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후방지원한 곽낙원·임수명·이은숙·허은…8월의 독립운동가

허고운 기자 2024. 7. 31. 09:0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가보훈부는 여성 독립운동가 곽낙원·임수명·이은숙·허은 선생을 '2024년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보훈부는 "곽낙원은 김구의 어머니로, 임수명은 신팔균의 부인으로, 이은숙은 이회영의 부인으로, 허은은 허위의 재종손녀로 불리고 기억돼왔지만, 이들 역시 항일투쟁의 역사에 분명한 발자국을 남긴 독립운동가였다"라고 설명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여성 독립운동가들…'어머니·부인' 넘어 독립운동에 커다란 발자취
곽낙원(가운데 아래)과 김구(가운데 뒤쪽).(국가보훈부 제공)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국가보훈부는 여성 독립운동가 곽낙원·임수명·이은숙·허은 선생을 '2024년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보훈부는 "곽낙원은 김구의 어머니로, 임수명은 신팔균의 부인으로, 이은숙은 이회영의 부인으로, 허은은 허위의 재종손녀로 불리고 기억돼왔지만, 이들 역시 항일투쟁의 역사에 분명한 발자국을 남긴 독립운동가였다"라고 설명했다.

1859년 황해도 재령에서 태어난 곽낙원은 17세에 아들 김구를 낳았다. 아들 옥바라지를 히던 곽낙원은 며느리가 사망하자 어린 두 손자를 도맡아 키웠고, 돈이 생기면 임시정부를 지원했다.

독립운동가 정정화는 "그분이 우리 가운데 말없이 앉아 계신 것만 해도 우리에게는 큰 힘이 됐고, 정신적으로도 우리의 큰 기둥이 되기에 충분했다"라고 회고했다.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임수명 선생.(국가보훈부 제공)

1894년 충북 진천에서 태어난 임수명은 간호사로 근무하던 중 신팔균을 만나 결혼했다.

임수명은 남편을 위해 베이징과 만주를 오가며 서신과 비밀문서를 전달하는 등 독립운동을 지원했다. 1924년 국내로 돌아온 그는 남편의 전사 소식을 들은 뒤 순국했다.

1889년 충남 공주 출생인 이은숙은 이회영과 결혼하고 만주로 이주해 신흥무관학교 설립 등 독립운동기지 개척에 일조했다.

생활비 마련을 위해 국내로 돌아온 후에는 고무공장에서 일했고, 저녁에는 삯바느질로 돈을 모아 독립운동 자금을 지원했다. 광복 후에는 독립운동기지 개척 과정을 담은 책 '서간도 시종기'를 펴냈다.

8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된 허은 선생.(국가보훈부 제공)

1909년 경북 안동에서 태어난 허은은 의병장으로 활약하다 순국한 허위의 재종손녀로 허위가 순국하자 만주로 이주했다.

허은은 이상룡의 손자 이병화와 혼인했고, 서로군정서 대원들의 의식 문제를 해결하는 데 역할을 했다. 그는 귀국 후 만주 이주와 독립운동 지원 과정을 '아직도 내 귀엔 서간도 바람 소리가'라는 회고록에 담아냈다.

정부는 이들의 공훈을 기리기 위해 곽낙원·임수명에게는 애국장을, 이은숙·허은에게는 애족장을 각각 추서했다.

보훈부는 "조국 광복을 위한 험난한 여정을 당연한 길로 여기고 묵묵히 후방을 지원하고 역할을 감당했던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고귀한 삶은 독립운동 분야에 커다란 발자취를 남겼다"라고 평가했다.

hg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