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울렁증' 사라지는데도 외국어 공부는 왜 해야 하냐 묻는다면 [스프]

심영구 기자 2024. 7. 30. 09:0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한국에서 외국어 공부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요? 물론 여기서 외국어란 영어, 넓게 봐야 두어 개에 불과한 '유용한 제2외국어'를 지칭하겠지만, 한국인의 외국어 배우기 열정은 둘째가라면 서러울 겁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뉴스페퍼민트] (글 : 권채령 뉴스페퍼민트 에디터)
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스프에서 뉴욕타임스 칼럼을 번역하고, 그 배경과 맥락에 관한 자세한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그동안 미국을 비롯해 한국 밖의 사건, 소식, 논의를 열심히 읽고 풀어 전달해 온 경험을 살려,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부지런히 글을 쓰겠습니다. (글 : 권채령 뉴스페퍼민트 에디터)
 


한국에서 외국어 공부의 중요성을 모르는 사람이 있을까요? 물론 여기서 외국어란 영어, 넓게 봐야 두어 개에 불과한 '유용한 제2외국어'를 지칭하겠지만, 한국인의 외국어 배우기 열정은 둘째가라면 서러울 겁니다. 한 달 교습비가 200만 원을 훌쩍 넘어서는 유아 대상 영어학원, 이른바 '영어 유치원'이 해마다 늘어나 2023년 3월 기준 원생 수가 4만 명이 넘어섰고, 초중고생 대상 사교육 시장에서도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3101188237 ]영어 학습 비용은 부동의 1위를 차지합니다.
[ https://www.rose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4479 ]

많은 기업에서 입사 조건과 진급 자격으로 공인 영어 성적을 요구하니, 취준생이나 직장인에게 영어는 생존 도구나 다름없습니다. 하지만 실제로 생활 속에서, 또는 업무를 위해 어떤 영어가 얼마나 필요한지에 대한 고민 없이 모두가 영어 공부에 큰돈과 시간을 쏟고 있는 현실에 허탈함을 느끼는 분들도 있을 겁니다. 초중고 12년 내내 영어를 배우고 토익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 해도 실제 언어 구사 능력으로 이어지지 않는다는 걸 많은 이들이 경험으로 알고 있기도 하고요.
 
▶ 뉴욕타임스 칼럼 보기 : 번역기가 다 번역해주는데... 외국어 공부는 이제 무용지물일까?
[ https://premium.sbs.co.kr/article/B4YklbI5U0s ]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오히려 미국인의 외국어 공부 예찬이 조금은 신선하게 느껴질지도 모르겠습니다. 지난 21일 자 뉴욕타임스에는 평생 일본어를 공부하고 있는 한 민항기 조종사의 외국어 사랑이 실렸습니다. 현지 홈스테이 연수를 통해 일본어를 처음 접한 필자는 대학 때도 꾸준히 일본어 수업을 수강했고, 지금도 새로운 기술이 제공하는 각종 도구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꾸준히 공부를 이어나가는 중입니다.

모어가 한국어인 사람이 보기엔 세계 어디서든 문제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영어 원어민이 무엇하러 외국어를, 그것도 영어와는 너무 달라 배우기도 어렵고 특정 국가 밖에서는 잘 통용되지도 않는 언어를 평생 공부하고 있을까 싶죠. 하지만 필자에게 외국어 공부는 지평을 넓혀주고, 경험의 깊이를 더해줄 뿐 아니라 뇌 건강과 노화 방지에도 도움을 주는 인생의 즐거움입니다.

제게도 얼마 전 영어 원어민의 삶을 살짝 체험하면서, 동시에 외국어 공부의 '초심'을 떠올린 경험이 있었습니다. 어머니와 함께 동남아시아에 있는 한 휴양지로 놀러 갔을 때의 일인데, 호텔 로비에서 짧은 영어로 주고받는 기능적인 대화를 기대하던 우리 앞에 한국어를 구사하는 젊은 직원이 나타난 것입니다. 그는 어릴 때부터 케이팝을 좋아해서 대학에서도 한국어를 전공했다면서 한국 손님이 오면 한국어를 써볼 기회가 생겨서 즐겁다고 말했습니다.

"어머님은 저쪽 소파에 앉아서 잠깐 기다려 주시고요, 체크인은 이쪽에서 도와드릴게요"와 같은 유창한 한국어를 듣고 있자니 비행의 피로와 낯선 여행지에서의 긴장감도 금세 사그라들었습니다. '영국인이나 미국인은 세계 어딜 가도 기본적으로 이런 경험을 기대하겠구나' 싶어 새삼 부럽기도 했지만, 원어민과 대화할 기회에 눈을 반짝이던 청년을 보며 외국어를 처음 배우던 때도 떠올랐습니다.

알파벳을 떼고 나서 '바나나'의 철자가 왜 'banana'인지 깨달은 순간의 짜릿함, 외국 영화를 보다가 처음으로 대사 한 줄을 통으로 알아들었을 때의 기쁨, 번역판으로만 알고 있던 소설의 원제목을 접했을 때의 경이로움, 입국심사 부스에서 내가 연습해 온 말을 공항 직원이 과연 알아들을지 긴장하며 기대하던 마음 같은 것들요. 시험 합격과 생계를 위해서 외국어를 공부하고, '실용적이지 않은' 제2외국어는 뇌 용량이 아까워 삭제하며 보냈던 시간 속에서 잊어버렸던 즐거움이 되살아나는 듯했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심영구 기자 so5what@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