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미래] 아이의 질문하는 힘을 기르려면
학생이 이해할 때까지 설명하고
활발하게 질문 오가고 토론 수업
진도보다는 학습자 능력 고려를
카이스트 이광형 총장은 디지털 대전환 시대는 ‘질문이 재능이 되는 시대’라고 얘기한다. 그래서 그는 아이에게 진짜로 필요한 역량은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만들어 나가는 힘’이라고 주장했다. 질문하는 힘은 인간이 살아오는 동안 늘 중요했다. 인간은 세상에 대해 질문함으로써 학습력과 사고력, 창의력을 키워 왔고 삶에 필요한 것을 발견하고 발명해 왔기 때문이다.
우선, 교사는 가르치는 내용에 대한 아이들의 설명을 요구할 권리를 인정해야 한다. 교사는 아이들에게 배우는 내용에 대해 이유를 제시하고 충분히 이해할 때까지 설명을 계속해 주어야 한다. 이는 지난 4월 필자가 이 난(欄)에서 말했던 학습자 존중의 한 방식이다. 아이들은 그러한 권리를 인정받을 때 오답에 대한 두려움을 버리고 다소 엉뚱할지라도 자유롭게 질문하고 생각한 의견을 말하면서 질문하는 힘을 키우게 된다.
둘째, 교사는 아이가 자기 나름대로 질문하고 학습할 수 있는 수업풍토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아이들의 질문은 교사가 가르치는 내용에 대한 그들 나름의 탐색 활동이기도 하다. 아이들은 질문하면서 훨씬 잘 배운다. 하지만 아이들은 교사가 ‘모르는 것 있으면 물어봐’라고 얘기한다고 해서 곧바로 질문을 하지 않는다. 분위기를 파악하여 교사의 말이 진정성이 있다고 여길 때라야 비로소 질문을 한다. 아이들의 질문하는 힘을 기르려면 수업 시간 동안 아이들과 교사 사이에 활발하게 질문이 오가는 분위기가 만들어져야 한다.
셋째, 교사는 아이들이 스스로 질문하고 답을 찾으며 생각을 키울 수 있도록 토론과 탐구 위주로 수업해야 한다. 아직도 학교급에 따라 정답 암기 위주의 수업이 부분적으로 남아 있다고 한다. 이러한 수업은 최대한 빠르게 특정 지식을 습득하게 함으로써 정형화된 문제에 답하는 데에는 유용할 수도 있다. 그렇기에 아이들은 주어진 정답만을 확인하려 하고, 다르게 생각해 보거나 질문하지 않는다. 이제 이런 수업에서는 완전히 벗어나야 한다. 아이들이 학습한 지식을 토대로 토론하고 탐구하며 새로운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사는 진도 나가기보다는 학습자 맞춤형으로 수업해야 한다. 예정된 진도 나가기에 급급한 수업에서는 개별 아이의 특성과 능력, 이해도에 대한 고려는 뒷전에 놓인다. 그리고 아이의 질문은 진도를 나가는 데 방해가 된다고 억제된다. 맞춤형 수업에서는 아이들의 개별적 관심과 흥미, 필요, 학습 준비도와 이해 속도를 고려한다. 맞춤형 수업은 아이들에게 배운 내용에 대하여 자신의 관점에서 질문하고 스스로 답을 만들어 나가는 기회를 훨씬 많이 제공한다.
앞으로 아이들이 인공지능에 지배당하지 않고 세상을 행복하게 살아가게 하려면 질문하는 힘을 길러 주어야 한다. 교사는 이제부터 아이들이 수업 진도를 방해한다는 두려움 없이 이해할 때까지 설명을 요구하고, 자유롭게 질문하는 허용적 분위기를 조성해야 한다. 그리고 스스로 답을 찾고, 새로운 생각을 할 수 있도록 토론하고 탐구하는 수업을 해야 한다.
김성열 경남대 명예석좌교수·국가평생교육진흥원 이사장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국처럼 결혼·출산 NO”…트럼프 당선 이후 미국서 주목받는 ‘4B 운동’
- “그만하십시오, 딸과 3살 차이밖에 안납니다”…공군서 또 성폭력 의혹
- “효림아, 집 줄테니까 힘들면 이혼해”…김수미 며느리 사랑 ‘먹먹’
- “내 성별은 이제 여자” 女 탈의실도 맘대로 이용… 괜찮을까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 [단독] “초등생들도 이용하는 女탈의실, 성인男들 버젓이”… 난리난 용산초 수영장
- ‘女스태프 성폭행’ 강지환, 항소심 판결 뒤집혔다…“前소속사에 35억 지급하라”
- “송지은이 간병인이냐”…박위 동생 “형수가 ○○해줬다” 축사에 갑론을박
- “홍기야, 제발 가만 있어”…성매매 의혹 최민환 옹호에 팬들 ‘원성’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