졌다는 걸 감췄다, 남쪽 국경 불법 입국자 문제를 담당하는 동안 국경에 가본 적 없으면서도 가봤다고 거짓말했다 등등의 주장을 뭉뚱그린 것이다. 그러나 별로 재미를 못 봤다고 생각하는지, 트럼프는 처음 몇 번 이후 이 표현을 잘 쓰지 않는 모양새다. 바이든은 이미 선거에서 발을 빼 버렸기 때문에 더 이상 이슈가 되지 않고, 그 외의 부분들은 정치에게 별 관심 없는 대중에겐 설명이 필요하기 때문으로 보인다.
해리스가 임신 8, 9개월의 낙태, 심지어 산모의 체외로 나온 신생아의 살해까지 옹호한다는 주장이다. 이는 명백한 거짓말일 뿐 아니라, 입에 착 붙는 '한 단어' 닉네임도 아니어서, 역시 대중적 파급효과는 전혀 없었다.
과거에 해리스가 민주당 내 핵심 지지층에 어필하기 위해 강성 진보 입맛에 맞는 발언들을 했다는 점을 이용한 공격이다. 해리스가 '좌파'라는 공격은 정책과 관련이 있으므로, 다른 인신공격들보다는 중도층의 반응을 이끌어낼 소지가 있다. 하지만 지나치게 악의적인 표현과 거짓말 등을 함께 섞다 보니 오히려 공격의 효과가 떨어지는 측면이 있다.
인종 비하적인 측면이 있는 아슬아슬한 비방이다. '흑인들은 열등한 인종이므로 지능도 낮다'는 백인들의 인종적 우월감을 밑에 깔고 있는 공격이기 때문이다.
트럼프가 직접 이 표현을 쓰지는 않았는데, 공화당 일부 의원과 지지자들이 해리스를 비하하기 위해 "DEI Hire"라는 표현을 썼다. DEI란 Diversity(다양성), Equity(공평성) Inclusion (포용성)의 준말이고, hire는 사람을 채용한다는 뜻이다. 그러니 해리스가 'DEI Hire'라는 말은, 능력도 없는데 오로지 흑인에 여성이라는 이유로 지금의 자리에 앉게 됐다는 뜻이다.
한국식으로 비유하자면, 스카이(SKY) 다니는 대학생을 보고 '공부도 못하는 게 '사배자'(사회적 배려 대상자)라서 들어온 것'이라고 악담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사회적으로 옳지도 않을 뿐더러 정치적으로도 표를 깎아 먹는 표현이어서, 공화당 하원의장 마이크 존슨은 소속 의원들에게 "그 표현 좀 쓰지 말라"고 입단속을 하기도 했다. 여러 언론이 트럼프에게 "당신을 지지한다는 사람들이 해리스를 DEI hire라고 부르는데, 그런 표현 써도 된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트럼프는 "안 된다"고 한 적이 없다. 엉뚱한 소리를 둘러대며 즉답을 피할 뿐이었다.
트럼프는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해리스가 대통령이 되면 외국 정상들이 미국을 '우습게 알 것'이라고 주장했다. 외국 정상들은 해리스를 '장난감(play toy)' 취급할 것이며, 해리스 같은 만만한 사람을 상대하게 된 걸 너무나 큰 행운으로 생각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들이 해리스를 '밟고 다닐 것'이라고도 했는데, 이는 외국 정상들이 해리스를 '도어 매트(door mat)'로 여길 것이라는 의미다. '도어 매트로 여긴다'는 관용 표현은 '상대를 만만하게 보고 제멋대로 굴다, 이용해 먹다'라는 뜻이다.
그러면서 트럼프는 "왜 그런지 내가 직접 말하고 싶진 않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 이유를 이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포스트는 해리스의 '겉모습(appearance)'을 언급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해리스는 자신의 이름 '카말라(Kamala)'가 어머니의 인도계 전통을 기리는 이름이며, '연꽃'을 의미한다고 2019년 자서전에서 밝힌 바 있다. 그러면서 자기 이름 발음하는 법을 소개했다. 앞음절 '카-'에 강세를 둔다. 2016년에 상원의원에 도전할 때는 어린아이들을 내세워 자기 이름 발음법 영상을 만든 적도 있다. '캐-멀라', '커마-ㄹ라', '카멜라' 다 아니고 '카-멀라'라는 것이다. 강세를 맨 앞음절 '카-'에 둔다.
그런데 트럼프는 지난 7월 31일 흑인언론인대회(NABJ) 집단 인터뷰에서, "(해리스가) 인도인이라는 얘기만 하더니 몇 년 전부터 흑인 행세를 한다"고 주장했다. "누군가 조사해 봐야 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흑인들 사이를 이간질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이에 대한 통렬한 반박은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에게서 나왔다. 흑인 여성 최초의 백악관 대변인인 장-피에르는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을 함부로 규정해선 안 된다며, 당사자만이 자신의 삶과 경험(흑인으로서 산다는 것)에 대해 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도 트럼프의 이 발언에 대한 심층분석기사를 싣고, 뿌리 깊은 인종주의적 태도라고 비판했다. '당신이 무슨 인종인지는 내가 결정해'라는 백인우월주의적 태도의 발로라는 것이다.
이렇게 온갖 부정적인 수식어와 별명을 붙여보려고 트럼프가 애를 썼지만, 아직은 효과가 없었다. 여론조사 수치가 그 증거다. 6월 27일 TV 토론 이후 바이든을 상대로 한참 앞서나가던 여론조사 수치는 이제 오차 범위 이내로 좁혀졌고, 일부 전국 조사에선 해리스가 앞서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11월 본선의 승패를 실질적으로 결정할 경합주들의 여론조사 결과는 트럼프에게 위험 신호를 울리고 있다. 블룸버그는 모닝컨설트에 의뢰해 7월 24일-28일 사이 해리스 대 트럼프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30일에 발표했는데, 7개 경합주 가운데 6개 주(state)에서 해리스가 약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에서는 해리스가 11%포인트나 앞섰고, 애리조나, 위스콘신, 네바다에서는 2%포인트의 우위를 보였다. 트럼프는 펜실베이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2%포인트 앞섰다. 조지아에서는 두 후보가 동률을 기록했다. 바이든이 이 주들 대부분을 트럼프에 내줄 위기였던 것을 생각하면 엄청난 변화다.
트럼프가 해리스에게 비수를 꽂을 '치명적인 한 마디'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건, 해리스가 아직 미국 대중에게 덜 알려진 사람이라는 뜻도 된다. 해리스는 '바이든의 부통령', '캘리포니아 출신 리버럴' 정도로 알려져 있을 뿐, 대통령이 되면 뭘 하겠다는 건지, 구체적인 정책들에 있어 바이든과 뭐가 같고 뭐가 다를지 등등 아직 제대로 그림을 그려 내놓은 바는 없다. 해리스의 개인적인 인생 역정에 대해서도 정치 고관여층이 아니면 여전히 잘 모른다.
한편으로는 바로 그렇기 때문에, 트럼프가 해리스에 대한 대중의 인식을 '선점'하려고 애쓰는 것이다. 해리스가 자신의 언어로 스스로를 미국인에게 충분히 알리기 전에 부정적인 프레임에 가두고 나쁜 이미지를 덧칠할 수 있다면, 트럼프는 본선을 유리하게 끌고 갈 수 있을지도 모른다.
트럼프의 핵심 지지층이 사안에 대한 복잡한 설명보다는 자신들의 화를 풀어주는 간단한 말을 더 좋아하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 조지 오웰이 <1984>와 <동물농장>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복잡한 언어는 생각이 많아지게 하므로, 상대방 진영에 대한 적개심을 고취하는 데에 별 도움이 안 된다.
그런데, 트럼프가 대통령이던 시절 그의 국가안보보좌관이었던 존 볼튼은 다른 층위의 설명을 내놓는다. 트럼프는 철학이 빈곤하고 정책 논쟁을 할 실력도 안 되는 사람이라, 할 줄 아는 게 인신공격밖에 없다는 것이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트럼프는 '별명 붙이기'의 달인이다. 자신의 정적(政敵)을 조롱·비하하는 수식어를 잘 붙여서 재미를 꽤 봤다. 영문 위키피디아에는 '트럼프가 정적에게 사용한 닉네임들'이라는 긴 문서가 따로 존재할 정도다.
어떤 인물의 특징을 잘 잡아낸 별명 또는 수식어가 그 인물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맞는 경우, 해당 수식어는 상당한 힘을 낸다. 대상 인물을 단순하고도 부정적인 프레임에 가두어 버린다.
트럼프가 조 바이든 대통령을 '슬리피 조(Sleepy Joe)'라고 부른 것이 대표적이다. 늙어서 기력이 떨어진 바이든을 대중은 진작부터 불안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었기 때문에, 이 닉네임은 바이든에게 찰싹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았다.
트럼프는 자신의 사법 리스크가 본격화되면서부터는, 바이든을 '부정부패 조(Crooked Joe)'라고 불렀다. 바이든 스스로 아들 헌터 문제 등 구린 구석이 많으면서 법무부와 검찰, 언론을 동원해 자신을 탄압한다는 주장을 'crooked'라는 한 단어에 담은 것이다. 이 닉네임은 적어도 바이든을 좋아하지 않는-그리고 민주당계 검사들이 트럼프를 무리하게 기소한다고 생각하는 유권자들에게는 제법 잘 먹혔고, 트럼프는 이 단어를 애용했다.
그랬던 트럼프가, 해리스 부통령에게 닉네임을 붙이는 데에 애를 먹고 있다. 이것저것 던져보면서 뭐가 잘 붙나 보는 중인데, 아직까지는 딱 맞는 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 모양새다. 다른 정적에게 예전에 썼던 단어들을 이것저것 마구잡이로 써보는 경향도 나타난다. 트럼프 눈에 들고 싶은 공화당 인사들도 가세했지만, 몇몇 시도는 오히려 역효과만 내고 있다. 여론조사에서 오차 범위 이내로 따라잡힌 게 그 증거다.
어떤 인물의 특징을 잘 잡아낸 별명 또는 수식어가 그 인물에 대한 대중의 인식과 맞는 경우, 해당 수식어는 상당한 힘을 낸다. 대상 인물을 단순하고도 부정적인 프레임에 가두어 버린다.
트럼프가 조 바이든 대통령을 '슬리피 조(Sleepy Joe)'라고 부른 것이 대표적이다. 늙어서 기력이 떨어진 바이든을 대중은 진작부터 불안한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었기 때문에, 이 닉네임은 바이든에게 찰싹 달라붙어 떨어지지 않았다.
트럼프는 자신의 사법 리스크가 본격화되면서부터는, 바이든을 '부정부패 조(Crooked Joe)'라고 불렀다. 바이든 스스로 아들 헌터 문제 등 구린 구석이 많으면서 법무부와 검찰, 언론을 동원해 자신을 탄압한다는 주장을 'crooked'라는 한 단어에 담은 것이다. 이 닉네임은 적어도 바이든을 좋아하지 않는-그리고 민주당계 검사들이 트럼프를 무리하게 기소한다고 생각하는 유권자들에게는 제법 잘 먹혔고, 트럼프는 이 단어를 애용했다.
그랬던 트럼프가, 해리스 부통령에게 닉네임을 붙이는 데에 애를 먹고 있다. 이것저것 던져보면서 뭐가 잘 붙나 보는 중인데, 아직까지는 딱 맞는 한 단어가 떠오르지 않는 모양새다. 다른 정적에게 예전에 썼던 단어들을 이것저것 마구잡이로 써보는 경향도 나타난다. 트럼프 눈에 들고 싶은 공화당 인사들도 가세했지만, 몇몇 시도는 오히려 역효과만 내고 있다. 여론조사에서 오차 범위 이내로 따라잡힌 게 그 증거다.
그렇다면, 트럼프가 해리스에게 뒤집어씌우려고 시도한 닉네임이나 수식어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미리 말하자면, 어질어질할 정도로 많다.)
트럼프는 지난 7월25일 유세에서부터 해리스에 대한 인신공격을 본격화했다. 도가 지나친 표현이나 거짓말도 상당수다. 한 단어짜리 수식어도 있고, 문장 또는 문단으로 된 비난이나 무시, 조롱도 있다. 시행착오를 겪으며 이것저것 시도해 보는 중이라 아직 표현이 정리되지 않아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
1) '웃음이 헤픈(laffin')' 카말라
2) '거짓말쟁이(Lyin')' 카말라
3) '아기 처형을 옹호하는 자'
4) 미치광이(lunatic), 급진 좌파(radical left), '마르크스주의를 믿는 검사'
5) 'IQ가 낮은', '돌대X리(Dumb as a Rock)'
6) 사회적 배려 대상자 특별전형?…'DEI Hire'라는 비난의 의미
한국식으로 비유하자면, 스카이(SKY) 다니는 대학생을 보고 '공부도 못하는 게 '사배자'(사회적 배려 대상자)라서 들어온 것'이라고 악담을 하는 것과 비슷하다.
사회적으로 옳지도 않을 뿐더러 정치적으로도 표를 깎아 먹는 표현이어서, 공화당 하원의장 마이크 존슨은 소속 의원들에게 "그 표현 좀 쓰지 말라"고 입단속을 하기도 했다. 여러 언론이 트럼프에게 "당신을 지지한다는 사람들이 해리스를 DEI hire라고 부르는데, 그런 표현 써도 된다고 생각하느냐"고 물었다. 트럼프는 "안 된다"고 한 적이 없다. 엉뚱한 소리를 둘러대며 즉답을 피할 뿐이었다.
7) 외국 정상들의 '장난감(play toy)'
그들이 해리스를 '밟고 다닐 것'이라고도 했는데, 이는 외국 정상들이 해리스를 '도어 매트(door mat)'로 여길 것이라는 의미다. '도어 매트로 여긴다'는 관용 표현은 '상대를 만만하게 보고 제멋대로 굴다, 이용해 먹다'라는 뜻이다.
그러면서 트럼프는 "왜 그런지 내가 직접 말하고 싶진 않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은 그 이유를 이해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워싱턴포스트는 해리스의 '겉모습(appearance)'을 언급한 것이라고 해석했다.
8) 해리스의 이름 엉터리로 발음하기
▶ 영상 링크 : https://x.com/KamalaHarris/status/735197253153914881
[ https://x.com/KamalaHarris/status/735197253153914881 ]
해리스는 지난 2020 대선에서 트럼프의 상대 러닝메이트였고, 이번 정부 내내 부통령이었다. 지금도 뉴스만 틀면 이름이 나온다. 그런데도 트럼프는 '어떻게 발음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일부러 '커마-ㄹ라' 식으로 틀리게 발음한다. 해리스를 덜 미국적으로 보이게 하고, 존재를 무시하고, 그녀의 이름을 '낯설게' 들리게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해리스는 인도계 혈통이 섞인 '흑인'으로 자신을 규정하고 살아왔다. 흑인 대학으로 유명한 학교를 나왔고, 정치에 투신한 뒤에는 캘리포니아 흑인 정치인들의 네트워크를 통해 성장해 왔다. 이에 대해 수도 없이 자주 밝혔다.
[ https://x.com/KamalaHarris/status/735197253153914881 ]
해리스는 지난 2020 대선에서 트럼프의 상대 러닝메이트였고, 이번 정부 내내 부통령이었다. 지금도 뉴스만 틀면 이름이 나온다. 그런데도 트럼프는 '어떻게 발음해야 할지 모르겠다'며 일부러 '커마-ㄹ라' 식으로 틀리게 발음한다. 해리스를 덜 미국적으로 보이게 하고, 존재를 무시하고, 그녀의 이름을 '낯설게' 들리게 하려는 의도로 보인다.
9) "전엔 인도계라더니 언제부터 흑인이야?"
그런데 트럼프는 지난 7월 31일 흑인언론인대회(NABJ) 집단 인터뷰에서, "(해리스가) 인도인이라는 얘기만 하더니 몇 년 전부터 흑인 행세를 한다"고 주장했다. "누군가 조사해 봐야 한다"고 덧붙이기도 했다. 흑인들 사이를 이간질하려는 의도로 읽힌다.
이에 대한 통렬한 반박은 카린 장-피에르 백악관 대변인에게서 나왔다. 흑인 여성 최초의 백악관 대변인인 장-피에르는 어느 누구도 다른 사람을 함부로 규정해선 안 된다며, 당사자만이 자신의 삶과 경험(흑인으로서 산다는 것)에 대해 말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뉴욕타임스도 트럼프의 이 발언에 대한 심층분석기사를 싣고, 뿌리 깊은 인종주의적 태도라고 비판했다. '당신이 무슨 인종인지는 내가 결정해'라는 백인우월주의적 태도의 발로라는 것이다.
트럼프의 '닉네임 붙이기', 효과 있었나
11월 본선의 승패를 실질적으로 결정할 경합주들의 여론조사 결과는 트럼프에게 위험 신호를 울리고 있다. 블룸버그는 모닝컨설트에 의뢰해 7월 24일-28일 사이 해리스 대 트럼프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를 30일에 발표했는데, 7개 경합주 가운데 6개 주(state)에서 해리스가 약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시간에서는 해리스가 11%포인트나 앞섰고, 애리조나, 위스콘신, 네바다에서는 2%포인트의 우위를 보였다. 트럼프는 펜실베이니아와 노스캐롤라이나에서 2%포인트 앞섰다. 조지아에서는 두 후보가 동률을 기록했다. 바이든이 이 주들 대부분을 트럼프에 내줄 위기였던 것을 생각하면 엄청난 변화다.
트럼프가 해리스에게 비수를 꽂을 '치명적인 한 마디'를 찾아내지 못하고 있다는 건, 해리스가 아직 미국 대중에게 덜 알려진 사람이라는 뜻도 된다. 해리스는 '바이든의 부통령', '캘리포니아 출신 리버럴' 정도로 알려져 있을 뿐, 대통령이 되면 뭘 하겠다는 건지, 구체적인 정책들에 있어 바이든과 뭐가 같고 뭐가 다를지 등등 아직 제대로 그림을 그려 내놓은 바는 없다. 해리스의 개인적인 인생 역정에 대해서도 정치 고관여층이 아니면 여전히 잘 모른다.
트럼프는 왜 인신공격에 목을 맬까
트럼프의 핵심 지지층이 사안에 대한 복잡한 설명보다는 자신들의 화를 풀어주는 간단한 말을 더 좋아하기 때문이라는 설명도 있다. 조지 오웰이 <1984>와 <동물농장>에서 보여준 바와 같이, 복잡한 언어는 생각이 많아지게 하므로, 상대방 진영에 대한 적개심을 고취하는 데에 별 도움이 안 된다.
그런데, 트럼프가 대통령이던 시절 그의 국가안보보좌관이었던 존 볼튼은 다른 층위의 설명을 내놓는다. 트럼프는 철학이 빈곤하고 정책 논쟁을 할 실력도 안 되는 사람이라, 할 줄 아는 게 인신공격밖에 없다는 것이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이현식 D콘텐츠 제작위원 hyunsik@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SBS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올림픽] 금메달에 청혼도…중 배드민턴 선수 '함박웃음'
- [풀영상] "그때마다 우진이 오빠가" 흔들리던 임시현 꽉 붙잡아준 김우진의 말
- [풀영상] 눈물 가득한 얼굴 닦으며 '울먹'…김민종 "하늘을 덜 감동시켰다"
- [풀영상] "한 발짝만 더 갔으면 됐는데" 김원호-정나은, 첫 올림픽 메달에도 가득한 아쉬움
- [뉴스토리] 빌라를 어쩌나?
- [Pick] '진짜 왕실 진상품일까'…170년 전 난파선서 최고급 샴페인 '가득'
- 김정은, 수해 관련 대남 비난…"인명피해 날조, 적은 변할 수 없는 적"
- 엿가락처럼 휘고 녹았다…전기차 1대 불타 480세대 피난
- "무시한다고 생각"…새벽 숭례문 지하보도서 60대 살해
- 46초 만에 기권, 악수도 거부…성별 논란에도 "문제없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