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꺼진 지방 아파트 1.2만가구인데 착공·인허가 더 늘었다

이화랑 기자 2024. 8. 2. 08: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지방에 80% 이상 쏠려있는 가운데 올해 누적 착공 물량이 지방에만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수요 없는 공급 과잉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437가구로 한 달 새 2.6%(1908가구) 늘었다.

6월 기준 수도권 주택 인·허가는 8998가구로 전월 대비 7.0% 감소한 반면 지방은 1만4888가구로 같은 기간 7.8% 증가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인 없는 아파트 '7만가구'… 공급대책 유지해도 되나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지방에 80% 이상 쏠려있음에도 올해 공급 물량이 지방에 치중된 것으로 나타나 수요 없는 과잉 공급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사진은 서초구 아파트의 모습. /사진=뉴스1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이 지방에 80% 이상 쏠려있는 가운데 올해 누적 착공 물량이 지방에만 7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수요 없는 공급 과잉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31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6월 주택통계에 따르면 전국 미분양 주택은 7만437가구로 한 달 새 2.6%(1908가구) 늘었다. 이는 7개월 연속 증가세다. 지방의 미분양은 5만8986가구로 전월 대비 2.8%(1618가구) 증가했다.

수도권도 인천(-775가구)과 서울(-15가구)은 미분양이 줄었지만 경기는 한 달 만에 1000가구 이상 늘어났다. 지난달 말 기준 경기 미분양은 9956가구로 2017년 6월(1만1229가구) 이후 7년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경기 미분양은 대구(9738가구)를 제치고 전국에서 가장 많았으며 주로 평택·안성에서 발생했다.

악성 미분양으로 분류되는 준공 후 미분양은 1만4856가구로 전월 대비 12.3%(1626가구) 늘었다. 이 중 지방 물량이 1만1965가구로 전체의 80.5%를 차지한다.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은 지난해 8월 이후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2020년 10월(1만6084가구) 이후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준공 후 미분양 주택은 11개월 연속 증가세다. 악성 미분양이 많이 쌓인 곳은 ▲경남(1771가구) ▲경기(1767가구) ▲대구(1635가구) ▲전남(1627가구) 등이다.

지방을 중심으로 한 미분양 증가세는 비수도권 주택시장이 침체돼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일 발표된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19주 연속 상승했지만 지방은 여전히 반대되는 분위기다.

문제는 수요가 많은 수도권보다 지방에 공급이 치중돼 있어 이 같은 공급 불균형을 더욱 심화시키고 있다.

6월 기준 수도권 주택 인·허가는 8998가구로 전월 대비 7.0% 감소한 반면 지방은 1만4888가구로 같은 기간 7.8% 증가했다. 반기 기준 수도권은 6만261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24.8%, 지방은 8만9599가구로 같은 기간 27.0% 감소했다.

준공 물량도 수도권은 반기 기준 9만2554가구로 전년 동기 대비 18.2% 감소했고 지방은 12만7006가구로 같은 기간 36.0% 증가했다. 착공 물량은 수도권 8098가구로 전월 대비 19.8% 감소했고 지방은 1만2614가구로 같은 기간 74.1% 증가했다.


"지방 공급과잉 시장 침체 악화시켜"


전문가들은 부동산 불황에 공급이 지속될 경우 시장 침체가 장기화될 가능성을 우려한다.

김효선 NH농협은행 WM사업부 ALL 100 자문센터 부동산 수석위원은 "지방의 경상권 위주로 공급이 많이 이뤄졌다"며 "수도권 대비 공급과잉 상태이고 수요는 더 적어 침체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 수석위원은 "호남권은 수요 대비 공급이 많지 않아 버티는 편"이라며 "수도권은 전셋값 안정을 위해 공공임대 확대 정책이 필요하다. 정부가 발표한 연내 5만5000가구 공급은 민간 관점에서 볼 때 현실성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국토교통부 산하 주택통계기관인 한국부동산원도 이 같은 문제 인식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준공 시점이 되면 기존 미분양 물량과 겹쳐 공급 물량이 늘어난다"며 "지금 바로 공급과잉 여부를 확신하기는 쉽지 않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미분양이 심한 대구의 경우는 한동안 인·허가를 안 받아 공급을 조절했다"고 덧붙였다.

이화랑 기자 hrlee@mt.co.kr

Copyright © 머니S & money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