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 ‘2차 봉기’ 참여자도 서훈 받을까…22대 국회서 개정안 발의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동학 농민군을 독립유공자로 인정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2차 봉기 참가자의 독립유공자 서훈 신청은 1977년 손화중·김덕명을 시작으로, 1995년 윤치문·정명제, 2006년 전봉준·최시형·손화중, 2020년 최시형·전봉준, 2021년 최시형·전봉준 등 다섯차례 있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독립유공자 인정 놓고 50년 논쟁
동학 농민군을 독립유공자로 인정하기 위한 법안이 발의됐다. 유공자 인정을 둘러싼 50년 논쟁이 마무리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전북 정읍·고창이 지역구인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항일독립운동의 시작 시점을 1894년 7월23일(음력 6월21일) 일본군 경복궁 점령 사건으로 명확히 하는 ‘독립유공자 예우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29일 발의했다”고 31일 밝혔다. 이렇게 되면 일본군의 경복궁 점령이 촉발한 농민군의 2차 봉기도 독립운동으로 인정받을 길이 열린다.
현행 독립유공자 예우법 4조에서는 독립운동의 기간을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부터 광복 전날인 1945년 8월14일로 규정하고 있다. 윤 의원이 발의한 개정안은 2조 1항(정의)을 추가해 ‘일제의 국권침탈 전후’를 1894년 일본군 경복궁 점령 사건, 1895년 을미사변, 1905년 을사조약, 1910년 한일합병조약 등 일본 제국주의로부터 국권이 현저하게 침해받았거나 국권이 침탈된 시기로 명확히 했다. 지금까지는 1962년 제정한 독립유공자 서훈 내규에 따라 항일독립운동의 기점을 1895년 10월8일(음력 8월20일) 명성황후 시해사건(을미사변) 직후의 을미의병으로 정해왔다. 이번 개정안이 통과되면 독립운동기간이 1년 이상 앞당겨져 경복궁 점령사건을 계기로 일어난 갑오의병과 2차 동학혁명 참가자들이 서훈 대상에 포함된다.
2차 봉기 참가자의 독립유공자 서훈 신청은 1977년 손화중·김덕명을 시작으로, 1995년 윤치문·정명제, 2006년 전봉준·최시형·손화중, 2020년 최시형·전봉준, 2021년 최시형·전봉준 등 다섯차례 있었다. 하지만 심의에서 1895년은 식민상태가 아니어서 독립운동으로 보기 어렵고 반봉건 투쟁 성격이 짙다는 의견이 주를 이뤄 모두 보류됐다. 21대 국회에서는 이정문, 윤준병 의원을 중심으로 동학 참여자 서훈을 위한 법 개정이 처음 시도됐지만 장기간 계류하다 임기 만료로 폐기됐다.
김용희 기자 kimyh@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이진숙, 취임 날 공영방송 이사 물갈이…“MBC 장악 쿠데타”
- 남자 펜싱 사브르, 종주국 프랑스 꺾고 결승…3연패 도전
- 이란의 심장서 하마스 지도자 피살…이스라엘에 ‘피의 보복’ 통첩
- [단독] 박정훈 해임 문건…‘장관’에 3줄 찍찍 긋고 ‘사령관’ 써넣어
- 급식실 기온 50도…“정수기 없어, 수돗물 끓여 식으면 마셔요”
- 사격 김예지, 2500만뷰 세계가 열광한 ‘국가대표 카리스마’
- 윤 만나고 하루 지나 또 갈등…한, ‘친윤’ 정책위의장에 사퇴 압박
- [단독] 이진숙, 제주 오간 날 ‘법카’ 8번 출장기록도 없이 썼다
- 탁구 장우진, ‘한일전’ 4-0으로 이기고 단식 8강 진출
- 법인세 펑크 나더니…국세, 작년보다 10조 덜 걷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