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진하고 싶은데 언제 아기 낳아요”…저출산 원인은 돈보다 ‘이것’ [Books]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은 세계에서 아이를 키우는 데 가장 비용이 많이 드는 국가로 손꼽힌다.
고비용 구조는 출산율을 0.6명대로 뚝 떨어뜨린 주범으로 지목되기도 했다.
경제학은 오랫동안 근대화를 거치며 출산율이 떨어진 것은 비용과 이익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제 발전 시기와 관계 없어
여성의 직업 성취 문화가
아이 출산 욕구 떨어뜨려
경제학은 오랫동안 근대화를 거치며 출산율이 떨어진 것은 비용과 이익 관점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농업에서 공업으로의 산업구조 변화가 가족 노동에 대한 필요는 줄이고 교육비는 늘려 출산율을 끌어내렸다는 분석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은 일리가 있지만 모든 현상을 설명하지는 못했다. 앤슬리 콜이 주도한 ‘프린스턴 유럽 출산율 프로젝트’ 연구에 따르면 지난 두 세기 동안 유럽의 600군데 행정 단위에서 출산율 하락을 조사한 결과, 경제가 발전한 시기와 출산율 감소가 시작된 시기는 거의 일치하지 않았다. 오히려 문화적으로 동일한 지역은 비슷한 시기에 출산율 감소를 같이 겪었다. 벨기에에서 프랑스어를 쓰는 지역, 플라망어를 쓰는 지역이 달랐고 카탈루냐도 나머지 스페인 지역보다 빠르게 인구 감소를 겪었다.
사회적으로 성공한 부유한 부부들이 자녀를 많이 갖지 않는 것은 어떻게 설명할까. 기존의 진화론에서 보자면 자기 유전자를 널리 퍼트리려는 본능이 강하기 때문에 경쟁에서 우위에 설수록 더 많은 자녀를 가져야 옳다. 하지만 문화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자녀를 적게 갖는 만큼 교육에 좀 더 투자하고, 자신의 개발에도 신경을 더 쓰는 문화가 주류적인 위치를 차지한다면 충분히 설명이 가능하다.
특히 현대인들은 돈 그 자체뿐만 아니라 평생 일궈온 직업적 성취를 존경하는 문화가 있다. 전통 사회에서 여성은 아이를 양육하거나 가사를 수행함으로써 자존심과 사회적 지위를 획득했지만 현대 사회에서는 여성도 직업적 성취를 당연하게 여기고 더 선망하는 문화가 생겨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욕구는 당연하게도 아이를 갖고자 하는 욕구를 떨어뜨린다.
결국 오늘날 출산율이 떨어지는 현상도 문화적 진화의 흐름과 같이 연계해서 살펴볼때 문제의 핵심을 제대로 짚을 수 있다는 얘기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아들아 너에겐 금메달의 피가 흐른다”…한국 최초 ‘모자 금메달’ 나오나 - 매일경제
- “11만4000원만 내면 하루 온종일”…‘길거리 애인 서비스’에 中 발칵 - 매일경제
- ‘통한의 0점’ 사격 김예지, 25m 권총 결선 진출 실패 - 매일경제
- “아빤 25만원 상품권에 반대해”···‘필리버스터 신기록’ 與 박수민의 눈물 - 매일경제
- “294만분의 1 ‘동탄로또 행동요령’도 외웠는데”…주인공은 하정우 꿈꾼 직장인? - 매일경제
- 230억 투자해 재건한 日 최초 공중목욕탕…5년 만의 재개장 첫 반응 - 매일경제
- “기량 떨어졌지만 전 세계랭킹 1위”…‘셔틀콕 여왕’ 안세영, 8강 상대 누구길래 - 매일경제
- “불안해 못살겠다”…결국 터진 ‘아파트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참사 막아야 - 매일경제
- “사과문조차 쇼”...양재웅, 딸 잃은 어머니에 사과 대신 신고했나 - 매일경제
- 최경주 시니어 63억 등 미국골프상금 517억 돌파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