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층 10명중 7명 “73세까지 일하고 싶다”

이희경 2024. 7. 31. 0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55∼79세 경제활동인구 조사
5월 경제활동참가율 60.6% ‘역대 최고’
취업자 943만명… 2023년보다 31만명 늘어
보건복지업 비중 13%… 농림어업 첫 추월
근로희망 연령 평균 73.3세… 0.3세 증가
55% ‘생활비 보태려고’·38% ‘즐거움’ 이유
절반만 연금 받아… 월평균 수령액 82만원
고령층(55∼79세) 10명 중 7명은 장래에도 일하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층이 희망하는 근로 연령은 73.3세까지 늘어났다. 70대 중반까지 일하고 싶어하는 건 경제적 상황이 좋지 않은 탓이다. 고령층 근로 희망 사유 중 과반은 ‘생활비에 보태기 위해서’였다. 고령층 중 연금을 수령하는 비중은 절반 정도에 머물렀고,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2만원 정도로 파악됐다.
‘노인 일자리 박람회’에서 한 어르신이 구직 신청서를 작성하고 있다. 연합뉴스
통계청이 30일 발표한 ‘2024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 5월 기준 고령층 인구는 1598만3000명으로 작년 동월보다 50만2000명 늘었다. 15세 이상 인구(4554만3000명)의 35.1%를 차지했다.

고령층의 경제활동참가율은 60.6%로 0.4%포인트 올라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령층 취업자 역시 943만6000명으로 31만6000명 늘었다. 산업별로 보면 보건·사회·복지업 취업자가 121만명으로 집계돼 12만6000명 늘었다. 보건사회복지업 취업자 비중은 12.8%로 파악돼 처음으로 농림어업(12.4%·116만6000명)을 제쳤다. 취업자 증가세는 상대적으로 처우가 좋은 제조업(7만6000명)에 이어 운수·창고업(4만4000명), 협회·단체·수리업(2만3000명) 순으로 두드러졌다. 반면 농림어업과 시설관리·지원 임대 서비스업은 각각 2만8000명, 2만4000명 줄었다.

고령층 취업 경험자가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의 평균 근속 기간은 17년 6.1개월로 지난해보다 2.1개월 증가했다. 이들이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그만둘 당시 평균 연령은 52.8세로 0.1세 늘었다. 근로 형태별 그만둔 연령은 임금근로자가 52.0세, 비임금근로자 55.5세로 각각 조사됐다. 직업별로는 사무종사자가 46.1세로 가장 낮았고, 농림어업숙련종사자(60.1세), 단순노무종사자(54.8세)는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다.

고령층 가운데 장래에도 일하기를 원하는 이는 1109만3000명으로 조사돼 전년 동월 대비 49만1000명 증가했다. 그 비중은 69.4%로 역시 0.9%포인트 상승했다. 고령층의 근로 희망 연령은 평균 73.3세로 0.3세 증가했다. 모든 연령층에서 근로 희망 연령이 늘었는데, 75∼79세는 82.3세까지 일하길 원했다. 취업상태별로는 현재 취업자의 93.2%가 계속 일하기를 희망했고, 취업경험이 있는 미취업자는 36.8%가 장래 근로를 희망했다.
고령층이 최대한 오래 일하려고 하는 배경엔 열악한 경제적 상황이 자리하고 있다. 고령층의 근로 희망 사유를 조사한 결과 ‘생활비에 보탬’이 55.0%로 가장 많았고, ‘일하는 즐거움’(35.8%)이 뒤를 이었다.

고령층의 연금(공적연금 및 개인연금) 수령 비중과 액수는 1년 전보다 소폭 개선됐지만, 여전히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전체 고령층 중 지난 1년간 연금을 수령한 이들의 비율은 51.2%(817만7000명)로 0.9%포인트 상승했다. 남자는 54.4%, 여자는 48.1%로 각각 0.7%포인트, 1.0%포인트 늘었다. 독일에선 2019년 기준 65세 이상 남성의 87%, 여성은 90%가 국민연금을 수급했었다.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2만원으로 전년 동월 대비 9.6%(7만원) 증가했다. 10% 가까이 늘었지만, 최저생계비(지난해 1인 가구 기준 월 124만6735원)와 격차는 컸다. 성별로는 남성이 106만원, 여성이 57만원으로 각각 8.4%, 12.8% 늘었다.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25만∼50만원 미만이 41.2%로 가장 많았고, 50만∼100만원 미만(32.4%), 150만원 이상(13.8%) 순이었다.

일자리 선택 기준은 ‘일의 양과 시간대’(30.5%)가 가장 높았고, ‘임금 수준’(20.2%)이 뒤를 이었다.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 수준은 200만∼250만원 미만이 19.4%로 가장 많았고, 300만원 이상(19.3%), 150만∼200만원 미만(16.8%) 순이었다.

세종=이희경 기자 hjhk38@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