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입주물량 3만8천호로 충분하다는 정부…실상은 임대 빼면 2만5천호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 원인으로 공급 부족이 지목되자 정부가 입주 물량 통계를 근거로 들며 "충분하다"고 반박했지만 시장에선 정부 통계가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 중 하나가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이 약 3만8000호로 충분하다는 것이었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입주물량 3만7897호에는 청년안심주택 8765호, 공공임대주택 2539호, 재건축·재개발 공공기여 임대주택 1772호 등이 들어있다.
이같은 임대를 제외하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은 2만4821호로 감소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집값 더 뛸 거라는 전망에
정부 “3만8000호로 충분”
임대 빼면 2만5천 가구뿐
시장 “실수요 물량과 괴리”
서울 아파트값 상승 원인으로 공급 부족이 지목되자 정부가 입주 물량 통계를 근거로 들며 “충분하다”고 반박했지만 시장에선 정부 통계가 현실과 괴리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31일 부동산 업계 등에 따르면 현재 정부 통계엔 실수요자들이 통상적으로 생각하는 시장과 동떨어진 물량이 포함돼 과다집계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는 최근 서울 강남 등 일부 지역의 집값 상승폭이 급격히 커지자 지난 18일 10개월만에 부동산관계장관회의를 소집하고 집값 안정을 위한 메시지를 내놓았다. 그 중 하나가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이 약 3만8000호로 충분하다는 것이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가 예상하는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3만7897호다. 올해 2월 기준 집계다.
과다 집계라고 지적되는 이유는 여기에 공공임대 그리고 원룸 내지 투룸 규모가 대부분인 소형주택이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서울시에 따르면 올해 아파트 입주물량 3만7897호에는 청년안심주택 8765호, 공공임대주택 2539호, 재건축·재개발 공공기여 임대주택 1772호 등이 들어있다.
임대주택인 청년안심주택의 경우 전용면적이 23~60㎡로 제한돼있다. 청년안심주택 외 임대주택엔 넓은 면적의 일반 아파트가 포함돼 있지만 이들 물량은 자산, 소득 등의 기준에 따라 제한을 두고 다시 임대로 공급된다.
또한 임대 이외에도 소형 분양주택인 원룸형 도시형생활주택도 아파트 입주물량에 포함된 상태다. 정부가 대중의 인식과 동떨어진 소형주택도 아파트로 집계하는 이유는 현행법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법적으로 공동주택 중에서 주거용으로 사용하는 층이 5개층 이상이면 모두 아파트로 분류한다. 세대별 면적이 크든 작든 무관하다.
이같은 임대를 제외하면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예정 물량은 2만4821호로 감소한다. 내년 입주예정 물량도 정부는 4만8329호라고 제시했지만 임대를 제외하면 3만2306호로 줄어든다.
여기에 매년 철거되는 멸실주택수를 감안하면 순수하게 증가하는 물량은 더 적다. 멸실주택 통계는 2022년이 가장 최신통계다. 2022년을 포함해 5년간 연평균 서울 아파트 입주물량은 4만5499호(소형주택 포함 수치)다. 같은 기간 연평균 멸실 아파트 물량은 7563호다. 이를 감안하면 매년 순증 아파트는 3만7936호다.
서울 아파트 물량이 늘어나고 있는 건 맞지만 전문가들은 보다 획기적인 수준의 공급이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서울의 주택보급률은 2022년 기준 93.7%다. 주택보급률은 전체 주택수를 가구수로 나눠 100을 곱한 수치로 가구수 대비 주택수를 나타낸다. 2019년(96%) 이후 3년 연속 하락 중이다. 물론 여기엔 아파트 뿐만 아니라 모든 주택이 포함된다. 주택수는 늘어나고 있지만 그 속도가 가구수가 늘어나는 속도보다는 느리다는 것이다.
김덕례 주택산업연구원 주택연구실장은 “구체적으로 ‘얼마 정도는 돼야한다’는 수치가 실증적으로 연구되진 않았지만 적어도 주택보급률이 100%는 넘어야 말 그대로 집이 부족하지 않다고 이야기할 수 있지 않겠냐”며 “주택보급률이 100%보다 높아질수록 집값의 출렁임이 적어지는 경향이 있다”고 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마포 아파트·새 자동차 받았는데…‘종노릇’ 못하겠다는 며느리, 갑론을박 - 매일경제
- 장마철 ‘무료나눔’ 우산 몽땅 가져간 여성…“우산꽂이까지 가져갔다” - 매일경제
- “옆집 엄마도 샀다더니, 코인보다 더 아찔”...고점 찍은뒤 20일만에 23% 뚝 - 매일경제
- 1만4천km 날아왔는데 5초만에 탈락…파리 올림픽, 이 선수 ‘화제’ - 매일경제
- 월급 200만원 송금하더니 180만원 내놔…알바생 등쳐 2억원 가로챈 학원장 - 매일경제
- 유도 한주엽, 경기 종료 2초 앞두고 짜릿한 업어치기…8강 진출 - 매일경제
- “MZ세대 전공의 정말 무섭다”…전공의 7645명 뽑는데, 마감일 되도 지원자 거의 없어 - 매일경제
- “발등 찍혔다”…지하철역 여직원 휴게실 ‘몰카’에 발칵, 범인 잡고보니 - 매일경제
- “어떡하지 도망갈 데도 없는데”…신혼집 ‘깜짝 공개’한 조민 - 매일경제
- ‘뜨거운 눈물’ 무서운 대학생 이준환, 세계랭킹 1위 벨기에 선수 꺾고 동메달 가져왔다…허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