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승기] 가볍고, 빠른데 자유롭기까지… 메르세데스-AMG SL 63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메르세데스-벤츠 SL은 1954년 생산된 유서깊은 로드스터(좌석이 2개인 차)다.
이 차를 벤츠 고성능 브랜드 AMG가 강력한 성능으로 독자 개발한 차가 7세대 AMG SL 63 4매틱 플러스다.
SL은 독일어로 '가볍고, 빠르다(Sportlich, Leicht)'라는 뜻으로, 이 차의 성격을 보여준다.
AMG SL 63 4매틱플러스의 가격은 2억6300만원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메르세데스-벤츠 SL은 1954년 생산된 유서깊은 로드스터(좌석이 2개인 차)다. 이 차를 벤츠 고성능 브랜드 AMG가 강력한 성능으로 독자 개발한 차가 7세대 AMG SL 63 4매틱 플러스다. SL은 독일어로 ‘가볍고, 빠르다(Sportlich, Leicht)’라는 뜻으로, 이 차의 성격을 보여준다.
일반 차량보다 긴 휠베이스(앞·뒷바퀴 축간 거리)와 길쭉한 보닛, 지붕을 여닫을 수 있는 로드스터 디자인이 눈에 띈다. 전면부 디자인은 곡선으로 근육질을 표현했다. 날카롭게 바뀐 헤드램프와 라디에이터 그릴이 이 차의 공격성을 대변하는 듯 하다. SL 63의 길이는 4705㎜, 너비는 1915㎜, 높이는 1365㎜다.
낮은 자세의 스포츠카답게 시트 높이 역시 상당히 낮다. 시트 형태는 2+2로, 뒷좌석에는 사람이 타기가 어렵다. 여행용 가방 등 짐을 싣는 용도가 더 적당하다. 제트기 터빈 형태의 송풍구와 12.3인치 운전석 계기판, 11.9인치 중앙 디스플레이가 이전과 다른 부분이다. 스틱형 기어는 스티어링 휠 옆으로 배치됐고, 중앙 디스플레이로를 통해 내비게이션과 공조기를 조작할 수 있다.
지붕은 전동식으로 여닫힌다. 중앙 디스플레이를 통해 조작할 수 있다. 지붕을 열거나 닫을 때는 디스플레이를 계속 누르고 있어야 한다. 조금만 벗어나도 작동이 멈춘다. 지붕은 시속 60㎞ 이하에서도 여닫을 수 있지만, 운전을 하면서는 집중력이 흐트러질 가능성이 있다. 지붕을 열고 달렸을 때 햇빛이 반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 디스플레이의 각도는 32º까지 조절할 수 있다.
시동을 걸자마자 고성능 엔진의 우렁찬 소리가 들려온다. 주행모드는 에코(Eco), 컴포트(Comfort), 스포츠(Sport), 스포츠 플러스(Sport+)를 지원한다. V8 가솔린 엔진(M177)을 탑재해 최고 585마력, 최대 81.5㎞f.m의 힘을 낸다. 정지상태에서 시속 100㎞ 도달 시간은 3.4초다. 이 속도까지 오르는 데 차의 어느 한구석 삐걱대거나 덜컹거리는 게 없다. 방지턱은 부드럽게 넘나들었고, 천 소재인 지붕은 소음을 잘 막아냈다.
차체가 낮은 스포츠카답게 고속에서 도로 바닥에 마치 붙어 가는 것 같은 주행감이 인상적이다. 곡선 주로에서도 방향의 전환이 매끄럽다. 리어 액슬 스티어링 시스템이 안정적인 조향을 지원한다. 노면 상황을 분석해 최적의 주행성능을 낸다. 시내 주행에서는 가속 페달을 조심해서 밟지 않으면 차가 툭 튀어나가 이질감이 느껴진다.
내비게이션은 최대 단점이다. 기본 탑재된 내비게이션은 한국 소비자에 익숙한 티맵 등에 비해 직관성이 떨어진다. 고속도로에서 길 안내가 미흡해 잘못된 길로 빠져나갈 가능성이 있다. 또 선명하지 않은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도 문제다.
AMG SL 63 4매틱플러스의 가격은 2억6300만원이다. 기본형은 2억3800만원에 살 수 있다.
- Copyright ⓒ 조선비즈 & Chosun.com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인터뷰] LA다저스 구단주 “오타니 영입해 직관의 매력 극대화… 그게 스포츠 투자의 묘미
- 해외건설 2조 달러 목표…불모지 개척 나선 건설사들
- 제작비 3600억원 쓴 백설공주… 수입 66% 급감하며 흥행 실패
- [단독] 국내 위스키 1·2·3위 모두 매물로 나와
- K푸드 날개 다니 해외 시장 넘보는 K급식
- 토스 이승건·아자르 안상일...성공신화 쓴 그들, 빚더미 이긴 ‘창업 N수생’이었다
- [당신의 생각은] 아파트 단지 옆에 상가 아닌 데이터센터? “전자파 피해” “보상금 달라”
- 장미향 ‘시트로넬롤’, 고농도 쓰면 신경·행동 장애 유발
- ‘5분 충전 400㎞ 주행’ BYD 배터리… 비용·수명 등에 의문
- “中 SMIC, 위장회사 설립해 대만 반도체 인력 빼돌려…11개사 적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