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울린 `몸무게 10㎏` 가자지구 6세 소년, 미소 되찾아
'구사일생' 가자 탈출 후 미국서 치료…3개월만에 건강한 모습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서 유전 질환을 앓으면서도 치료와 영양 공급을 받지 못해 깡마른 몸매로 인도주의적 위기의 심각성을 드러냈던 6세 소년이 국제 사회의 관심과 도움으로 건강을 되찾아 '희망의 상징'이 되고 있다.
30일(현지시간)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 보도에 따르면 가자지구 북부 가자시티 출신의 파디 알잔트(6)는 지난 3월 가자 북부의 카말 아드완 병원 병원에서 생사의 기로에 서 있었다.
낭포성섬유증이란 유전 질환을 지니고 태어난 파디는 지난해 10월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전쟁이 발발하기 전까진 병원 치료를 받으며, 평온한 일상을 지냈다.
그러나 전쟁이 터진 뒤, 파디의 가족은 날아드는 포탄을 피하려 집을 떠난 수많은 피란민 행렬에 몸을 실었다.
구호의 손길이 끊긴 상태에서 가자지구 전체를 덮친 식량난에 또래 소년보다 더 많은 영양 섭취가 필요한 파디의 몸은 급격하게 말라갔다. 전쟁 이전에 18㎏를 조금 넘겼던 그의 몸무게는 5개월 만에 절반 수준인 10㎏으로 떨어졌다.
파디의 상태가 나빠지자 지난 3월 엄마 샤이마(31)는 아들을 품에 안고서 다른 주민의 당나귀 수레를 빌려 타고 근처에 유일하게 운영하고 있던 카말 아드완 병원을 찾았다.
그러나 병원에는 필요한 의료품과 물자가 바닥난 채 거의 운영되지 못하는 상태였고, 파디의 상태는 날로 악화했다.
그 당시 가자에서 활동하던 기자 오사마 아보 라비와 호삼 샤바트가 현지 의료 위기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이 병원을 찾았다. 이들은 뼈만 앙상하게 남은 몸으로 사투를 벌이고 있는 파디의 모습을 촬영해 자신들의 소셜미디어(SNS)에 공개했다.
사진과 영상에 담긴 파디의 안타까운 모습은 그 즉시 전 세계로 퍼져나갔고, 그를 돕고 싶다는 사람들도 나타나기 시작했다. 그중에는 미국에 기반을 둔 국제구호단체 팔레스타인 아동구호기금(PCRF)의 해외 치료 프로그램 담당자 타레크 하일랏이 있었다.
파디의 영상을 본 하일랏은 세계보건기구(WHO) 측에 파디의 상황을 알렸고, PCRF와 WHO의 구호 직원들이 이스라엘군의 공세가 빗발치는 가자지구 북부에서 파디를 구출해내기 위한 작업에 돌입했다.
PCRF 직원들은 이스라엘 정부와 소통 끝에 WHO의 구급차를 타고 가자지구 북부로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얻어냈다. 처음에 구조 대원들은 파디와 그의 엄마만 구급차에 태울 수 있다고 했지만, 현장에서 오랜 실랑이 끝에 그의 쌍둥이 형제와 여동생도 함께 차를 타고 가자지구 밖으로 나올 수 있게 됐다.
파디의 아빠와 조부모는 함께 가지 못했다. 심각한 위기 상태에서 파디는 가자 남부 도시 라파에서 하룻밤을 보낸 뒤 3월 24일 이집트의 한 병원으로 옮겨졌다.
이집트에서 치료를 받으며 몸무게와 폐 기능 등을 일부 회복한 파디는 PCRF의 도움으로 5월 5일, 엄마와 함께 유효기간이 6개월인 임시 비자를 발급받아 미국에 도착했다.
파디는 곧장 뉴욕 맨해튼의 병원으로 옮겨졌다. 파디를 담당한 낭포성섬유증 전문의 존 K.드셀리-게르마나는 "당시 파디가 뼈 위에 피부가 붙어있는 상태였다"면서 "영양실조 증상으로 배가 심각하게 부풀어 있었고 눈에 초점을 맞추지도 못하는 상황이었다"고 WP에 말했다.
수개월간 집중 치료 끝에 건강을 되찾은 파디는 약 3개월 만인 지난 5월 31일 퇴원해 처음으로 병원 문밖에 나섰다.
현재 병원 근처 집에서 엄마와 지내고 있는 파디는 뉴욕 센트럴파크에서 PCRF가 열어준 피크닉에 참석해 풍선을 부는 등 건강해진 모습으로 다시 화제가 되고 있다.
파디를 치료한 의사 드셀리-게르마나에 따르면 앞으로 파디가 미국에서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약값은 1년에 30만달러(한화 약 4억원)에 달한다.
만약 그가 미국이 아닌 이집트에서 지낸다면 최소한의 치료는 받을 수 있지만, 고향인 가자지구에서는 파디가 필요한 치료를 받으며 지낼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WP는 전했다.
WHO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이후 가자지구에서 파디처럼 해외에서 치료가 필요해 대피 요청을 한 이는 1만3500명이 넘는다. 이 중에서 실제로 대피한 이는 4900여명에 그친다. 박양수기자 yspark@dt.co.kr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30대 며느리 폭탄선언…“아파트·차 사준 시댁에 무조건 ‘복종’해야 되나”
- "성관계 방지용?" 조롱받던 올림픽 침대 또 등장하자…선수들, `의외의 반응`
- "강제노동" 표현 쏙 빼놓고…일본 "사도광산, 세계적으로 인정받아 매우 기뻐"
- ‘연봉 8000’ 31세 女 한숨 “돈 없어 결혼 미루는 게”…부동산 커뮤니티 ‘술렁’
- 올림픽 개막식 공연 중 성기 노출 사고?…논란 부른 장면 보니
- 韓 "여야의정 제안 뒤집고 가상자산 뜬금 과세… 민주당 관성적 반대냐"
- 내년 세계성장률 3.2→3.0%… `트럼피즘` 美 0.4%p 상승
- `범현대 3세` 정기선 수석부회장, HD현대 방향성 주도한다
- 내년 6월부터 안전진단 없이 재건축… "기간 3년 단축"
- [트럼프 2기 시동]트럼프 파격 인사… 뉴스앵커 국방장관, 머스크 정부효율위 수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