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의 창] 여자에게 좋은 직업이라는 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아치과의사는 여자에게 좋은 직업이야." 수련 기간 선배들에게 많이 듣던 말이다.
왜 직업에 남녀가 다르지? 당시 나는 의아했지만, 출산을 하고 육아를 하며 알 수 있었다.
반면 1983년생 남성의 경우 93%가 결혼이나 출산과 관계없이 직업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에게 좋은 직업'이라는 말이 계속 통용되는 사회에서 출산율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까.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쪽만 일한다는 마음에
집과 직장서 죄책감 느껴
출산·육아 겪는 30대 여성
경력단절 문제 해결 못하면
출산보다 커리어 택할 것
"소아치과의사는 여자에게 좋은 직업이야." 수련 기간 선배들에게 많이 듣던 말이다. 왜 직업에 남녀가 다르지? 당시 나는 의아했지만, 출산을 하고 육아를 하며 알 수 있었다. 여자는 일을 하면서도 육아를 놓을 수 없기에 파트타임으로 일할 수 있는 직업이 좋은 직업이라는 뜻이었다.
나 역시 파트타임으로 일하기 위해 임신 말기에 선배 병원으로 자리를 옮겼다. 출산휴가 후 일주일의 반인 3.5일을 일했고, 3.5일은 아이를 돌보았다.
그리고 그 시기의 나는 직업인으로서도 엄마로서도 죄책감에 시달렸다. 병원에서는 풀타임으로 일하는 후배들에 비해 환자 수가 잘 늘지 않았으며, 내 환자가 응급 상황으로 예약이 아닌 날 찾아올 때 다른 선생님들의 신세를 질 수밖에 없었다.
이런 일들이 반복되자 의사로서 일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다는 죄책감이 나를 억눌렀다. 일을 나가지 않는 날은 백일도 안 된 아이를 타인에게 맡겼다는 엄마로서의 죄책감에 무리해서 아이를 돌보았다. 반쪽만 일하기 때문에 육아와 살림은 내 몫인 것이 당연해 보였다. 반쪽만 일하기 때문에 2배로 일해야만 뒤처지지 않을 것 같았다.
심리학자인 제니퍼 스튜어트는 예일대 졸업생 그룹을 연구하고 나서 이렇게 말했다. "사회적 경력과 어머니 역할을 병행하려고 노력하는 여성이 걱정스럽다. 그들은 집에서도 직장에서도 완벽을 추구하므로 그만큼 낙담할 위험성이 크기 때문이다. 높은 이상에 도달하지 못하면 직장에서 집으로, 아니면 집에서 직장으로 도피할 가능성이 크다."
직장에서도, 집에서도 죄책감을 달고 있던 나는 낙담한 나머지 결국 커리어를 중단하는 결정을 내렸었다. 2023년 통계에 따르면 1983년생 기혼 여성 가운데 출산을 기점으로 직업을 잃은 여성은 전체의 25.2%로 4명 중 1명이 출산에 따른 경력단절을 겪었다. 반면 1983년생 남성의 경우 93%가 결혼이나 출산과 관계없이 직업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차일드 페널티(child penalty·경제학에서 출산에 따른 여성의 고용상 불이익을 뜻하는 용어)' 증가가 최근 7년간 출산율 하락 원인의 40%가량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지금 나는 예전보다 훨씬 많은 시간을 일한다. 풀타임으로 일하고, 진료는 오전·오후 여덟 타임을 하며, 레지던트 교육에, 책과 칼럼도 쓴다. 강의도 하고 각종 회의에도 참여한다. 그런데 파트타임으로 일하는 시절보다 훨씬 편안하다. 물론 아이가 좀 컸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스스로도, 타인도, 나를 '파트타임'으로 인지하지 않기 때문이다. 파트타임으로 일하던 시절, 나는 풀타임 투 잡을 가지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여자에게 좋은 직업'이란 일도 하면서 아이도 키워야 하는 직업이다. 이는 엄밀히 말하면 여성에게 두 가지 일을 강요하는 것이다. 하물며, '여자에게 좋은 직업'이 아닌 일을 하는 엄마의 노고는 말해 무엇하겠는가.
정재계 분야에서 여성 인재를 구하지 못해 아우성이다. 여성의 연령대별 고용률을 보면 30대만 뚝 떨어져 경력단절이 되는 'M자형 그래프'가 굳건하다. 커리어가 한창인 30대에 출산과 육아로 허리가 끊겨 버리니 여성 인재가 부족할 수밖에 없다.
'여자에게 좋은 직업'이라는 말이 계속 통용되는 사회에서 출산율의 회복을 기대할 수 있을까. 이런 모습이라면 일하는 여성은 당연히 출산보다 커리어의 연장을 선택하지 않을까.
[박소연 서울아산병원 교수]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올림픽 아니라 영화 보는 줄”…전세계가 ‘김예지 앓이’ 머스크도 홀딱 - 매일경제
- [속보] “美, 삼성·SK·마이크론 對中 HBM공급 제한 검토” - 매일경제
- “동메달은 가방에 넣고 잊었다”...신유빈 2승땐 또 메달, 8강 日선수 매섭다는데 - 매일경제
- [속보] “이란 최고지도자, 이스라엘에 대한 직접 보복 공격 명령” - 매일경제
- “어떡하지 도망갈 데도 없는데”…신혼집 ‘깜짝 공개’한 조민 - 매일경제
- 마포 아파트·새 자동차 받았는데…‘종노릇’ 못하겠다는 며느리, 갑론을박 - 매일경제
- “한국서 일어날 슬픈일 막았다”…70억 지원금 쏜 회장님, 이번엔 폐간위기 문학사상 인수 - 매
- “이제 신분증 갖고 다닐 필요 없겠네”…‘이 앱’ 보여주면 끝이라는데 - 매일경제
- ‘올림픽 2관왕’에도 스스로 채찍질한 오상욱 “더 성장하겠다” - 매일경제
- ‘조커’ 도경동 카드 통했다! ‘뉴 어펜져스’ 대한민국, 헝가리 꺾고 男 사브르 단체전 3연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