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리 없는 산림자원전쟁 시대… 글로벌 산림 융복합기술 주도”

서미애 2024. 8. 1. 05: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소리 없는 산림자원전쟁 시대에 '숲을 지켜온 100년, 미래를 키워낼 100년'입니다. 전남의 미래를 숲과 함께 글로벌 산림융복합기술을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02년 역사를 가진 전남산림자원연구소가 7월부터 전남산림연구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새롭게 출발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02년 역사, 이름 바꾸고 새출발… 전남산림연구원 오득실 원장
오득실 전남산림연구원 원장

“소리 없는 산림자원전쟁 시대에 ‘숲을 지켜온 100년, 미래를 키워낼 100년’입니다. 전남의 미래를 숲과 함께 글로벌 산림융복합기술을 실현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102년 역사를 가진 전남산림자원연구소가 7월부터 전남산림연구원으로 이름을 바꾸고 새롭게 출발했다. 서울신문은 31일 오득실 전남산림연구원 원장을 만나 비전과 산림연구의 메카로 자리매김하겠다는 각오를 들었다.

―전남산림연구원으로 새 출발 소감은.

“나주에 있는 전남산림연구원은 지난 102년 역사의 발자취를 기록으로 남겼다. 특히 대한민국 100대 명품 숲으로 지정돼 연간 30만명이 찾는 숲 명소로 도민 휴식처 역할도 톡톡히 한다. 산림자원의 가치를 발굴하고 산업화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산림바이오 혁신성장 거점단지가 올해 안에 준공된다. 또 호남권역 산림바이오 가공지원단지는 장흥바이오식품산업단지에 200억원을 들여 조성하고 목재 친화 공간을 조성하기 위해 130억원을 투입해 목재누리센터를 연구원에 건립, 다양한 산림서비스를 제공하겠다.”

―‘버섯 박사’로 이름났다. 가장 기억에 남는 일이 있다면.

“꽃송이버섯을 연구한 성과다. 녹지직 9급 공무원으로 출발, 연구사로 전직해 대학원 논문을 준비하면서 버섯저널을 통해 꽃송이버섯을 접했다. 일본 수입에만 의존하던 꽃송이버섯을 3년 연구 끝에 인공재배로 대량생산에 성공했다. 최근 국내 최초로 ‘트러플’ 인공재배연구를 시작해 국내 자생종을 통한 인공감염묘 생산에 성공했다. 2022년에는 버섯생산자협회가 정하는 ‘올해의 버섯인상’을 받는 영광을 차지했다. 저의 연구인생에서 잊지 못할 보람된 성과다.”

―전남산림연구원 비전은.

“연구원은 2012년부터 ‘산림생명자원 관리기관’으로 지정돼 지역의 산림자원에 관해 체계적인 보존·관리 연구를 하고 있다. 연구원은 기후변화와 ‘산림르네상스’, ‘디지털 대전환’의 시대적 흐름에 맞춰 산림경영 선순환 연구로 임업인 모두가 잘사는 ‘돈이 되는 임업연구’에 주력하려고 한다. 최첨단 장비와 기술을 활용해 새로운 미래 임업의 가치를 실현하는 데 앞장서겠다.”

글·사진 나주 서미애 기자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