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조트 넘어 항공사까지 넘보나”…대명소노, 티웨이 지분 27% 확보

조윤희 기자(choyh@mk.co.kr) 2024. 8. 2. 20:5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티웨이항공의 최대주주인 예림당 측과 2대 주주인 대명소노그룹의 지분 차이가 2.9% 수준으로 좁혀지면서 경영권 변경 가능성이 수면 위에 올랐다.

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의 최대주주인 예림당 측과 2대 주주인 대명소노그룹의 지분 차이가 이달 2.9% 수준으로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항공 지분을 총 26.8% 확보해 최대주주인 예림당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율(29.74%)을 바짝 쫓게 됐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티웨이항공 경영권 분쟁 조짐
1·2대 주주 지분 2.9%P 격차
LCC업계 M&A 폭풍전야
[사진 = 티웨이항공]
티웨이항공의 최대주주인 예림당 측과 2대 주주인 대명소노그룹의 지분 차이가 2.9% 수준으로 좁혀지면서 경영권 변경 가능성이 수면 위에 올랐다. 대명소노그룹은 2011년 계열사 대명엔터프라이즈를 통해 티웨이항공 인수를 추진한 이력이 있는데다 최근 해외 호텔을 인수하며 공격적인 확장에 나서고 있다.

2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티웨이항공의 최대주주인 예림당 측과 2대 주주인 대명소노그룹의 지분 차이가 이달 2.9% 수준으로 좁혀진 것으로 나타났다. 티웨이항공의 공시에 따르면 지난 1일 대명소노그룹의 계열사 대명소노시즌과 소노인터내셔널은 사모투자펀드 JKL파트너스가 보유한 티웨이항공 잔여 지분 전량인 11.87%(약 2557만주)을 사들였다.

지난 6월에도 대명소노그룹은 소노인터내셔널을 통해 JKL의 티웨이항공 보통주 3209만주(14.9%)를 확보한 바 있다. 이로써 대명소노그룹은 티웨이항공 지분을 총 26.8% 확보해 최대주주인 예림당 및 특수관계인의 지분율(29.74%)을 바짝 쫓게 됐다.

대한항공의 유럽 4개 노선(파리·바르셀로나·로마·프랑크푸르트)을 이관 받아 이번 기업결합심사의 최대 수혜자로 거론됐던 티웨이항공이 최대주주 변동 가능성에 노출된 것이다.

티웨이항공은 이같이 경영권 위협을 받고 있지만 수 개월째 침묵을 지키고 있다. 지난 2월에도 예림당 측은 JKL이 보유한 전환우선주에 대한 매수 권리(콜옵션)를 포기해 지분 확대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 바 있다.

티웨이항공은 이날 “기존 1대주주 지분율은 변동이 없는 상황”이라며 “향후 진행 사항에 대해서는 결정난 사항이 없다”고 입장을 밝혔다.

일각에서는 예림당이 최대주주 변경 가능성에도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배세호 하이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최근 리포트를 통해 “소노인터내셔널은 궁극적으로 티웨이홀딩스와 예림당의 지분도 인수해 티웨이항공의 지분 56.51%를 확보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예림당 측이 최대주주 변경은 이미 동의가 전제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했다. 이어 경영권 분쟁 가능성에 대해서는 나성훈 티웨이항공 부회장 등 계열사의 현금성 자산이 부족하고, 대명소노그룹에게도 인수를 위해 불필요한 투자 비용이 발생할 수 있어 이는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한다고 분석했다.

대명소노그룹은 지난 2011년에도 계열사 대명엔터프라이즈를 통해 티웨이항공 인수를 추진한 바 있다. 티웨이항공 투자 외에도 올들어 공격적인 확장에 나선 점도 눈길을 끈다. 소노인터내셔널은 지난 4월 한진칼이 보유한 오아후섬 남단 호놀룰루 지역에 있는 와이키키리조트호텔을 1400억원에 인수하는 등 외형 확장 의지를 적극 드러내고 있다. 이에 호텔과 항공의 시너지를 위해 항공업에도 진출을 시도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산하의 LCC 3사(진에어·에어서울·에어부산)의 통합에 긴장하고 있는 또다른 경쟁자인 제주항공도 최근 태세전환에 나섰다. 김이배 대표는 지난달 CEO 메시지를 통해 “항공산업 구조변화와 관련해 다양한 불확실성이 있다”며 “사모펀드가 투자한 항공사들은 언젠간 매각 대상이 될 것이고 향후 M&A 기회가 왔을 때 어떻게 대응할지가 중요하다”고 언급해 공격적인 확장 전략에 나설 것임을 시사했다. 지난 4월 주요 LCC들이 뛰어든 아시아나항공 화물사업부 매각전 본입찰에서 가장 먼저 이탈한 것과는 다른 분위기다. 기존 LCC 1위 자리를 유지했던 제주항공으로서는 업계 재편을 앞두고 변화가 불가피하다는 판단 아래 산업 재편에도 흔들리지 않겠다는 의지를 다진 것으로 해석된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