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자력학회 '사용후핵연료 솔루션' 제안…"지하 500m에 우선 저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한국원자력학회가 사용후핵연료 처분 문제와 관련해 자체적으로 구상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안하고 나섰다.
부지를 먼저 정하고 처분장을 건설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용기에 사용후핵연료를 담아 지하 500m 깊이에 우선 처분하는 방식이다.
학회가 제안한 솔루션은 '사용후핵연료를 구리와 주철로 만든 이중 처분 용기에 담아 지하 500m 깊이의 화강암반에 설치한 시설에 처분하는 것'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안전성 확보하면서 처분장 면적 및 비용 최소화"
한국원자력학회가 사용후핵연료 처분 문제와 관련해 자체적으로 구상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안하고 나섰다.
부지를 먼저 정하고 처분장을 건설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용기에 사용후핵연료를 담아 지하 500m 깊이에 우선 처분하는 방식이다.
한국원자력학회는 29일 세종시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한국형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 솔루션’을 공개했다.
학회는 정범진 경희대 교수(학회장) 등 5명의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위원회를 통해 6개월간 국내외 연구 결과를 심층 분석한 뒤 사용후핵연료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도출했다.
학회가 제안한 솔루션은 ‘사용후핵연료를 구리와 주철로 만든 이중 처분 용기에 담아 지하 500m 깊이의 화강암반에 설치한 시설에 처분하는 것’이다.
정 학회장은 “부지를 먼저 정하고 그 부지 특성에 맞게 처분장을 건설하는 것이 원칙적으로 맞지만 이 경우 백지 상태에서 주민을 설득하기도, 처분 사업의 규모와 방향을 예측하기도 어렵다”며 “이 솔루션을 최근 정부에 제안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학회는 ‘지하 500m 깊이’의 대상 지역은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았다.
이 솔수션을 적용하면 사용후핵연료의 안전성을 확보하면서도 처분장 면적과 처분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게 학회의 설명이다. 경제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학회는 “동일 물량을 처분한다고 가정했을 때 핀란드 등 유럽이 도입했거나 도입하려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보다 70% 이상 사용 면적을 줄일 수 있다”고 주장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