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부산 인구 감소 위기 재확인…내용은 훨씬 심각한 문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 총인구가 최근 5년간 3.4% 감소하며 지난해 기준 328만 명 수준에 머물렀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8만2000명 늘었다.
국내 총인구가 증가세를 보인 것과 달리 부산 총인구는 지난해 328만 명으로 전년보다 0.5%(1만6000명) 줄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생산연령인구 급감, 중위연령 최고
부산 총인구가 최근 5년간 3.4% 감소하며 지난해 기준 328만 명 수준에 머물렀다. 2020년 9월 340만 명선이 무너진 이후 인구 감소세가 가파르다. 총인구 대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22.8%로 8대 특별·광역시 가운데 가장 높아 도시 소멸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 인구주택총조사 결과’를 보면 지난해 우리나라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전년보다 8만2000명 늘었다. 이는 국내 3개월 이상 체류하거나 체류할 외국인이 늘었기 때문이다. 내국인은 4983만9000명으로 전년보다 10만 명 줄었다. 국내 총인구가 증가세를 보인 것과 달리 부산 총인구는 지난해 328만 명으로 전년보다 0.5%(1만6000명) 줄었다. 8대 특별·광역시 중 광주에 이어 두번째로 감소율이 높다. 5년 전인 2018년(339만5000명)과 비교하면 3.4%나 줄어든 것이다. 부산 인구가 이렇게 급감하는 원인은 ‘수도권 집중화’에서 찾을 수 있다. 학생들은 취업에 유리한 서울에 있는 대학으로, 기업은 유능한 인재 확보가 가능한 서울로 몰리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에서 태어나 부산의 대학을 나와도 좋은 일자리를 가질 수 있었던 과거와 달라진 모습이다.
더 심각한 것은 부산의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급감하면서 경제 역동성이 떨어지고 있는 점이다. 생산연령인구는 지난해 222만4000명으로 전년보다 1.6% 급감했는데 17개 시·도 중 경북과 함께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부산 총인구 중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67.8%에 그쳤다. 산업현장 인력이 부족하면 기업이 부산을 떠나게 되는 악순환을 불러온다. 전국 광역지자체 중 가장 먼저 초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부산의 고령화 속도도 대도시 중 가장 빨라 걱정이 이만저만 아니다. 지난해 부산의 중위연령은 48.3세로 8대 특별·광역시가운데 가장 높았다. 이는 전년보다 0.6세 늘어난 수치다.
인구감소와 고령화는 범국가적 위기다. 하지만 부산이 맞닥뜨린 현실은 더 심각한 수준이다. 좋은 일자리가 없어서 청년이 부산을 떠나고 학령인구가 줄면서 대학은 존폐 위기다. 또 노인인구 급증 속에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의료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해 경제가 무너질 수 있다. 도시 생존이 위협받고 있는 만큼 청년 인구 확보를 위한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 결혼해서 출산할 연령대가 수도권으로 유출되면 그 어떤 대책을 내놓아도 무용지물이다. 젊은이들이 부산을 떠나지 않도록 양질의 일자리를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경제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무엇보다 정부는 수도권 일자리 쏠림 문제를 해결하도록 힘써야 한다. 수도권 기업이 지역으로생산 기반을 이전하거나 투자하도록 전폭적인 지원을 해야 한다. 또한 산업은행을 비롯한 수도권 공공기관이 이전하도록 힘써야 한다. 정부와 시는 단발적인 예산 지원보다는 좋은 일자리 창출이 인구 증가에 효과적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하겠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