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총인구 5177만명…외국인 증가에 3년 만에↑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해 저출산 고령화 영향으로 내국인 감소세가 이어진 가운데 외국인이 늘면서 국내 총인구는 3년 만에 증가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8만2000명(0.2%) 증가했다.
총인구는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하다가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지난해 상주 외국인은 193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8만3000명(10.4%) 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난해 저출산 고령화 영향으로 내국인 감소세가 이어진 가운데 외국인이 늘면서 국내 총인구는 3년 만에 증가했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23년 인구주택총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인구는 5177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8만2000명(0.2%) 증가했다.
총인구는 2021년 이후 2년 연속 감소하다가 3년 만에 증가세로 전환했다.
총인구 증가는 외국인 증가 영향이 컸다. 인구주택총조사에 집계되는 외국인은 국내 3개월 이상 체류했거나 3개월 이상 체류 목적으로 입국한 외국인이다.
지난해 상주 외국인은 193만5000명으로 전년 대비 18만3000명(10.4%) 늘었다. 국적별로는 중국(한국계)이 53만2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 24만7000명, 중국 22만1000명 순이었다.
고용허가제 확대 등이 외국인 인구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게 통계청의 분석이다.
반면 내국인 수는 2021년 이후 3년 연속 감소했다. 내국인 인구는 2022년 4994만명에서 2023년 4983만9000명으로 10만명 줄었다.
유소년과 생산연령인구는 줄고 고령인구는 늘어나는 고령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15~64세 인구는 3654만7000명으로 전년 대비 14만명 줄었고 0~14세 유소년 인구는 24만1000명 줄어든 561만9000명으로 집계됐다.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부양해야 할 유소년 인구는 15.4명으로 전년보다 0.6명 줄어든 반면 노년 부양비는 26.3명으로 1.4명 늘었다.
지난해 총가구는 2272만8000가구로 전년 대비 34만5000가구(1.5%) 증가했다.
일반가구는 2207만3000가구, 집단·외국인 가구는 65만5000가구였다. 일반가구 중 친족 가구가 1369만9000가구로 가장 많았고 1인 가구는 782만9000가구, 비친족 가구는 54만5000가구였다. 전년 대비 친족가구는 5만8000가구 감소한 반면 1인 가구는 32만7000가구 늘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디플정(DPG) 허브, 멀티 클라우드로 만든다
- [단독] 韓핀테크, 日NEC 손잡고 소프트뱅크에 생체인증 솔루션 공급한다
- 정부, 티메프 사태에 5600억 긴급 수혈…구영배 “큐텐 지분 처분해 수습”
- 30년간 같은 번호로 복권 샀던 英 가족 [숏폼]
- 마블 복귀하는 로다주…“히어로 '아이언맨'→빌런 '닥터둠'”
- '암흑 전자' 세계 최초 발견…고온초전도 등 양자현상 규명 실마리
- 야권, 대왕고래·체코원전 수주 투명성 집중포화...산업장관 “비관적으로 볼일 아냐”
- 제조업에 첨단기술 적용…제조혁신, '디지털 트윈' 자율형공장으로
- 트럼프 “미국을 암호화폐 수도로…비트코인 절대 팔지 마”
- [티메프 사태]티몬발 쓰나미, 매출채권 파생투자상품 'SCF' 시장도 덮쳤다…시장 올스톱